1906년 중간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06년 중간 올림픽에 참가한 영국 선수단은 다이빙, 사격, 사이클, 수영, 육상, 체조 종목에 총 39명의 선수를 파견했다. 영국은 육상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5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고, 사격에서 금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는 등 총 8개의 금메달, 11개의 은메달, 5개의 동메달을 획득하여 종합 3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6년 영국 - 1906년 영국 총선
1906년 영국 총선에서 헨리 캠벨-배너먼이 이끄는 자유당이 보수당-자유연합당 연합에 압승하여 과반수를 훨씬 넘는 의석을 확보하며 정권교체를 이루었고, 자유무역, 사회 개혁, 교육 문제 등이 쟁점이 되었으며, 노동당의 원내 진출과 함께 영국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1906년 영국 - 중영속정장인조약
중영속정장인조약은 1906년 영국과 청나라가 체결한 조약으로, 영국의 티베트 원정 후 티베트에 대한 청나라의 주권 재확인, 영국의 티베트 합병 및 간섭 포기, 청나라의 다른 국가의 티베트 간섭 불허를 주요 내용으로 하며, 영국과 청나라 각각 러시아 영향력 확대 저지 및 티베트 지배권 강화의 목적을 가진다. -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 2012년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2012년 하계 올림픽에 개최국 영국은 26개 종목에 541명의 선수단을 파견하여 금메달 29개, 은메달 17개, 동메달 19개를 획득하며 총 65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 2016년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2016년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은 366명의 선수들이 25개 종목에 참가하여 총 67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해외에서 열린 올림픽 사상 최고의 성적을 거둔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영국 대표팀이다. - 1906년 중간 올림픽 선수단 - 1906년 중간 올림픽 튀르키예 선수단
1906년 중간 올림픽에 처음 파견된 튀르키예 선수단은 3명의 남성 선수로 구성되어 육상과 레슬링 종목에 참가했으나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 1906년 중간 올림픽 선수단 - 1906년 중간 올림픽 노르웨이 선수단
1906년 중간 올림픽에 노르웨이는 육상, 레슬링, 사격, 체조 종목에 11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육상 1500m 달리기 금메달과 사격 자유 소총 개인전 은메달을 획득, 총 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1906년 중간 올림픽 영국 선수단 | |
|---|---|
| 대회 정보 | |
| NOC | 영국 올림픽 협회 |
| NOC (영어) | British Olympic Association |
| 참가 대회 | 중간 올림픽 |
| 개최 연도 | 1906년 |
| 개최지 | 아테네 |
| 국기 설명 | 영국 국기 |
| 참가 선수 | 47명 |
| 참가 종목 | 9개 |
| 순위 | 4위 |
| 금메달 | 8개 |
| 은메달 | 11개 |
| 동메달 | 5개 |
| 올림픽 참가 기록 | |
|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 | '' |
|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 | '' |
| 관련 정보 | "" |
2. 1906년 중간 올림픽
1906년 중간 올림픽은 육상 종목에서 영국 선수단이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트랙 경기에서는 와인드햄 홀스웰이 남자 400m에서 은메달, 8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존 맥고는 남자 15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고, 헨리 호트리는 남자 5마일 경기에서 금메달을 차지했다. 알프레드 힐리는 남자 110m 허들에서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필드 경기에서는 콘 리하이가 높이뛰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피터 오코너는 멀리뛰기에서 은메달, 세단뛰기에서 금메달을 차지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콘 리하이는 세단뛰기에서도 은메달을 추가했다.
다음은 영국의 육상 종목 메달리스트를 정리한 표이다.
| 종목 | 선수 | 메달 |
|---|---|---|
| 남자 400m | 와인드햄 홀스웰 | |
| 남자 800m | 와인드햄 홀스웰 | |
| 남자 1500m | 존 맥고 | |
| 남자 5마일 | 헨리 호트리 | |
| 남자 110m 허들 | 알프레드 힐리 | |
| 남자 높이뛰기 | 콘 리하이 | |
| 남자 멀리뛰기 | 피터 오코너 | |
| 남자 세단뛰기 | 피터 오코너 | |
| 남자 세단뛰기 | 콘 리하이 |
1906년 중간 올림픽에서 영국 선수단은 다이빙, 사격, 사이클, 수영, 육상, 체조 등 다양한 종목에 참가하였다.
3. 경기 종목
3. 1. 육상
1906년 중간 올림픽 육상 종목에서 영국 선수단은 트랙 경기, 필드 경기, 경보, 마라톤 등 다양한 세부 종목에 참가했다. 트랙 경기에서는 와인드험 헬스웰이 400m에서 은메달, 8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존 맥고와 알프레드 힐리가 각각 1500m와 110m 허들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 필드 경기에서는 콘 리하이가 높이뛰기와 세단뛰기에서 각각 금메달과 은메달, 피터 오코너가 멀리뛰기와 세단뛰기에서 각각 은메달과 금메달을 획득했다.[1]
3. 1. 1. 트랙 경기
| 선수 | 종목 | 예선 | 패자부활전 | 준결선 | 결선 |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 레이널드 리드 | 100m | 12.0 | 1 Q | colspan=2 bgcolor="wheat"| | 불명 | 진출 실패 | |||
| 400m | 불명 | 4 | 진출 실패 | colspan=2 bgcolor="wheat"| | 진출 실패 | ||||
| 레지널드 크레이브 | 800m | 2:07.6 | 1 Q | colspan=4 bgcolor="wheat"| | 불명 | 4 | |||
| 1500m | 불명 | 2 Q | colspan=4 bgcolor="wheat"| | 불명 | 7 | ||||
| 시드니 압라험스 | 100m | 11.8 | 1 Q | colspan=2 bgcolor="wheat"| | 불명 | 4 | 진출 실패 | ||
| 아널드 처칠 | 1500m | DNF | - | colspan=4 bgcolor="wheat"| | 진출 실패 | ||||
| 와인드험 헬스웰 | 100m | 불명 | 2 Q | colspan=2 bgcolor="wheat"| | 불명 | 3 | 진출 실패 | ||
| 400m | 54.0 | 1 Q | colspan=2 bgcolor="ddeeff"| | colspan=2 bgcolor="wheat"| | 불명 | ||||
| 800m | 불명 | 2 Q | colspan=4 bgcolor="wheat"| | 불명 | |||||
| 알프레드 힐리 | 110m 허들 | 16.5 | 1 Q | colspan=2 bgcolor="ddeeff"| | colspan=2 bgcolor="wheat"| | 불명 | |||
| 웰리스 월터스 | 110m 허들 | 불명 | 3 | 진출 실패 | colspan=2 bgcolor="wheat"| | 진출 실패 | |||
| 윌리엄 앤더슨 | 400m | 불명 | 2 q | 54.8 | 1 Q | colspan=2 bgcolor="wheat"| | 불명 | 7 | |
| 800m | 불명 | 4 | colspan=4 bgcolor="wheat"| | 진출 실패 | |||||
| 존 맥고 | 800m | DNF | - | colspan=4 bgcolor="wheat"| | 진출 실패 | ||||
| 1500m | 4:18.8 | 1 Q | colspan=4 bgcolor="wheat"| | 4:12.6 | |||||
| 존 혼 | 400m | 불명 | 3 | 진출 실패 | colspan=2 bgcolor="wheat"| | 진출 실패 | |||
| 800m | 불명 | 3 | colspan=4 bgcolor="wheat"| | 진출 실패 | |||||
| 헨리 호레이 | 1500m | DNF | - | colspan=4 bgcolor="wheat"| | 진출 실패 | ||||
1906년 중간 올림픽에 참가한 영국 선수단의 트랙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와인드험 헬스웰은 400m에서 은메달, 8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존 맥고는 15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알프레드 힐리는 110m 허들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
3. 1. 2. 필드 경기
콘 리하이는 높이뛰기에서 1.775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세단뛰기에서는 13.980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1] 피터 오코너는 멀리뛰기에서 7.025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고, 세단뛰기에서는 14.075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1] 시드니 앱러험스는 멀리뛰기에 출전했으나 6.210m로 5위를 기록, 결선 진출에는 실패했다.[1]| 선수 | 종목 | 1 | 2 | 3 | 4 | 5 | 6 | 기록 | 순위 |
|---|---|---|---|---|---|---|---|---|---|
| 시드니 앱러험스 | 멀리뛰기 | X | 5.540 | 6.210 | 6.210 | 5 | |||
| 콘 리하이 | 높이뛰기 | 1.775 | |||||||
| 세단뛰기 | 13.980 | 13.610 | 13.940 | 13.885 | 13.830 | 13.580 | 13.980 | ||
| 피터 오코너 | 높이뛰기 | 불명 | 불명 | ||||||
| 멀리뛰기 | 6.810 | 6.630 | X | 6.825 | 6.740 | 7.025 | 7.025 | ||
| 세단뛰기 | 13.800 | 13.735 | X | 13.675 | 13.545 | 14.075 | 14.0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