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8년 하계 올림픽에서 영국 선수단은 금메달 3개, 은메달 14개, 동메달 7개를 획득하여 총 24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조정, 요트, 육상, 사이클, 복싱, 역도, 필드 하키, 승마, 수영 등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육상에서 6개의 은메달과 1개의 동메달을, 사이클에서 3개의 은메달과 2개의 동메달을 획득했다. 복싱에서는 조니 라이트와 돈 스콧이 각각 미들급과 라이트헤비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필드 하키 팀은 은메달을, 농구 팀은 20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영국 - 브뤼셀 조약
브뤼셀 조약은 냉전 초기 소련의 위협과 부흥하는 독일에 대비하여 벨기에, 프랑스,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영국 5개국이 체결한 상호방위 조약으로, 서유럽 연합(WEU)으로 발전 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출범으로 역할이 축소되어 종료되었다. -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 2012년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2012년 하계 올림픽에 개최국 영국은 26개 종목에 541명의 선수단을 파견하여 금메달 29개, 은메달 17개, 동메달 19개를 획득하며 총 65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 2016년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2016년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은 366명의 선수들이 25개 종목에 참가하여 총 67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해외에서 열린 올림픽 사상 최고의 성적을 거둔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영국 대표팀이다. - 1948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48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
1948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은 육상, 복싱 등 다양한 종목에 선수들을 파견하여 육상 여자 창던지기에서 금메달 1개, 육상 여자 포환던지기, 카누 여자 K-1 500m, 펜싱 여자 플뢰레 개인전에서 동메달 3개를 획득했다. - 1948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48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1948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김성집과 한수안이 각각 역도와 복싱에서 동메달을 2개 획득했으며, 농구, 레슬링, 사이클, 축구, 육상 종목에도 선수단을 파견했다.
| 1948년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 |
|---|---|
|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 |
| NOC | 영국 올림픽 협회 |
| NOC 영문명 | British Olympic Association |
| 참가 연도 | 1948년 |
| 올림픽 종류 | 하계 올림픽 |
| 개최지 | 런던 |
| 참가 선수 | 404명 (남자: 335명, 여자: 68명) |
| 참가 종목 | 21개 |
| 기수 | 존 에므리스 로이드 |
| 최종 순위 | 12위 |
| 금메달 | 3개 |
| 은메달 | 14개 |
| 동메달 | 6개 |
| 총 메달 수 | 23개 |
| 임원 | 불명 |
| 첫 참가 연도 | 자동 |
| 마지막 참가 연도 | 자동 |
|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 | 불명 |
|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 | 불명 |
| 관련 대회 | 1906년 중간 올림픽 영국 |
| 웹사이트 | 불명 |
2. 메달 집계
영국은 1948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14개, 동메달 7개를 획득하여 총 24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
| -- | 딕키 버넬, 버트 부슈넬 | 조정 | 남자 더블 스컬 |
| -- | 잭 윌슨, 랜 로리 | 조정 | 남자 무타페어 |
| -- | 데이비드 본드, 스튜어트 모리스 | 요트 | 스왈로 |
| -- | 도로시 맨리 | 육상 | 여자 100m |
| -- | 모린 가드너 | 육상 | 여자 80m 허들 |
| -- | 오드리 윌리엄슨 | 육상 | 여자 200m |
| -- | 잭 아처, 잭 그레고리, 켄 존스, 앨러스테어 맥코쿼데일 | 육상 | 남자 4 x 100m 릴레이 |
| -- | 톰 리차즈 | 육상 | 남자 마라톤 |
| -- | 도로시 타일러 | 육상 | 여자 높이뛰기 |
| -- | 레그 해리스 | 사이클 | 남자 스프린트 |
| -- | 레그 해리스, 앨런 배니스터 | 사이클 | 남자 2인승 |
| -- | 크리스토퍼 바튼, 폴 비르처, 잭 디어러브, 마이클 라페이지, 브라이언 로이드, 폴 매시, 앨프리드 멜로스, 존 메릭, 가이 리차드슨 | 조정 | 남자 에이트 |
| -- | 줄리안 크루스 | 역도 | 남자 56kg |
| -- | 조니 라이트 | 복싱 | 미들급 |
| -- | 돈 스콧 | 복싱 | 라이트 헤비급 |
| -- | 어니 클레멘츠, 밥 메이틀랜드, 이안 스콧, 고든 토마스 | 사이클 | 남자 단체 도로 |
| -- | 로버트 애들라드, 노먼 보레트, 데이비드 브로디, 로널드 데이비스, 윌리엄 그리피스, 로빈 린제이, 윌리엄 린제이, 존 피크, 프랭크 레이놀즈, 조지 심, 마이클 왈포드, 윌리엄 화이트 | 필드 하키 | 남자 토너먼트 |
| -- | 텝스 로이드 존슨 | 육상 | 남자 50km 경보 |
| -- | 캐서린 깁슨 | 수영 | 여자 400m 자유형 |
| -- | 앨런 겔다드, 토미 고드윈, 데이비드 리케츠, 윌프레드 워터스 | 사이클 | 남자 단체 추발 |
| -- | 제임스 할리데이 | 역도 | 남자 67.5kg |
| -- | 토미 고드윈 | 사이클 | 남자 트랙 타임 트라이얼 |
| -- | 아서 카, 해리 르웰린, 헨리 니콜 | 승마 | 단체 장애물 |
2. 1. 종목별 메달 집계
수정 내용:
1. 표(Table) 문법 준수: `
| 조정 | 남자 더블 스컬 | ||
| -- | 랜 로리 잭 윌슨 | 조정 | 남자 무타페어 |
| -- | 데이비드 본드 스튜어트 모리스 | 요트 | 스왈로 |
| -- | 도로시 맨리 | 육상 | 여자 100m |
| -- | 모린 가드너 | 육상 | 여자 80m 허들 |
| -- | 오드리 윌리엄슨 | 육상 | 여자 200m |
| -- | 잭 아처 (육상 선수) 잭 그레고리 켄 존스 앨러스테어 맥코쿼데일 | 육상 | 남자 4 x 100m 릴레이 |
| -- | 톰 리차즈 | 육상 | 남자 마라톤 |
| -- | 도로시 타일러 | 육상 | 여자 높이뛰기 |
| -- | 레그 해리스 | 사이클 | 남자 스프린트 |
| -- | 레그 해리스 앨런 배니스터 | 사이클 | 남자 2인승 |
| -- | 크리스토퍼 바튼 폴 비르처 잭 디어러브 마이클 라페이지 브라이언 로이드 폴 매시 앨프리드 멜로스 존 메릭 가이 리차드슨 | 조정 | 남자 에이트 |
| -- | 줄리안 크루스 | 역도 | 남자 56kg |
| -- | 조니 라이트 | 복싱 | 미들급 |
| -- | 돈 스콧 | 복싱 | 라이트 헤비급 |
| -- | 어니 클레멘츠 밥 메이틀랜드 이안 스콧 고든 토마스 | 사이클 | 남자 단체 도로 |
| -- | 로버트 애들라드 노먼 보레트 데이비드 브로디 로널드 데이비스 윌리엄 그리피스 로빈 린제이 윌리엄 린제이 존 피크 프랭크 레이놀즈 조지 심 마이클 왈포드 윌리엄 화이트 | 필드 하키 | 남자 토너먼트 |
| -- | 텝스 로이드 존슨 | 육상 | 남자 50km 경보 |
| -- | 캐서린 깁슨 | 수영 | 여자 400m 자유형 |
| -- | 앨런 겔다드 토미 고드윈 데이비드 리케츠 윌프레드 워터스 | 사이클 | 남자 단체 추발 |
| -- | 제임스 할리데이 | 역도 | 남자 67.5kg |
| -- | 토미 고드윈 | 사이클 | 남자 트랙 타임 트라이얼 |
| -- | 아서 카 해리 르웰린 헨리 니콜 | 승마 | 단체 장애물 |
휴 반 스와넨버그
3. 종목별 성적
남자 C-2 1000m colspan=2| 5:50.9 7 노먼 돕슨 남자 K-1 1000m 5:00.1 8 진출 실패 잭 헨더슨
존 시몬스남자 K-2 1000m 4:45.0 7 진출 실패 조이스 리차드 여자 K-1 500m 3:00.1 5 진출 실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