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동계 올림픽 미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6년 동계 올림픽에서 미국은 금메달 1개, 동메달 3개를 획득했다. 봅슬레이에서 금메달 1개와 동메달 1개를,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동메달 1개, 아이스하키에서 동메달 1개를 추가했다. 아이번 브라운과 앨런 워시본드는 봅슬레이 2인승에서 금메달을, 레오 프레이징거는 스피드 스케이팅 500m에서, 미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아이스하키에서 각각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국가대표팀 - 1924년 동계 올림픽 미국 선수단
1924년 동계 올림픽 미국 선수단은 프랑스 샤모니에서 열린 제1회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미국의 선수단을 의미하며, 피겨 스케이팅, 노르딕 복합, 크로스컨트리, 스키 점프 종목에 참가했으나 스키 점프 외에서는 뚜렷한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 미국의 국가대표팀 - 1904년 하계 올림픽 미국 선수단
190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526명의 미국 선수단은 육상, 수영, 레슬링 등 다양한 종목에서 금메달 78개, 은메달 82개, 동메달 79개를 획득하며 종합 1위를 차지했고, 특히 육상에서 압도적인 기량을 과시했다. - 1936년 스포츠 - 1936년 동계 올림픽 독일 선수단
1936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독일 선수단은 스키 점프, 아이스하키에서 금메달, 노르딕 복합, 알파인 스키, 피겨 스케이팅에서 은메달, 루지, 알파인 스키, 피겨 스케이팅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봅슬레이, 알파인 스키,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노르딕 복합, 스키 점프,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피드 스케이팅 등 다양한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했다. - 1936년 스포츠 - 1936년 동계 올림픽 일본 선수단
1936년 동계 올림픽 일본 선수단은 선수 34명과 임원 14명으로 구성되어 스키, 스케이트,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종목에 출전했으나, 스키 점프의 이구로 쇼지와 스피드 스케이팅의 이시하라 쇼조가 각각 7위와 4위를 기록했을 뿐 아이스하키는 예선에서 탈락했다. - 1936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 1936년 동계 올림픽 독일 선수단
1936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독일 선수단은 스키 점프, 아이스하키에서 금메달, 노르딕 복합, 알파인 스키, 피겨 스케이팅에서 은메달, 루지, 알파인 스키, 피겨 스케이팅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봅슬레이, 알파인 스키,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노르딕 복합, 스키 점프,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피드 스케이팅 등 다양한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했다. - 1936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 1936년 동계 올림픽 일본 선수단
1936년 동계 올림픽 일본 선수단은 선수 34명과 임원 14명으로 구성되어 스키, 스케이트,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종목에 출전했으나, 스키 점프의 이구로 쇼지와 스피드 스케이팅의 이시하라 쇼조가 각각 7위와 4위를 기록했을 뿐 아이스하키는 예선에서 탈락했다.
| 1936년 동계 올림픽 미국 선수단 | |
|---|---|
| 기본 정보 | |
| NOC | 미국 올림픽 위원회 (USA) |
| NOC 영문명 | United States Olympic Committee |
| 대회 종류 | 동계 올림픽 |
| 개최 연도 | 1936년 |
| 개최지 |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 참가 선수 | 55명 (남자: 46명, 여자: 9명) |
| 종목 | 4개 |
| 기수 | 롤프 몬센 |
| 순위 | 8위 |
| 금메달 | 1개 |
| 은메달 | 0개 |
| 동메달 | 3개 |
| 참가 횟수 | 자동 계산 |
| 첫 참가 연도 | 알 수 없음 |
| 마지막 참가 연도 | 알 수 없음 |
|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알 수 없음 |
|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알 수 없음 |
| 관련 정보 | 알 수 없음 |
2. 메달 집계
1936년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에서 1936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미국 선수단의 메달 획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
| -- 금 | 이반 브라운, 앨런 워시본드 | 봅슬레이 | 남자 2인승 |
| -- 동 | 레오 프라이징거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500m |
| -- 동 | 길버트 콜게이트, 리처드 로렌스 | 봅슬레이 | 남자 2인승 |
| -- 동 | 존 개리슨, 오거스트 커머, 필립 라바테, 존 럭스, 토마스 문, 엘드리지 로스, 폴 로우, 프랜시스 쇼네시, 고든 스미스, 프랜시스 스페인, 프랭크 스터브스 | 아이스하키 | 남자 |
2. 1. 종목별 메달 집계
2. 2. 메달리스트
|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
![]() | 아이번 브라운, 앨런 워시보드 | 봅슬레이 | 남자 2인승 |
![]() | 길버트 콜게이트, 리차드 로렌스 | 봅슬레이 | 남자 2인승 |
| 레오 프레이징어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500m | |
| 미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아이스하키 | 남자 |
아이번 브라운과 앨런 워시본드는 남자 2인승에서 합계 5:29.29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길버트 콜게이트와 리차드 로렌스는 같은 종목에서 합계 5:33.96으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레오 프레이징어는 500m에서 44.0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델버트 램은 44.2로 5위, 앨런 포츠는 44.8로 6위, 로버트 페테르센은 45.0으로 11위를 기록했다.
1936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에서 미국 남자 아이스하키 대표팀은 동메달을 획득했다.[1]
3. 봅슬레이
선수 종목 1차 시기 2차 시기 3차 시기 4차 시기 합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아이번 브라운
앨런 워시본드남자 2인승 1:22.50 1 1:21.02 2 1:25.39 3 1:20.38 2 5:29.29 길버트 콜게이트
리차드 로렌스1:25.06 2 1:21.94 3 1:24.80 2 1:22.16 3 5:33.96 휴버트 스티븐스
크로포드 머켈
로버트 마틴
존 셴남자 4인승 1:25.61 8 1:19.17 2 1:20.51 3 1:18.84 2 5:24.13 4 프랜시스 타일러
제임스 빅포드
리차드 로렌스
맥스 블라이1:25.61 8 1:23.85 10 1:20.22 2 1:19.32 5 5:29.00 6
4. 스피드 스케이팅
레오 프레이징어는 1500m에서 2:21.3으로 4위를 기록했다. 로버트 페테르센은 2:25.4로 17위, 앨런 포츠는 2:31.2로 32위, 에디 슈로에더는 2:24.3으로 12위를 기록했다.
5000m에서는 로버트 페테르센이 8:46.5로 11위, 에디 슈로에더가 8:49.1로 15위를 기록했다.
10000m에서는 에디 슈로에더가 17:52.0으로 8위를 기록했고, 로버트 페테르센은 기권했다.선수 종목 기록 순위 레오 프레이징어 500m 44.0 델버트 램 500m 44.2 5 앨런 포츠 500m 44.8 6 로버트 페테르센 500m 45.0 11 레오 프레이징어 1500m 2:21.3 4 로버트 페테르센 1500m 2:25.4 17 앨런 포츠 1500m 2:31.2 32 에디 슈로에더 1500m 2:24.3 12 로버트 페테르센 5000m 8:46.5 11 에디 슈로에더 5000m 8:49.1 15 로버트 페테르센 10000m DNF - 에디 슈로에더 10000m 17:52.0 8
5. 아이스하키
미국 대표팀은 예선 B조에서 독일을 1-0, 스위스를 3-0으로 꺾었으나, 이탈리아에 1-2로 패하며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 B조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를 2-0, 오스트리아를 1-0, 스웨덴을 2-1로 꺾고 3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결승 라운드에 진출했다.
결승 라운드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를 2-0으로 이겼으나, 영국과는 0-0으로 비기고, 캐나다에 0-1로 패하며 1승 1무 1패를 기록, 최종 순위 3위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다음은 미국의 경기 결과 요약이다.팀 종목 1라운드 2라운드 메달 라운드 상대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결과 미국 남자 토너먼트 독일
승 1–0스위스
승 3–0이탈리아
패 1–2체코슬로바키아
승 2–0오스트리아
승 1–0스웨덴
승 2–1영국
무 0–0캐나다
패 0–1
아래는 동메달을 획득한 선수 명단이다.토머스 문 프랜시스 쇼네시 필립 라바테 프랭크 스텁스 존 개리슨 폴 로위 존 랙스 고든 스미스 엘브리지 로스 프랜시스 스페인 어거스트 캐머
5. 1. 예선 B조
(0-1, 0-0, 0-0)미국 2월 7일 미국 3-0
(0-0, 3-0, 0-0)스위스 2월 8일 미국 1-2
(0-0, 0-0, 1-1, 0-0, 0-1)이탈리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