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8월 8일과 12월 19일에 치러졌으며, 국회의원 13명, 기초단체장 2명, 광역의원 6명, 기초의원 8명을 선출했다. 8월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이 압승을 거두었고, 12월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이 국회의원 1명, 광역의원 3명을, 무소속이 기초단체장 1명, 기초의원 4명을 배출했다. 이 선거 결과는 김대중 대통령의 레임덕 현상을 심화시키고, 한나라당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대한민국의 선거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장과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로, 월드컵 기간과 겹쳐 투표율이 저조했으며 한나라당의 압승 속에서 민주당의 호남 강세, 민주노동당의 약진 등이 나타났다. - 대한민국의 재보궐선거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 대한민국의 재보궐선거 - 201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1년 4월 27일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국회의원 3명과 광역단체장 1명을 선출하는 선거였으며, 야당의 압승과 함께 2012년 대선에 영향을 미쳤고, 한나라당 지도부의 총사퇴로 이어졌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되었으며, 새누리당이 152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고, 야권연대, 선거구 조정, 투표율 54.3% 등의 특징을 보였다.
| 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
|---|---|
| 선거 내용 | |
| 선거 | 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 실시일 | 2002년 8월 8일 |
| 선거 종류 | 대한민국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
| 선거구 | 6개 선거구 |
| 이전 선거 | <2001년 |
| 다음 선거 | 2003년> |
2. 8월 8일 재보궐선거
2002년 8월 8일에 국회의원 13명을 선출하는 재보궐선거가 실시되었다. 이 선거는 전임 의원들의 당선무효, 사직, 사망 등으로 인해 치러졌다.
2. 1. 개요
- 투표일: 2002년 8월 8일
- 투표내용: 국회의원 13명
2. 2. 선거구역 및 사유
| 직책 | 정당 | 전임자 | 선거구 | 선거 사유 | 선거 종류 |
|---|---|---|---|---|---|
| 국회의원 | 한나라당 | 정인봉 | 서울 종로구 | 당선무효 | 재선거 |
| 국회의원 | 새천년민주당 | 장성민 | 서울 금천구 | 당선무효 | 재선거 |
| 국회의원 | 새천년민주당 | 김민석 | 서울 영등포구 을 | 사직 | 보궐선거 |
| 국회의원 | 한나라당 | 정재문 | 부산 부산진구 갑 | 당선무효 | 재선거 |
| 국회의원 | 한나라당 | 손태인 |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갑 | 사망 | 보궐선거 |
| 국회의원 | 새천년민주당 | 박용호 | 인천 서구·강화군 을 | 당선무효 | 재선거 |
| 국회의원 | 새천년민주당 | 박광태 | 광주 북구 갑 | 사직 | 보궐선거 |
| 국회의원 | 한나라당 | 손학규 | 경기 광명시 | 사직 | 보궐선거 |
| 국회의원 | 한나라당 | 유성근 | 경기 하남시 | 당선무효 | 재선거 |
| 국회의원 | 새천년민주당 | 심규섭 | 경기 안성시 | 사망 | 보궐선거 |
| 국회의원 | 새천년민주당 | 강현욱 | 전북 군산시 | 사직 | 보궐선거 |
| 국회의원 | 한나라당 | 김호일 | 경남 마산시 합포구 | 당선무효 | 재선거 |
| 국회의원 | 새천년민주당 | 장정언 | 제주 북제주군 | 당선무효 | 재선거 |
2. 3. 정당별 당선자
| 정당 | 당선자 수 |
|---|---|
| 한나라당 | 6 |
| 새천년민주당 | 7 |
| 합계 | 13 |
2. 4. 개표 결과
| 직책 | 정당 | 전임자 | 선거구 | 선거 사유 | 선거 종류 | 비고 |
|---|---|---|---|---|---|---|
| 국회의원 | 한나라당 | 정인봉 | 서울 종로구 | 당선무효 | 재선거 | |
| 국회의원 | 새천년민주당 | 장성민 | 서울 금천구 | 당선무효 | 재선거 | |
| 국회의원 | 새천년민주당 | 김민석 | 서울 영등포구 을 | 사직 | 보궐선거 | |
| 국회의원 | 한나라당 | 정재문 | 부산 부산진구 갑 | 당선무효 | 재선거 | |
| 국회의원 | 한나라당 | 손태인 |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갑 | 사망 | 보궐선거 | |
| 국회의원 | 새천년민주당 | 박용호 | 인천 서구·강화군 을 | 당선무효 | 재선거 | |
| 국회의원 | 새천년민주당 | 박광태 | 광주 북구 갑 | 사직 | 보궐선거 | |
| 국회의원 | 한나라당 | 손학규 | 경기 광명시 | 사직 | 보궐선거 | |
| 국회의원 | 한나라당 | 유성근 | 경기 하남시 | 당선무효 | 재선거 | |
| 국회의원 | 새천년민주당 | 심규섭 | 경기 안성시 | 사망 | 보궐선거 | |
| 국회의원 | 새천년민주당 | 강현욱 | 전북 군산시 | 사직 | 보궐선거 | |
| 국회의원 | 한나라당 | 김호일 | 경남 마산시 합포구 | 당선무효 | 재선거 | |
| 국회의원 | 새천년민주당 | 장정언 | 제주 북제주군 | 당선무효 | 재선거 |
2002년 12월 19일 재보궐선거는 제16대 대통령 선거와 동시에 실시되었으며, 국회의원 13명을 선출하였다. 각 선거구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12월 19일 재보궐선거
선거구 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서울 종로구 한나라당 박진 20,300 50.3 무소속 정흥진 9,597 23.8 새천년민주당 유인태 8,953 22.2 무소속 양연수 1,500 3.7 합계 40,350 서울 금천구 한나라당 이우재 24,649 54.0 새천년민주당 이목희 9,301 20.4 무소속 김기영 6,534 14.3 민주노동당 최규엽 2,993 6.6 사회당1998 김향미 2,138 4.7 합계 45,615 서울 영등포구 을 한나라당 권영세 20,976 54.9 새천년민주당 장기표 14,419 37.7 무소속 김형수 1,464 3.8 무소속 구자일 937 2.5 무소속 박상오 406 1.1 합계 38,202 부산 부산진구 갑 한나라당 김병호 24,271 50.1 무소속 하계열 19,756 40.8 새천년민주당 이세일 4,452 9.2 합계 48,479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갑 한나라당 서병수 27,961 69.6 새천년민주당 최인호 8,065 20.0 무소속 송관종 3,536 8.8 민주공화당1997 박호원 634 1.6 합계 40,196 인천 서구·강화군 을 한나라당 이경재 22,670 73.6 새천년민주당 신동근 8,144 26.4 합계 30,814 광주 북구 갑 새천년민주당 김상현 18,618 55.9 무소속 변형 6,870 20.6 무소속 강기정 6,047 18.1 한나라당 박영구 1,376 4.1 무소속 이준수 430 1.3 합계 33,341 경기 광명시 한나라당 전재희 40,975 56.4 새천년민주당 남궁진 30,522 42.0 무소속 오명환 1,199 1.6 합계 72,696 경기 하남시 한나라당 김황식 14,356 44.3 새천년민주당 문학진 11,460 35.3 무소속 손영채 4,479 13.8 무소속 양인석 2,154 6.6 합계 32,449 경기 안성시 한나라당 이해구 24,553 53.9 새천년민주당 김선미 20,961 46.1 합계 45,514 전북 군산시 새천년민주당 강봉균 36,855 58.1 무소속 함운경 23,841 37.6 한나라당 조충렬 2,729 4.3 합계 63,425 경남 마산시 합포구 한나라당 김정부 21,700 47.8 무소속 한석태 12,018 26.5 새천년민주당 김성진 4,400 9.7 민주노동당 주대환 3,141 6.9 무소속 윤봉현 2,136 4.7 무소속 박석동 2,010 4.4 합계 45,405 제주 북제주군 한나라당 양정규 21,139 50.8 새천년민주당 홍성제 20,493 49.2 합계 41,632
3. 1. 개요
3. 2. 선거구역 및 사유
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국회의원, 광역의원, 기초의원 등 다양한 직책의 공석을 메우기 위해 실시되었다.
| 선거구 | 사유 | 비고 |
|---|---|---|
| 서울 종로구 | ||
| 서울 금천구 | ||
| 서울 영등포구 을 | ||
| 부산 부산진구 갑 | ||
|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갑 | ||
| 인천 서구·강화군 을 | ||
| 광주 북구 갑 | ||
| 경기 광명시 | ||
| 경기 하남시 | ||
| 경기 안성시 | ||
| 전북 군산시 | ||
| 경남 마산시 합포구 | ||
| 제주 북제주군 | ||
| 울산 중구 | 사망 | 보궐선거 |
| 청주시 제2선거구 | 사망 | 보궐선거 |
| 안동시 제1선거구 | 사망 | 보궐선거 |
| 상주시 제2선거구 | 사망 | 보궐선거 |
| 동대문구 휘경1동 선거구 | 사망 | 보궐선거 |
| 강릉시 옥계면 선거구 | 사직 | 보궐선거 |
| 거제시 거제면 선거구 | 사망 | 보궐선거 |
| 의령군 궁류면 선거구 | 당선무효 | 재선거 |
3. 3. 정당별 당선자
| 정당 | 국회의원 | 기초단체장 | 광역의원 |
|---|---|---|---|
| 한나라당 | 1 | 3 | |
| 무소속 | 1 |
3. 4. 개표 결과
2002년 재보궐선거의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이 새천년민주당보다 더 많은 의석을 확보했다.| 선거구 | 정당 | 전임자 | 정당 | 당선자 | ||
|---|---|---|---|---|---|---|
| 서울 종로구 | 한나라당 | 정인봉 | 한나라당 | 박진 | ||
| 서울 금천구 | 새천년민주당 | 장성민 | 한나라당 | 이우재 | ||
| 서울 영등포구 을 | 새천년민주당 | 김민석 | 한나라당 | 권영세 | ||
| 부산 부산진구 갑 | 한나라당 | 정재문 | 한나라당 | 김병호 | ||
|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갑 | 한나라당 | 손태인 | 한나라당 | 서병수 | ||
| 인천 서구·강화군 을 | 새천년민주당 | 박용호 | 한나라당 | 이경재 | ||
| 광주 북구 갑 | 새천년민주당 | 박광태 | 새천년민주당 | 김상현 | ||
| 경기 광명시 | 한나라당 | 손학규 | 한나라당 | 전재희 | ||
| 경기 하남시 | 한나라당 | 유성근 | 한나라당 | 김황식 | ||
| 경기 안성시 | 새천년민주당 | 심규섭 | 한나라당 | 이해구 | ||
| 전북 군산시 | 새천년민주당 | 강현욱 | 새천년민주당 | 강봉균 | ||
| 경남 마산시 합포구 | 한나라당 | 김호일 | 한나라당 | 김정부 | ||
| 제주 북제주군 | 새천년민주당 | 장정언 | 한나라당 | 양정규 | ||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선거 결과는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3. 4. 1. 국회의원
| 선거구 | 정당 | 전임자 | 정당 | 당선자 |
|---|---|---|---|---|
| 서울 종로구 | 한나라당 | 정인봉 | 한나라당 | 박진 |
| 서울 금천구 | 새천년민주당 | 장성민 | 한나라당 | 이우재 |
| 서울 영등포구 을 | 새천년민주당 | 김민석 | 한나라당 | 권영세 |
| 부산 부산진구 갑 | 한나라당 | 정재문 | 한나라당 | 김병호 |
|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갑 | 한나라당 | 손태인 | 한나라당 | 서병수 |
| 인천 서구·강화군 을 | 새천년민주당 | 박용호 | 한나라당 | 이경재 |
| 광주 북구 갑 | 새천년민주당 | 박광태 | 새천년민주당 | 김상현 |
| 경기 광명시 | 한나라당 | 손학규 | 한나라당 | 전재희 |
| 경기 하남시 | 한나라당 | 유성근 | 한나라당 | 김황식 |
| 경기 안성시 | 새천년민주당 | 심규섭 | 한나라당 | 이해구 |
| 전북 군산시 | 새천년민주당 | 강현욱 | 새천년민주당 | 강봉균 |
| 경남 마산시 합포구 | 한나라당 | 김호일 | 한나라당 | 김정부 |
| 제주 북제주군 | 새천년민주당 | 장정언 | 한나라당 | 양정규 |
| 울산 중구 | 한나라당 | 김태호 | 한나라당 | 정갑윤 |
3. 4. 2. 기초단체장
3. 4. 3. 광역의원
| 선거구 | 정당 | 전임자 | 정당 | 당선자 | ||
|---|---|---|---|---|---|---|
| 청주시 제2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한나라당 | 황태모 | style="background-color:"| | 한나라당 | 이대원 |
| 안동시 제1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한나라당 | 윤상주 | style="background-color:"| | 한나라당 | 권종연 |
| 상주시 제2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한나라당 | 김정수 | style="background-color:"| | 한나라당 | 장미향 |
3. 4. 4. 기초의원
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기초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구 | 정당 | 당선자 | 득표수 | 득표율 |
|---|---|---|---|---|
| 동대문구 휘경1동 선거구 | 무소속 | 백금산 | 3,006 | |
| 강릉시 옥계면 선거구 | 무소속 | 박낙언 | 1,517 | |
| 거제시 거제면 선거구 | 무소속 | 황종명 | 1,450 | |
| 의령군 궁류면 선거구 | 무소속 | 손태영 | 654 |
각 기초의원 선거구별 전임자, 당선자 및 정당은 다음과 같다.
| 선거구 | 정당 | 전임자 | 정당 | 당선자 |
|---|---|---|---|---|
| 동대문구 휘경1동 선거구 | 무소속 | 양동락 | 무소속 | 백금산 |
| 강릉시 옥계면 선거구 | 무소속 | 이용기 | 무소속 | 박낙언 |
| 거제시 거제면 선거구 | 무소속 | 김준의 | 무소속 | 황종명 |
| 의령군 궁류면 선거구 | 무소속 | 성수현 | 무소속 | 손태영 |
4. 선거 결과의 의미와 영향
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중 전북 장수군수 선거는 새천년민주당 소속 최용득 군수가 사직하여 치러지게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