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하계 올림픽 체코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 체코 선수단은 금메달 4개, 은메달 3개, 동메달 4개를 획득하여 총 11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육상, 카누, 사격, 테니스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카누에서는 마틴 도크토르가 2관왕을 차지했다. 테니스에서는 야나 노보트나가 여자 단식 동메달, 여자 복식 은메달을 획득했다. 체코는 육상, 복싱, 카누, 사이클, 펜싱, 체조, 유도, 조정, 요트, 사격, 수영, 탁구, 테니스, 배구, 역도, 레슬링 등 다양한 종목에 선수들을 파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계 올림픽 체코 선수단 - 2012년 하계 올림픽 체코 선수단
2012년 하계 올림픽에 체코는 남자 68명, 여자 35명으로 구성된 총 103명의 선수단을 파견하여 배드민턴, 농구, 복싱, 카누, 사이클, 체조, 유도, 근대5종, 조정, 요트, 사격, 수영, 탁구,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배구, 역도, 레슬링, 육상 등 다양한 종목에 출전했다. - 하계 올림픽 체코 선수단 - 2016년 하계 올림픽 체코 선수단
2016년 하계 올림픽 체코 선수단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체코 선수단을 의미하며, 105명의 선수가 다양한 종목에 출전했다. - 1996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96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총 205명의 선수가 20개 종목에 출전하여 금메달 7개, 은메달 15개, 동메달 5개를 획득했다. - 1996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96년 하계 올림픽 부룬디 선수단
1996년 하계 올림픽 부룬디 선수단은 육상 종목에 7명의 선수가 출전했으며, 베뉘스트 니용가보가 남자 50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6년 하계 올림픽 체코 선수단 | |
---|---|
기본 정보 | |
NOC | CZE |
NOC 명칭 | 체코 올림픽 위원회 |
웹사이트 | www.olympic.cz 체코 올림픽 위원회 공식 웹사이트(체코어/영어) |
올림픽 참가 | 하계 올림픽 |
개최 연도 | 1996년 |
개최지 | 애틀랜타 |
참가 선수 | 115명 (남자 76명, 여자 39명) |
종목 | 17개 |
기수 (개막식) | 바츨라프 할루파 |
기수 (폐막식) | 얀 젤레즈니 |
최종 순위 | 17위 |
금메달 | 4개 |
은메달 | 3개 |
동메달 | 4개 |
첫 참가 연도 | 1996년 |
마지막 참가 연도 | 해당 없음 |
이전 참가 (보헤미아) | 보헤미아 (1900–1912) |
이전 참가 (체코슬로바키아) | 체코슬로바키아 (1920–1992) |
2. 메달 집계
1996년 하계 올림픽 체코 선수단은 금메달 4개, 은메달 3개, 동메달 4개로 총 11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성별 | -- | -- | -- | 합계 | 비율 |
---|---|---|---|---|---|
남자 | 3 | 2 | 2 | 7 | 63.63% |
여자 | 1 | 1 | 2 | 4 | 36.36% |
혼성 | 0 | 0 | 0 | 0 | 0.00% |
합계 | 4 | 3 | 4 | 11 | 100% |
이름 | 종목 | -- | -- | -- | 합계 |
---|---|---|---|---|---|
마틴 도크토르 | 카누 | 2 | 0 | 0 | 2 |
야나 노보트나 | 테니스 | 0 | 1 | 1 | 2 |
2. 1. 종목별 메달 집계
2. 2. 메달리스트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 | 슈테판카 힐게르토바 | 카누 | 여자 K-1 슬라롬 | 7월 27일 |
-- | 얀 젤레즈니 | 육상 | 남자 창던지기 | 8월 3일 |
-- | 마틴 도크토르 | 카누 | 남자 C-1 1000m | 8월 3일 |
-- | 마틴 도크토르 | 카누 | 남자 C-1 500m | 8월 4일 |
-- | 루카시 폴레르트 | 카누 | 남자 C-1 슬라롬 | 7월 27일 |
-- | 이르지 로한, 미로슬라프 시메크 | 카누 | 남자 C-2 슬라롬 | 7월 28일 |
-- | 야나 노보트나, 헬레나 수코바 | 테니스 | 여자 복식 | 8월 3일 |
-- | 미로슬라프 야누슈 | 사격 | 남자 10m 러닝 타겟 | 7월 26일 |
-- | 샤르카 카슈파르코바 | 육상 | 여자 세단뛰기 | 7월 31일 |
-- | 토마시 드보르자크 | 육상 | 남자 십종 경기 | 8월 1일 |
-- | 야나 노보트나 | 테니스 | 여자 단식 | 8월 2일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5%; text-align:center"
|-
! 종목별 메달
|-
|
종목 | -- | -- | -- | 합계 |
---|---|---|---|---|
육상 | 1 | 0 | 2 | 3 |
카누 | 3 | 2 | 0 | 5 |
사격 | 0 | 0 | 1 | 1 |
테니스 | 0 | 1 | 1 | 2 |
합계 | 4 | 3 | 4 | 11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5%; text-align:center"
|-
! 날짜별 메달
|-
|
날짜 | -- | -- | -- | 합계 |
---|---|---|---|---|
7월 26일 | 0 | 0 | 1 | 1 |
7월 27일 | 1 | 1 | 0 | 2 |
7월 28일 | 0 | 1 | 0 | 1 |
7월 31일 | 0 | 0 | 1 | 1 |
8월 1일 | 0 | 0 | 1 | 1 |
8월 2일 | 0 | 0 | 1 | 1 |
8월 3일 | 2 | 1 | 0 | 3 |
8월 4일 | 1 | 0 | 0 | 1 |
합계 | 4 | 3 | 4 | 11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5%; text-align:center"
|-
! 성별 메달
|-
|
성별 | -- | -- | -- | 합계 | 비율 |
---|---|---|---|---|---|
남자 | 3 | 2 | 2 | 7 | 63.63% |
여자 | 1 | 1 | 2 | 4 | 36.36% |
혼성 | 0 | 0 | 0 | 0 | 0.00% |
합계 | 4 | 3 | 4 | 11 | 100%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5%; text-align:center"
|-
! 다관왕
|-
|
이름 | 종목 | -- | -- | -- | 합계 |
---|---|---|---|---|---|
마틴 도크토르 | 카누 | 2 | 0 | 0 | 2 |
야나 노보트나 | 테니스 | 0 | 1 | 1 | 2 |
페트르 푹사
|}
3. 종목별 경기 결과
C-2 500m 1:47.955 8 1:50.480 3 1:44.902 6 진출 실패 C-2 1000m 4:25.295 8 colspan=2| 3:51.576 5 진출 실패 이르지 폴리브카
카렐 레쉬티나K-2 500m 1:34.107 6 1:37.119 2 1:32.517 7 진출 실패 페트르 흐루슈카
르네 쿠체라K-2 1000m 3:42.682 4 3:35.216 3 3:21.384 7 진출 실패 카렐 레쉬티나
파벨 므라즈
마르틴 오타할
이르지 폴리브카K-4 1000m 3:19.868 7 colspan=2| 3:06.611 5 진출 실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