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2년 동계 올림픽 노르웨이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2년 동계 올림픽 노르웨이 선수단은 금메달 3개, 은메달 4개, 동메달 3개로 총 10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노르딕 복합에서는 요한 그로툼스브로텐, 올레 스테넨, 한스 빈야렌옌이 금, 은, 동메달을 휩쓸었고,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에서는 소냐 헤니가 2연패를 달성했다. 스키 점프에서 비르예르 루드가 금메달, 스피드 스케이팅 500m에서 베른트 에벤센, 10000m에서 이바르 발랑루가 각각 은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계 올림픽 노르웨이 선수단 - 2018년 동계 올림픽 노르웨이 선수단
2018년 동계 올림픽 노르웨이 선수단은 대한민국 평창에서 열린 대회에 참가하여 금메달 14개, 은메달 14개, 동메달 11개로 종합 1위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 동계 올림픽 노르웨이 선수단 - 1924년 동계 올림픽 노르웨이 선수단
1924년 샤모니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노르웨이 선수단은 토랄프 헤게스타드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및 노르딕 복합 금메달을 비롯하여 요한 그뢰툼스브라텐, 로알드 뢰블링, 오스카르 올센, 나르베 보나 등이 스키 점프와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하는 등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 1932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1932년 동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1932년 동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은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에 4명의 선수를 파견했으며, 메건 테일러는 7위, 세실리아 콜레지는 8위, 몰리 필립스는 9위, 조안 딕스는 10위를 기록했다. - 1932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1932년 동계 올림픽 체코슬로바키아 선수단
1932년 동계 올림픽 체코슬로바키아 선수단은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노르딕 복합, 스키 점프 종목에 선수들을 파견하여 남자 18km, 50km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여자 싱글, 페어 스케이팅, 노멀힐 개인, 노르딕 복합 경기에 출전했다.
1932년 동계 올림픽 노르웨이 선수단 | |
---|---|
대회 정보 | |
NOC | NOR |
NOC 명칭 | 노르웨이 올림픽 및 패럴림픽 위원회 및 스포츠 연맹 |
올림픽 | 동계 올림픽 |
연도 | 1932 |
개최지 | 레이크플래시드 |
참가 선수 | 19명 (남자 18명, 여자 1명) |
종목 | 5개 |
기수 | 요한 그뢰툼스브로텐 (노르딕 복합) |
순위 | 2위 |
금메달 | 3개 |
은메달 | 4개 |
동메달 | 3개 |
공식 웹사이트 | www.idrett.no 노르웨이어 |
이전 및 다음 대회 | |
이전 대회 | 1928 |
다음 대회 | 1936 |
관련 대회 | |
관련 대회 | 1906 중간 올림픽 |
2. 메달 집계
노르웨이는 1932년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4개, 동메달 3개를 획득하여 총 10개의 메달을 획득하였다.
2. 1. 종목별 메달 수
종목 | ![]() | ![]() | ![]() | 합계 |
---|---|---|---|---|
노르딕 복합 | 1 | 1 | 1 | 3 |
스키 점프 | 1 | 1 | 1 | 3 |
피겨 스케이팅 | 1 | 0 | 0 | 1 |
스피드 스케이팅 | 0 | 2 | 0 | 2 |
크로스컨트리 | 0 | 0 | 1 | 1 |
합계 | 3 | 4 | 3 | 10 |
이번 대회에서 노르웨이는 금메달 3개, 은메달 4개, 동메달 3개로 총 10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노르딕 복합에서는 요한 그로트모스브라텐, 오레 스테넨, 한스 빈야렌겐이 시상대를 독점했으며,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에서는 소냐 헤니가 1928년 생모리츠 올림픽에 이어 금메달을 획득하며 2연패를 달성했다.
2. 2. 메달리스트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
요한 그뢰툼스브로텐 | 노르딕 복합 | 남자 개인전 | |
비르이르 루드 | 스키 점프 | 남자 노멀힐 | |
소냐 헤니 | 피겨 스케이팅 | 여자 싱글 | |
올레 스테넨 | 노르딕 복합 | 남자 개인전 | |
한스 베크 | 스키 점프 | 남자 노멀힐 | |
베른트 에벤센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500m | |
이바르 발랑루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10000m | |
한스 빈야렌옌 | 노르딕 복합 | 남자 개인전 | |
카레 발베르그 | 스키 점프 | 남자 노멀힐 | |
아르네 루스타드스투엔 | 크로스컨트리 | 남자 50km |
1932년 동계 올림픽 노르웨이 선수단의 종목별 성적은 다음과 같다.
이번 대회에서 노르웨이는 금메달 3개, 은메달 4개, 동메달 3개로 총 10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노르딕 복합에서는 요한 그뢰툼스브로텐, 올레 스테넨, 한스 빈야렌옌이 시상대를 독점했으며,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에서는 소냐 헤니가 1928년 생모리츠 올림픽에 이어 금메달을 획득하며 2연패를 달성했다.
3. 종목별 성적
종목 세부 종목 선수 기록 순위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소냐 헤니 2302.5점 크로스컨트리 스키 남자 18km 아르네 루스타드스투엔 1'27:06 5 요한 그뢰툼스브라텐 1'27:15 6 올레 스테넨 1'28:05 8 크리스티안 호브데 1'32:48 13 남자 50km 아르네 루스타드스투엔 4'31:53 올레 헤게 4'32:04 4 시구르 베스타드 4'32:40 5 올레 스테넨 DNF -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500m 베른트 에벤센 45.3 (예선) 에를링 린드보 - 예선 탈락 한스 엥네스탕겐 - 예선 탈락 호콘 페데르센 - 예선 탈락 남자 1500m 한스 엥네스탕겐 - 예선 탈락 베른트 에벤센 - 예선 탈락 이바르 발랑그루 - 예선 탈락 미카엘 스타크스루 - 예선 탈락 남자 5000m 이바르 발랑그루 - 5 베른트 에벤센 10:01.4 (예선) 6 에를링 린드보 - 예선 탈락 미카엘 스타크스루 DNF 예선 탈락 남자 10000m 이바르 발랑그루 - 베른트 에벤센 - 6 한스 엥네스탕겐 - 예선 탈락 미카엘 스타크스루 DNF 예선 탈락
노르딕 복합과 스키 점프 경기는 각각 해당 문서와 해당 문서에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3. 1. 노르딕 복합
노르딕 복합 경기는 18km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노멀힐 스키 점프로 구성되었다. 크로스컨트리 스키는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함께 진행되었으며, 일부 선수들은 두 종목에 모두 출전하여 18km 기록을 공유했다. 스키 점프는 별도로 진행되었다.
노르웨이의 요한 그뢰툼스브로텐이 금메달, 올레 스테넨이 은메달, 한스 빈야렌옌이 동메달을 획득하여 노르웨이가 시상대를 독점하였다. 스베레 콜테루드는 4위를 기록했다.
선수 | 종목 | 크로스컨트리 기록 | 크로스컨트리 점수 | 크로스컨트리 순위 | 스키 점프 1차시기 | 스키 점프 2차시기 | 스키 점프 총계 | 스키 점프 순위 | 총점 | 최종 순위 |
---|---|---|---|---|---|---|---|---|---|---|
요한 그뢰툼스브로텐 | 남자 개인전 | 1'27:15 | 240.00 | 1 | 51.0 | 50.0 | 206.0 | 6 | 446.00 | |
올레 스테넨 | 1'28:05 | 235.75 | 2 | 48.0 | 52.0 | 200.3 | 12 | 436.05 | ||
한스 빈야렌옌 | 1'32:40 | 213.00 | 4 | 54.0 | 62.0 | 221.6 | 2 | 434.60 | ||
스베레 콜테루드 | 1'34:36 | 204.00 | 7 | 57.0 | 55.5 | 214.6 | 5 | 418.60 | 4 |
3. 2. 스키 점프
선수 | 종목 | 1차 시기 | 2차 시기 | 합계 | |||||
---|---|---|---|---|---|---|---|---|---|
거리 | 점수 | 순위 | 거리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시그문 루드 | 남자 노멀힐 | 63m | 107.2 | 5 | 62.5m | 107.9 | 8 | 215.1 | 7 |
카레 발베르 | 62.5m | 108.9 | 4 | 64m | 110.6 | 3 | 219.5 | ||
비르예르 루드 | 66.5m | 113.9 | 2 | 69m | 114.2 | 1 | 228.1 | ||
한스 베크 | 71.5m | 116.5 | 1 | 63.5m | 110.5 | 4 | 227.0 |
스키 점프 남자 노멀힐 종목에서 비르예르 루드가 금메달, 한스 베크가 은메달, 카레 발베르가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3. 3. 크로스컨트리 스키
종목 | 선수 | 경기 | |
---|---|---|---|
시간 | 순위 | ||
18km | 크리스티안 호브데 | 1'32:48 | 13 |
올레 스테넨 | 1'28:05 | 8 | |
요한 그뢰툼스브라텐 | 1'27:15 | 6 | |
아르네 루스타드스투엔 | 1'27:06 | 5 | |
50km | 올레 스테넨 | DNF | – |
지구르 베스타드 | 4'32:40 | 5 | |
올레 헤게 | 4'32:04 | 4 | |
아르네 루스타드스투엔 | 4'31:53 |
3. 4. 피겨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에서는 소냐 헤니가 1928년 생모리츠 올림픽에 이어 금메달을 획득하며 2연패를 달성했다.선수 | 종목 | CF | FS | 순위 | 점수 | 최종 순위 |
---|---|---|---|---|---|---|
소냐 헤니 | 여자 싱글 | 1 | 1 | 7 | 2302.5 |
3. 5.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 | 선수 | 예선 | 결선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500m | 에를링 린드보 | 해당 없음 | 4 | 진출 실패 | |
베른트 에벤센 | 45.3 | 1 Q | 해당 없음 | align=center| | |
한스 엥네스탕겐 | 해당 없음 | 5 | 진출 실패 | ||
호콘 페데르센 | 해당 없음 | 4 | 진출 실패 | ||
1500m | 한스 엥네스탕겐 | 해당 없음 | 4 | 진출 실패 | |
베른트 에벤센 | 해당 없음 | 3 | 진출 실패 | ||
이바르 발랑그루 | 해당 없음 | 3 | 진출 실패 | ||
미카엘 스타크스루 | 해당 없음 | 3 | 진출 실패 | ||
5000m | 미카엘 스타크스루 | DNF | – | 진출 실패 | |
이바르 발랑그루 | 해당 없음 | 3 Q | 해당 없음 | 5 | |
에를링 린드보 | 해당 없음 | 5 | 진출 실패 | ||
베른트 에벤센 | 10:01.4 | 1 Q | 해당 없음 | 6 | |
10000m | 미카엘 스타크스루 | DNF | – | 진출 실패 | |
이바르 발랑그루 | 해당 없음 | 2 Q | 해당 없음 | align=center| | |
한스 엥네스탕겐 | 해당 없음 | 6 | 진출 실패 | ||
베른트 에벤센 | 해당 없음 | 3 Q | 해당 없음 | 6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