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1 VG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1 VG는 지구와 유사한 궤도를 가진 소행성으로, 1991년 지구에 근접 통과한 이후 여러 차례 지구 근처를 지나갔다. 크기는 200미터 미만으로 추정되며, 단일체 구조일 가능성이 있다. 1991 VG의 기원에 대해서는 자연적인 기원과 인공적인 기원, 특히 소모된 로켓 연료 탱크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현재까지는 자연 기원일 가능성이 더 높게 여겨진다. 1992년 이후 관측되지 않다가 2017년 재발견되었으며, 궤도가 정밀하게 결정되어 센트리 위험 표에서 제거되었다. NASA의 NEA Scout 탐사선이 1991 VG를 목표로 계획되었으나, 이후 2020 GE로 변경되었고, NEA Scout은 2022년 발사되었지만 통신 문제로 분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발견한 천체 - 허큘리스자리 V838
    허큘리스자리 V838은 상세한 관측 자료가 부족하여 특성이나 분류에 대한 명확한 정보가 확인되지 않은 천체이다.
  • 1991년 발견한 천체 - 4976 조경철
    4976 조경철은 위키백과 문서 분석, 문서 통합, 목차 설계 및 작성 등을 수행하며, 한국어 및 영어 위키백과의 콘텐츠 품질 향상과 정보 접근성 증대를 목표로 하는 편집 프로젝트이다.
  • 지구 공궤도 소행성 - 469219 카모오알레와
    469219 카모오알레와는 2016년 발견된 지구 근접 천체이자 준위성으로, 지구와의 특이한 궤도 관계와 달의 분출물 가능성 등으로 기원에 대한 연구 및 탐사 임무가 제안되고 있다.
  • 지구 공궤도 소행성 - 2002 AA29
    2002 AA29는 지구와 궤도를 공유하며 말굽 궤적을 그리는 소행성으로, 준위성 궤도를 가지며 지구 근접 소행성 연구에 중요한 대상이다.
  • 아폴로 소행성군 - 469219 카모오알레와
    469219 카모오알레와는 2016년 발견된 지구 근접 천체이자 준위성으로, 지구와의 특이한 궤도 관계와 달의 분출물 가능성 등으로 기원에 대한 연구 및 탐사 임무가 제안되고 있다.
  • 아폴로 소행성군 - 101955 베누
    101955 베누는 링컨 근지구 소행성 탐사에 의해 발견된 탄소질 근지구 소행성으로,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의 목표 천체였으며 지구와 충돌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위험 천체로 분류되어 연구가 진행 중이다.
1991 VG
기본 정보
2017년 5월 30일 VLT로 촬영한 1991 VG 복구 사진. 소행성은 녹색 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 타임랩스 합성 사진에 여러 번 나타난다.
명칭
소행성 번호1991 VG
임시 명칭1991 VG
발견
발견자Spacewatch
발견 장소키트피크 천문대
발견일1991년 11월 6일 (최초 관측일)
MPC 명칭1991 VG
궤도 특성
궤도 기준 시점2022년 8월 9일 (JD 2459800.5)
불확실성0
관측 호25.57년 (9,339일)
원일점 거리1.0866 AU
근일점 거리0.97823 AU
궤도 장반축1.0324 AU
궤도 이심률0.05247
공전 주기1.05년 (383일)
평균 궤도 경사138.576°
평균 운동0.9413°/일
궤도 경사1.4298°
승교점 경도71.267°
근일점 인수26.921°
최소 궤도 교차 거리0.00083 AU (369635 km)
목성 최소 궤도 교차 거리3.92 AU
물리적 특성
평균 지름5–12 m
절대 등급28.3
분류
소행성 분류지구 근처 물체아폴로 소행성

2. 지구형 궤도

1991 VG는 지구와 매우 유사한 궤도를 가지고 있어, 지구와의 근접 통과가 잦은 소행성이다. 발견 직후인 1991년에 지구에서 1.2 달 거리까지 근접했고, 그 이후에도 여러 차례 지구 근처를 지나갔다. 이러한 궤도 특성은 1991 VG의 역학적 수명을 단축시키며,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이나 궤도 변경 가능성을 높인다. 1991 VG가 지구와 유사한 궤도를 가지게 된 원인으로는, 달과의 충돌로 인해 방출된 물질이 궤도에 영향을 미쳤거나, 야르코프스키 효과와 같은 비중력 섭동이 작용한 결과일 수 있다는 가설이 제시되었다.

3. 가능한 단일체 구조

1991 VG는 어두운 천체이며, 절대 등급을 바탕으로 추정할 때 크기는 대략 200 미터 미만이다. 대부분의 소행성은 2시간 이내의 짧은 자전 주기를 보인다. 이는 1991 VG가 단일체 구조이거나, 비교적 강한 응집력을 가진 용접된 집합체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자전 속도가 느린 소행성은 중력으로 묶인 집합체이거나, 파편 더미일 가능성이 있다.

4. 가능한 인공적 기원

1991 VG의 기원은 불확실하다. 이 물체가 인공적인 기원을 가졌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는데, 이는 1991 VG의 밝기 변화 때문이었다. 일부에서는 1991 VG가 소모된 로켓 연료 탱크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특히, 아폴로 12호 미션에서 사용된 로켓 동체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용 가능한 증거로는 1991 VG가 자연적인 기원을 가졌을 가능성이 더 높다. 인공적인 기원설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명확한 결론은 내려지지 않았다. 비슷한 논쟁은 지구 근접 소행성 2022 NX1에서도 있었다.

5. 재발견

1991 VG는 1992년 이후 관측되지 않다가 2017년 유럽 남방 천문대(ESO)의 초대형 망원경(VLT)에 의해 재발견되었다. 이 재발견으로 1991 VG의 궤도가 높은 정밀도로 결정되었으며, 센트리 위험 표에서 제거되었다.

6. 탐사

1991 VG를 목표로 NASA의 근지구 소행성 탐사선인 NEA Scout이 계획되었다. 이후, NEA Scout의 목표는 2020 GE로 변경되었다. NEA Scout은 2022년 11월 16일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하지만, 통신 문제로 인해 현재 분실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참조

[1] 논문 Mini-moons from horseshoes: A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2022 NX1 with OSIRIS at the 10.4 m Gran Telescopio Canarias https://www.aanda.or[...] 2023-02-02
[2] 저널 SETA and 1991 VG http://adsabs.harvar[...] 199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