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76년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6년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은 1976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에 대한 내용이다. 복싱에서 금메달 1개(구영조, 밴텀급), 은메달 1개(리병욱, 라이트플라이급)를 획득했다. 양궁, 육상, 레슬링 종목에도 선수들이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은 1976년 8월 18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유엔군 사령부의 미루나무 가지치기 작업 중 북한군의 기습 공격으로 미군 장교 2명이 사망하고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한 사건으로, 폴 버니언 작전 감행과 김일성의 유감 성명 발표 이후 공동경비구역 내 군사분계선 설정 및 남북한 인원 분리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 1972년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1972년 뮌헨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은 사격 금메달 1개와 복싱, 유도, 레슬링, 여자 배구에서 각각 동메달을 획득하며 김우길, 김용익, 김광형 등의 활약과 함께 다양한 국가와 교류했다.
  •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 1980년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198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은 육상 종목에 6명의 선수가 출전했으나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고, 복싱, 체조, 사격, 역도, 레슬링 종목에는 선수단을 파견하지 않았다.
  • 1976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76년 하계 올림픽 소련 선수단
    197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소련 선수단은 금메달 49개, 은메달 41개, 동메달 35개로 종합 메달 순위 1위를 차지하며 육상, 체조, 레슬링, 역도 등 다양한 종목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 1976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76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1976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4개를 획득했으며, 레슬링의 양정모가 첫 금메달을, 여자 배구 대표팀이 구기 종목 사상 첫 메달을 획득했다.
1976년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기본 정보
NOC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 위원회 (PRK)
NOC 영문명Olympic Committee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올림픽 참가 횟수하계 올림픽
개최 연도1976년
개최지몬트리올
참가 선수38명
참가 종목8개
기수알 수 없음
순위21위
금메달1개
은메달1개
동메달0개
총 메달2개

2. 메달리스트

순위이름종목세부 종목
구영조복싱남자 밴텀급
리병욱복싱남자 라이트플라이급



1976년 하계 올림픽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를 획득했다.

2. 1. 금메달

구영조 — 복싱, 남자 밴텀급[1]

2. 2. 은메달

리병욱은 복싱 남자 라이트플라이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3. 종목별 성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76년 하계 올림픽에서 양궁, 육상, 복싱, 레슬링 종목에 참가하였다.

양궁 종목에는 여자 개인전에 2명의 선수가 출전하여 장선용은 4위, 한선희는 10위를 기록하였다.[1]

육상 종목 마라톤에서는 최창섭이 12위, 김창선이 44위, 고춘손이 52위를 기록하였다.

복싱 종목에서는 구영조가 남자 밴텀급 금메달,[1] 리병욱이 남자 라이트플라이급 은메달을 획득하여 총 2개의 메달을 획득하였다.

레슬링 종목에서는 남자 자유형 48kg급 리용남이 6위,[1] 52kg급 리봉순이 7위를 기록하였고,[1] 57kg급 리호평은 예선에서 탈락하였다.[1]

3. 1. 양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76년 하계 올림픽 양궁 종목에 처음 참가하였다. 여자 개인전에 2명의 선수가 출전하여 장선용은 2405점으로 4위, 한선희는 2347점으로 10위를 기록하였다.[1]

1976년 하계 올림픽 양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개인전 성적
선수점수순위
장선용2405점4위
한선희2347점10위


3. 2. 육상


  • 최창섭 — 2h16분 33초 (→ 12위)
  • 김창선 — 2h27분 38초 (→ 44위)
  • 고춘손 — 2h31분 54초 (→ 52위)

3. 3. 복싱

복싱 종목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금메달 1개와 은메달 1개를 획득하였다.[1]

구영조는 남자 밴텀급(-54kg)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1] 리병욱은 남자 라이트플라이급(-48kg)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 '''남자 라이트플라이급 (-48kg) 리병욱'''
  • * 1라운드: 시드니 맥나이트(캐나다)에 KO승
  • * 2라운드: 헨리크 슈레드니키(폴란드)에 3:2 승
  • * 8강: 아르만도 게바라(베네수엘라)에 3:2 승
  • * 준결승: 파야오 풀타랏(태국)에 RSC승
  • * 결승: 호르헤 에르난데스(쿠바)에 1:4 패,
    은메달

  • '''남자 플라이급 (-51kg) 종조웅'''
  • * 1라운드: 부전승
  • * 2라운드: 요아힘 셔(서독)에 RSC승
  • * 3라운드: 비센테 로드리게스(스페인)에 3:2 승
  • * 8강: 다비드 토로시안(소련)에 0:5 패


메달리스트
메달선수종목세부 종목
-- 금구영조복싱남자 밴텀급
-- 은리병욱복싱남자 라이트플라이급


3. 4. 레슬링

'''남자 자유형 48kg'''

라운드상대결과
1김화경 (대한민국)10 - 11로 패
2클라우디오 폴리오 (이탈리아)로 승
3소반 루히 (이란)14 - 13으로 패
4부전승
5구도 아키라 (일본)2 - 16으로 패 → 6위



'''남자 자유형 52kg'''


라운드상대결과
1디에고 로 브루토 (프랑스)21 - 16으로 승
2프리츠 니블러 (서독)4:58 (폴승)으로 승
3엘로이 아브레우 (쿠바)16 - 12로 패
4알렉산드르 이바노프 (소련)22 - 19로 패 → 7위



'''남자 자유형 57kg'''


라운드상대결과
1블라디미르 유민 (소련)20 - 5로 패
2부전승
3즈비그니에프 제지츠키 (폴란드)13 - 10으로 승
4아라이 마사오 (일본)7 - 18로 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