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92년 3월부터 6월까지 열린 대회로, 총 32개 팀이 예선에 참가하여 8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과 개최국 자격의 스페인을 포함해 5개 팀이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했다. 이탈리아가 스웨덴을 결승에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은 올림픽에 참가할 아시아 국가대표팀을 선발하는 예선전으로, 1차 예선을 통과한 6개 팀이 최종 예선 풀 리그를 거쳐 카타르, 대한민국, 쿠웨이트가 본선에 진출했다.
  • 1992년 청소년 축구 - 1992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199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는 8개국이 참가하여 중국이 우승했으며, 중국과 카타르는 1993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
  • 1992년 청소년 축구 - 1992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992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되었으며, 사우디아라비아가 대한민국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두 팀은 1993년 FIFA U-20 월드컵에 아시아 대표로 출전했다.
199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이름1992년 UEFA 유러피언 U-21 챔피언십
다른 이름해당 없음
로고해당 없음
개최국해당 없음
개최 기간3월 10일 ~ 6월 3일
참가팀 수8
경기장해당 없음
결과
우승(1번째 우승)
3위해당 없음
4위해당 없음
통계
총 경기 수14
득점 총합32
총 관중 수해당 없음
최다 득점 선수레나토 부소 (3골)
최우수 선수레나토 부소
대회 연혁
이전 대회1990
다음 대회1994
일반 정보
대회 이름1992 UEFA European Under-21 Championship
이미지해당 없음
크기해당 없음
연도해당 없음
다른 타이틀해당 없음
국가해당 없음
날짜1990년 9월 11일 – 1991년 12월 18일 (예선)
날짜 (결승)1992년 3월 10일 – 6월 3일
연맹1
참가 팀 수32
경기장해당 없음
도시해당 없음
결과 정보
우승 횟수1
3위해당 없음
4위해당 없음
통계 정보
경기 수111
총 득점296
총 관중128567
최다 득점자레나토 부소 (3 goals)
최고 선수레나토 부소
대회 연혁
이전 시즌1990
다음 시즌1994
올림픽 예선 정보
대회 이름Men's European Qualifier
연도해당 없음
다른 타이틀해당 없음
국가해당 없음
연맹1
팀 수28
이전 시즌1988
다음 시즌1996

2. 예선

1992년 UEFA 유러피언 U-21 챔피언십 예선에는 총 32개 팀이 참가했다. 예선 조 편성은 UEFA 유로 1992 예선을 기반으로 일부 국가들의 불참을 반영하여 조정되었다. 32개 팀은 8개 조(1개 조는 5개 팀, 1개 조는 3개 팀, 6개 조는 4개 팀)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1조와 7조는 UEFA 유로 1992 예선과 동일한 국가로 구성되었다.
  • 2조에서는 산마리노가 제외되고 4조로 이동했다.
  • 3조에서는 키프로스가 제외되고 8조로 이동했다.
  • 4조에서는 북아일랜드와 페로 제도가 제외되었고, 산마리노가 2조에서 이동해 왔다.
  • 5조에서는 웨일스가 제외되었다.
  • 6조에서는 그리스가 제외되고 8조로 이동했다.
  • 8조는 키프로스 (3조에서 이동), 그리스 (6조에서 이동), 스웨덴, 이스라엘 (두 팀 모두 성인 유로 예선에 참가하지 않음)으로 구성되었다.


국가결과
1조체코슬로바키아본선 진출
2조스코틀랜드본선 진출
3조이탈리아본선 진출
4조덴마크본선 진출
5조독일본선 진출
6조네덜란드본선 진출
7조폴란드본선 진출
8조스웨덴본선 진출



각 조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width=100%

|valign="top" width="440"|

예선 1조경기득점실점승점
1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871023415
2프랑스/France프랑스어8323758
3스페인/Españaes7322658
4알바니아/Shqipëriasq71243134
5아이슬란드/Íslandis81163153



|valign="middle" align="center"|

valign="top" align=left width=50%|valign="top" align=left width=50%|



|}

{|width=100%

|valign="top" width="440"|

예선 2조경기득점실점승점
1스코틀랜드/Scotland영어650113510
2불가리아/Българияbg6402628
3루마니아/Româniaro6204594
4스위스/Schweizde61055132



|valign="middle" align="center"|

valign="middle" align=left width=50%|valign="middle" align=left width=50%|



|}

{|width=100%

|valign="top" width="440"|

예선 3조경기득점실점승점
1이탈리아/Italiait6411689
2노르웨이/Norgeno63121367
3소련/СССРru6231647
4헝가리/Magyarországhu6015181



|valign="middle" align="center"|

valign="middle" align=left width=50%|valign="middle" align=left width=50%|



|}

{|width=100%

|valign="top" width="440"|

예선 4조경기득점실점승점
1덴마크/Danmarkda642021410
2유고슬라비아/Југославијаsr640211108
3오스트리아/Österreichde6222856
4산마리노/San Marinoit60060210



|valign="middle" align="center"|

valign="middle" align=left width=50%|valign="middle" align=left width=50%|



|}

{|width=100%

|valign="top" width="440"|

예선 5조경기득점실점승점
1독일/Deutschlandde44001218
2벨기에/Belgiënl4202564
3룩셈부르크/Lëtzebuerglb40040100



|valign="middle" align="center"|

valign="middle" align=left width=50%|valign="middle" align=left width=50%|



|}

{|width=100%

|valign="top" width="440"|

예선 6조경기득점실점승점
1네덜란드/Nederlandnl642020410
2포르투갈/Portugalpt64209210
3핀란드/Suomifi62047134
4몰타/Malta몰타어60065220



|valign="middle" align="center"|

valign="middle" align=left width=50%|valign="middle" align=left width=50%|



|}

{|width=100%

|valign="top" width="440"|

예선 7조경기득점실점승점
1폴란드/Polskapl660010212
2잉글랜드/England영어63121157
3터키/Türkiyetr61146113
4아일랜드/Éirega61055142



|valign="middle" align="center"|

valign="middle" align=left width=50%|valign="middle" align=left width=50%|



|}

{|width=100%

|valign="top" width="440"|

예선 8조경기득점실점승점
1스웨덴/Sverigesv642017310
2이스라엘/ישראלhe63211168
3그리스/Ελλάδαel61146133
4키프로스/Κύπροςel61143153



|valign="middle" align="center"|

valign="middle" align=left width=50%|valign="middle" align=left width=50%|



|}

3. 본선 (8강 토너먼트)

'''8강전'''

199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8강전은 1992년 3월 10일부터 3월 25일까지 진행되었다.


  • 독일스코틀랜드의 경기는 1992년 3월 10일 보훔의 루르슈타디온에서 열렸으며, 슐멜러가 39분에 득점하여 독일이 앞서갔으나, 크리니가 31분에 득점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 3월 23일 애버딘피토드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스코틀랜드가 매키넌, 크리니, 램버트, 레이의 득점에 힘입어 크란츠, , 헤를리히가 득점한 독일을 4-3으로 꺾었다. 합계 5-4로 스코틀랜드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 네덜란드스웨덴의 경기는 1992년 3월 11일 위트레흐트의 스타디온 할헨바르트에서 열렸으며, 루스트와 타우멘트가 득점한 네덜란드가 푸르스트가 득점한 스웨덴을 2-1로 이겼다. 3월 25일 벡셰의 베렌스발렌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스웨덴이 심프손의 득점으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합계 2-2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스웨덴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 덴마크와 폴란드의 경기는 1992년 3월 11일 올보르의 올보르 스타디온에서 열렸으며, 프란센, 몰나르, 묄레르가 득점한 덴마크가 폴란드를 5-0으로 크게 이겼다. 3월 25일 자브제의 아레나 자브제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폴란드의 유스코비아크와 덴마크의 프랑크가 각각 득점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 합계 6-1로 덴마크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 체코슬로바키아와 이탈리아의 경기는 1992년 3월 11일 트르나바슈타디온 안토나 말라틴스케호에서 열렸으며, 멜리가 득점하고 코툴레크의 자책골로 이탈리아가 2-1로 승리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네차스가 페널티킥으로 득점했다. 3월 25일 파도바의 스타디오 실비오 아피아니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베르타렐리와 루차르디가 득점한 이탈리아가 2-0으로 승리했다. 합계 4-1로 이탈리아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전'''

1992년 4월 9일 덴마크 올보르의 올보르 스타디온에서 열린 덴마크와 이탈리아의 경기에서는 이탈리아가 레나토 부소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프랑스의 조엘 키니우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4월 22일 이탈리아 페루자의 스타디오 레나토 쿠리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이탈리아가 레나토 부소와 로베르토 무치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며 합계 3-0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불가리아의 루벤 스파소프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1992년 4월 22일 스코틀랜드 애버딘의 피토드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스코틀랜드와 스웨덴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폴란드의 미하우 리스트키에비치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4월 29일 스웨덴 외레브로의 에위라발렌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스웨덴이 요니 뢰들룬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합계 1-0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체코슬로바키아의 요제프 마르코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결승전'''

1992년 5월 28일, 이탈리아페라라스타디오 파올로 마차에서 열린 스웨덴과의 결승 1차전에서 부소와 소르도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15,846명이 운집한 가운데 마리오 판 데르 엔더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1992년 6월 3일, 스웨덴벡셰의 베렌스발렌에서 열린 2차전에서 심프손의 골로 이탈리아에 1-0으로 승리했다. 브라이언 맥긴레이 심판이 주관한 이 경기에는 6,172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합산 스코어 2-1로 이탈리아가 우승을 차지했다.

3. 1. 8강전

199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8강전은 1992년 3월 10일부터 3월 25일까지 진행되었다.

  • 독일스코틀랜드의 경기는 1992년 3월 10일 보훔의 루르슈타디온에서 열렸으며, 슐멜러가 39분에 득점하여 독일이 앞서갔으나, 크리니가 31분에 득점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 3월 23일 애버딘피토드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스코틀랜드가 매키넌, 크리니, 램버트, 레이의 득점에 힘입어 크란츠, , 헤를리히가 득점한 독일을 4-3으로 꺾었다. 합계 5-4로 스코틀랜드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 네덜란드스웨덴의 경기는 1992년 3월 11일 위트레흐트의 스타디온 할헨바르트에서 열렸으며, 루스트와 타우멘트가 득점한 네덜란드가 푸르스트가 득점한 스웨덴을 2-1로 이겼다. 3월 25일 벡셰의 베렌스발렌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스웨덴이 심프손의 득점으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합계 2-2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스웨덴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 덴마크와 폴란드의 경기는 1992년 3월 11일 올보르의 올보르 스타디온에서 열렸으며, 프란센, 몰나르, 묄레르가 득점한 덴마크가 폴란드를 5-0으로 크게 이겼다. 3월 25일 자브제의 아레나 자브제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폴란드의 유스코비아크와 덴마크의 프랑크가 각각 득점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 합계 6-1로 덴마크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 체코슬로바키아와 이탈리아의 경기는 1992년 3월 11일 트르나바슈타디온 안토나 말라틴스케호에서 열렸으며, 멜리가 득점하고 코툴레크의 자책골로 이탈리아가 2-1로 승리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네차스가 페널티킥으로 득점했다. 3월 25일 파도바의 스타디오 실비오 아피아니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베르타렐리와 루차르디가 득점한 이탈리아가 2-0으로 승리했다. 합계 4-1로 이탈리아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3. 2. 준결승전

1992년 4월 9일 덴마크 올보르의 올보르 스타디온에서 열린 덴마크와 이탈리아의 경기에서는 이탈리아가 레나토 부소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프랑스의 조엘 키니우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4월 22일 이탈리아 페루자의 스타디오 레나토 쿠리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이탈리아가 레나토 부소와 로베르토 무치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며 합계 3-0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불가리아의 루벤 스파소프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1992년 4월 22일 스코틀랜드 애버딘의 피토드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스코틀랜드와 스웨덴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폴란드의 미하우 리스트키에비치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4월 29일 스웨덴 외레브로의 에위라발렌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스웨덴이 요니 뢰들룬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합계 1-0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체코슬로바키아의 요제프 마르코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3. 3. 결승전

1992년 5월 28일, 이탈리아페라라스타디오 파올로 마차에서 열린 스웨덴과의 결승 1차전에서 부소와 소르도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15,846명이 운집한 가운데 마리오 판 데르 엔더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1992년 6월 3일, 스웨덴벡셰의 베렌스발렌에서 열린 2차전에서 심프손의 골로 이탈리아에 1-0으로 승리했다. 브라이언 맥긴레이 심판이 주관한 이 경기에는 6,172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합산 스코어 2-1로 이탈리아가 우승을 차지했다.

4. 우승 팀

{{#invoke:Sports table|main|style=WDL

|source=[ ]

|update=complete

|winpoints=2

|name_ITA= |win_ITA=5 |draw_ITA=0 |loss_ITA=1 |gf_ITA=9 |ga_ITA=2

|name_SWE= |win_SWE=3 |draw_SWE=1 |loss_SWE=2 |gf_SWE=4 |ga_SWE=4 |status_SWE=

|name_SCO= |win_SCO=1 |draw_SCO=2 |loss_SCO=1 |gf_SCO=5 |ga_SCO=5

|name_DEN= |win_DEN=1 |draw_DEN=1 |loss_DEN=2 |gf_DEN=6 |ga_DEN=4

|name_NED= |win_NED=1 |draw_NED=0 |loss_NED=1 |gf_NED=2 |ga_NED=2

|name_GER= |win_GER=0 |draw_GER=1 |loss_GER=1 |gf_GER=4 |ga_GER=5

|name_POL= |win_POL=0 |draw_POL=1 |loss_POL=1 |gf_POL=1 |ga_POL=6

|name_CZE= |win_CZE=0 |draw_CZE=0 |loss_CZE=2 |gf_CZE=1 |ga_CZE=4

|team1=ITA |team2=SWE |team3=SCO |team4=DEN |team5=NED |team6=GER |team7=POL |team8=CZE

|pos_ITA= |pos_SWE= |pos_SCO= |pos_DEN= |split4=yes

|res_col_header=최종 결과

|result1=1위 |result2=2위 |result3=준결승 |result4=준결승 |result5=8강 |result6=8강 |result7=8강 |result8=8강

|col_1st=gold |text_1st=금메달

|col_2nd=silver |text_2nd=은메달

|col_SF=lightblue |text_SF=준결승 탈락

|text_QF=8강 탈락

}}

5.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

이 대회는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의 유럽 지역 예선을 겸했으며 5개 팀이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했다.[3]


  • 스페인1992년 하계 올림픽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 덴마크, 이탈리아, 스웨덴은 해당 대회의 결선 토너먼트 준결승전에 진출함에 따라 올림픽 본선 진출 자격을 획득했다.[3]
  • 스코틀랜드는 1992년 UEFA 유러피언 U-21 챔피언십 준결승전에 진출했지만 올림픽 참가 자격이 없어, 8강전에서 탈락했던 팀들이 예선과 본선에서 기록한 경기당 평균 승점·득실차를 기준으로 본선 진출 팀을 결정했다.[3]


경기승점경기당 평균 승점경기당 평균 득실차결과
8611131.625118+31.375본선 직행
8521121.500226+163.667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10712151.500248+163.000예선 탈락
641191.500166+102.667예선 탈락


  • 폴란드는 경기당 평균 승점이 가장 높아 올림픽 본선 진출 자격을 획득했다. 네덜란드는 오세아니아와의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3]


참조

[1] 웹사이트 1992: Renato Buso http://www.uefa.com/[...] Union of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s 1992-06-01
[2] 웹사이트 Football Qualifying Tournament. Games of the XXV. Olympiad https://www.rsssf.or[...]
[3] 간행물 Kicker Sportmagazin #20/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