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경기는 2010년 2월 17일 사이프러스 마운틴에서 진행되었다. 예선, 준결선, 결선으로 진행되었으며, 예선에서 각 조 상위 3명이 결선에 직행하고, 4~9위는 준결선에 진출했다. 준결선에서는 12명의 선수가 경쟁하여 상위 6명이 결선에 진출했으며, 결선에서는 예선 상위 3명과 준결선 상위 6명을 포함한 총 12명의 선수가 메달을 놓고 경쟁했다. 숀 화이트(미국)가 금메달, 피투 피로이넨(핀란드)이 은메달, 스콧 라고(미국)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평행대회전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평행대회전은 2010년 2월 26일 캐나다에서 열렸으며, 네덜란드의 니콜린 사우어브레이가 금메달을,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일류히나가 은메달을, 오스트리아의 마리온 크라이너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하프파이프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하프파이프는 휘슬러 블랙콤에서 열린 스노보드 경기로, 토라 브라이트가 금메달, 한나 테터가 은메달, 켈리 클라크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예선, 준결선, 결선으로 진행, 총 30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스노보드 크로스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스노보드 크로스는 32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어 세스 웨스콧이 금메달, 마이크 로버트슨이 은메달, 토니 라모잉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남자
2010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남자 경기는 2월 18일과 19일에 걸쳐 4차례의 주행으로 진행되었으며, 존 몽고메리, 마르틴스 두쿠르스, 알렉산드르 트레티야코프가 각각 금, 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 조인호 선수는 22위를 기록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캐나다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미국이 동메달을 획득한 쇼트트랙 종목이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단체 추월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단체 추월 경기는 2010년 2월에 개최되었으며, 독일이 금메달, 일본이 은메달, 폴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8위를 기록했다.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남자 하프파이프 |
대회 | 2010년 동계 올림픽 |
경기장 | 사이프러스 마운틴 |
날짜 | 2010년 2월 17일 |
참가 선수 | 40명 |
참가 국가 | 17개국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숀 화이트 |
금메달 국가 | USA |
은메달 | 피투 피로이넨 |
은메달 국가 | FIN |
동메달 | 스콧 라고 |
동메달 국가 | USA |
우승 점수 | 48.4 |
우승 점수 레이블 | 우승 점수 |
올림픽 역사 | |
이전 대회 | 2006 |
다음 대회 | 2014 |
2. 경기 진행 방식
각 라운드에서 선수들은 하프파이프를 두 번 통과하며, 최고 점수를 기준으로 다음 라운드 진출 또는 메달 획득 여부가 결정되었다.[1] 각 라운드(예선 첫 번째 런 제외)에서 경기 순서는 점수의 역순으로 정해졌다. 즉,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선수가 먼저 경기를 하고,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선수가 마지막으로 경기를 했다.[1]
40명의 스노보더가 두 개의 조로 나뉘어 예선 경기를 치렀고, 각 조 상위 3명은 결승에 직행, 4~9위는 준결승에 진출했다.[1] 준결승에서는 12명의 선수가 경기를 펼쳐 상위 6명이 결승에 진출했다.[1]
2. 1. 예선
40명의 선수가 두 조로 나뉘어 예선 경기를 진행했다. 각 조 상위 3명은 결선에 직행했고, 4~9위는 준결선에 진출했다.[1]순위 | 조 | 순서 | 이름 | 국가 | 1차 | 2차 | 최고 | 비고 |
---|---|---|---|---|---|---|---|---|
1 | 1 | 5 | 숀 화이트 | 45.8 | 10.8 | 45.8 | QF | |
2 | 1 | 6 | 아오노 료 | 33.2 | 43.1 | 43.1 | QF | |
3 | 1 | 3 | 루이 비토 | 26.1 | 41.8 | 41.8 | QF | |
4 | 1 | 16 | 아루앙 리키아디 | 25.4 | 37.9 | 37.9 | QS | |
5 | 1 | 1 | 젱샤오예 | 14.0 | 32.8 | 32.8 | QS | |
6 | 1 | 7 | 마티유 크레펠 | 32.6 | 2.5 | 32.6 | QS | |
7 | 1 | 9 | 벤 킬너 | 21.5 | 32.1 | 32.1 | QS | |
8 | 1 | 2 | 가리 제브로스키 | 31.6 | 18.7 | 31.6 | QS | |
9 | 1 | 14 | 벤 메이츠 | 28.3 | 29.6 | 29.6 | QS | |
10 | 1 | 12 | 제임스 해밀턴 | 5.2 | 28.0 | 28.0 | ||
11 | 1 | 4 | 얀 코르피 | 26.5 | 15.6 | 26.5 | ||
12 | 1 | 10 | 김호준 | 8.4 | 25.8 | 25.8 | ||
13 | 1 | 8 | 마르쿠스 켈러 | 13.6 | 20.4 | 20.4 | ||
14 | 1 | 15 | 스탈리 산베흐 | 9.1 | 20.1 | 20.1 | ||
15 | 1 | 11 | 루벤 베르게스 | 9.4 | 19.5 | 19.5 | ||
16 | 1 | 13 | 로제르 S. 클레이비달 | 15.7 | 18.4 | 18.4 | ||
17 | 1 | 19 | 크리스티안 할러 | 8.0 | 16.0 | 16.0 | ||
18 | 1 | 18 | 돌프 반 데르 발 | 14.5 | 11.8 | 14.5 | ||
19 | 1 | 20 | 미챨 리고키 | 10.8 | 11.1 | 11.1 | ||
20 | 1 | 17 | 마누엘라 피에트로폴리 | 9.3 | 5.2 | 9.3 | ||
1 | 2 | 37 | 피투 피로이넨 | 44.0 | 45.1 | 45.1 | QF | |
2 | 2 | 28 | 고쿠보 가즈히로 | 42.1 | 42.5 | 42.5 | QF | |
3 | 2 | 27 | 이우리 포드라치코프 | 36.3 | 41.4 | 41.4 | QF | |
4 | 2 | 34 | 그레그 브레츠 | 36.2 | 41.3 | 41.3 | QS | |
5 | 2 | 36 | 마르쿠 코스키 | 39.3 | 11.9 | 39.3 | QS | |
6 | 2 | 38 | 스콧 라고 | 39.0 | 28.4 | 39.0 | QS | |
7 | 2 | 30 | 구도 고헤이 | 3.2 | 37.1 | 37.1 | QS | |
8 | 2 | 23 | 마르쿠스 말린 | 32.8 | 36.7 | 36.7 | QS | |
9 | 2 | 26 | 저스틴 라모룩스 | 12.6 | 35.4 | 35.4 | QS | |
10 | 2 | 22 | 아투 롱고 | 34.5 | 32.4 | 34.5 | ||
11 | 2 | 33 | 크리스토프 슈미트 | 9.8 | 32.3 | 32.3 | ||
12 | 2 | 32 | 스코티 제임스 | 7.6 | 28.2 | 28.2 | ||
13 | 2 | 24 | 브래드 마틴 | 11.2 | 27.5 | 27.5 | ||
14 | 2 | 29 | 세르지오 베르거 | 7.3 | 26.2 | 26.2 | ||
15 | 2 | 25 | 무라카미 다이스케 | 15.1 | 23.5 | 23.5 | ||
16 | 2 | 35 | 토레 비켄 홀비크 | 23.1 | 19.6 | 23.1 | ||
17 | 2 | 21 | 제프 배칠러 | 14.9 | 18.5 | 18.5 | ||
18 | 2 | 39 | 미첼 브라운 | 18.4 | 15.2 | 18.4 | ||
19 | 2 | 31 | 시완쳉 | 15.8 | 18.0 | 18.0 | ||
2 | 40 | 프레드릭 우스트보 | DNS | DNS | DNS |
- QF: 결선 진출
- QS: 준결선 진출
- DNS: 출발하지 않음
2. 2. 준결선
준결선에서는 12명의 선수가 경기를 펼쳐 상위 6명이 결선에 진출했다.[1]순위 | 순서 | 이름 | 국가 | 1차 | 2차 | 최고 | 비고 |
---|---|---|---|---|---|---|---|
1 | 23 | 마르쿠스 말린 | 42.9 | 21.9 | 42.9 | QF | |
2 | 34 | 그레그 브레츠 | 42.1 | 38.0 | 42.1 | QF | |
3 | 38 | 스콧 라고 | 41.3 | 16.2 | 41.3 | QF | |
4 | 7 | 마티유 크레펠 | 37.2 | 22.6 | 37.2 | QF | |
5 | 36 | 마르쿠 코스키 | 37.1 | 12.8 | 37.1 | QF | |
6 | 26 | 저스틴 라모룩스 | 36.2 | 20.2 | 36.2 | QF | |
7 | 2 | 가리 제브로스키 | 20.1 | 36.1 | 36.1 | ||
8 | 30 | 구도 고헤이 | 30.6 | 33.5 | 33.5 | ||
9 | 16 | 아루앙 리키아디 | 33.2 | 12.8 | 33.2 | ||
10 | 1 | 젱샤오예 | 32.9 | 16.2 | 32.9 | ||
11 | 14 | 벤 메이츠 | 3.6 | 27.5 | 27.5 | ||
12 | 9 | 벤 킬너 | 3.1 | 17.0 | 17.0 |
각 선수들은 하프파이프를 두 번 통과하는 경기를 펼쳤으며,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런으로 다음 라운드 진출 여부가 결정되었다.[1] 준결승에서 상위 6명의 선수들은 예선에서 상위 3명의 선수들과 함께 결승에 진출했다.[1]
2. 3. 결선
예선 상위 3명과 준결선 상위 6명, 총 12명의 선수가 메달을 놓고 경쟁했다.순위 | 순서 | 이름 | 국가 | 1차 | 2차 | 최고 |
---|---|---|---|---|---|---|
5 | 숀 화이트 | 46.8 | 48.4 | 48.4 | ||
37 | 피투 피로이넨 | 40.8 | 45.0 | 45.0 | ||
38 | 스콧 라고 | 42.8 | 17.5 | 42.8 | ||
4 | 27 | 이우리 포드라치코프 | 42.4 | 17.6 | 42.4 | |
5 | 3 | 루이 비토 | 39.1 | 39.4 | 39.4 | |
6 | 36 | 마르쿠 코스키 | 36.4 | 25.0 | 36.4 | |
7 | 26 | 저스틴 라모룩스 | 33.8 | 35.9 | 35.9 | |
8 | 28 | 고쿠보 가즈히로 | 30.5 | 35.7 | 35.7 | |
9 | 6 | 아오노 료 | 32.9 | 29.1 | 32.9 | |
10 | 7 | 마티유 크레펠 | 25.9 | 8.7 | 25.9 | |
11 | 23 | 마르쿠스 말린 | 16.7 | 18.6 | 18.6 | |
12 | 34 | 그레그 브레츠 | 18.3 | 13.0 | 18.3 |
각 라운드에서 각 선수는 하프파이프를 두 번 통과하는 경기를 펼쳤다.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런으로 선수의 메달 획득 여부가 결정되었다.
숀 화이트는 첫 번째 런으로 이미 금메달을 확정지었다(다른 선수들의 두 번째 런 점수는 화이트의 46.8점을 넘지 못했다). 하지만 그는 두 번째 런을 수행하여 더블 맥트위스트 1260을 성공적으로 완수했고, 자신의 초기 점수를 향상시켰다.
이 경기는 현재까지 야간에 열린 유일한 올림픽 하프파이프 결승전이다.
3. 경기 결과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경기는 2010년 2월 17일에 사이프러스 마운틴에서 열렸다.
경기는 예선, 준결선, 결선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예선에서는 각 조 상위 3명씩 총 6명이 결선에 직행했고, 각 조 4~9위 선수 12명은 준결선을 치러 상위 6명이 결선에 추가로 진출했다.
예선 결과는 다음과 같다.순위 조 순서 이름 국가 1차 2차 최고 비고 1 1 5 숀 화이트 45.8 10.8 45.8 QF 2 1 6 아오노 료 33.2 43.1 43.1 QF 3 1 3 루이 비토 26.1 41.8 41.8 QF 4 1 16 아루앙 리키아디 25.4 37.9 37.9 QS 5 1 1 젱샤오예 14.0 32.8 32.8 QS 6 1 7 마티유 크레펠 32.6 2.5 32.6 QS 7 1 9 벤 킬너 21.5 32.1 32.1 QS 8 1 2 가리 제브로스키 31.6 18.7 31.6 QS 9 1 14 벤 메이츠 28.3 29.6 29.6 QS 10 1 12 제임스 해밀턴 5.2 28.0 28.0 11 1 4 얀 코르피 26.5 15.6 26.5 12 1 10 김호준 8.4 25.8 25.8 13 1 8 마르쿠스 켈러 13.6 20.4 20.4 14 1 15 스탈리 산베흐 9.1 20.1 20.1 15 1 11 루벤 베르게스 9.4 19.5 19.5 16 1 13 로제 S. 클레이비달 15.7 18.4 18.4 17 1 19 크리스티안 할러 8.0 16.0 16.0 18 1 18 돌프 반 데르 발 14.5 11.8 14.5 19 1 20 미챨 리고키 10.8 11.1 11.1 20 1 17 마누엘라 피에트로폴리 9.3 5.2 9.3 1 2 37 피투 피로이넨 44.0 45.1 45.1 QF 2 2 28 고쿠보 가즈히로 42.1 42.5 42.5 QF 3 2 27 이우리 포드라치코프 36.3 41.4 41.4 QF 4 2 34 그레그 브레츠 36.2 41.3 41.3 QS 5 2 36 마르쿠 코스키 39.3 11.9 39.3 QS 6 2 38 스코티 라고 39.0 28.4 39.0 QS 7 2 30 구도 고헤이 3.2 37.1 37.1 QS 8 2 23 마르쿠스 말린 32.8 36.7 36.7 QS 9 2 26 저스틴 라모룩스 12.6 35.4 35.4 QS 10 2 22 아투 롱고 34.5 32.4 34.5 11 2 33 크리스토프 슈미트 9.8 32.3 32.3 12 2 32 스코티 제임스 7.6 28.2 28.2 13 2 24 브래드 마틴 11.2 27.5 27.5 14 2 29 세르지오 베르거 7.3 26.2 26.2 15 2 25 무라카미 다이스케 15.1 23.5 23.5 16 2 35 토레 비켄 홀비크 23.1 19.6 23.1 17 2 21 제프 배칠러 14.9 18.5 18.5 18 2 39 미첼 브라운 18.4 15.2 18.4 19 2 31 시완쳉 15.8 18.0 18.0 20 2 40 프레드릭 우스트보 DNS DNS DNS
준결선에서는 마르쿠스 말린, 그레그 브레츠, 스콧 라고, 마티유 크레펠, 마르쿠 코스키, 저스틴 라모룩스가 결선에 진출했다.
결선에서는 숀 화이트가 48.4점으로 금메달, 피투 피로이넨이 45.0점으로 은메달, 스콧 라고가 42.8점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3. 1. 예선
순위 | 조 | 순서 | 이름 | 국가 | 1차 | 2차 | 최고 | 비고 |
---|---|---|---|---|---|---|---|---|
1 | 1 | 5 | 숀 화이트 | align=left| | 45.8 | 10.8 | 45.8 | QF |
2 | 1 | 6 | 아오노 료 | align=left| | 33.2 | 43.1 | 43.1 | QF |
3 | 1 | 3 | 루이 비토 | align=left| | 26.1 | 41.8 | 41.8 | QF |
4 | 1 | 16 | 아루앙 리키아디 | align=left| | 25.4 | 37.9 | 37.9 | QS |
5 | 1 | 1 | 젱샤오예 | align=left| | 14.0 | 32.8 | 32.8 | QS |
6 | 1 | 7 | 마티유 크레펠 | align=left| | 32.6 | 2.5 | 32.6 | QS |
7 | 1 | 9 | 벤 킬너 | align=left| | 21.5 | 32.1 | 32.1 | QS |
8 | 1 | 2 | 가리 제브로스키 | align=left| | 31.6 | 18.7 | 31.6 | QS |
9 | 1 | 14 | 벤 메이츠 | align=left| | 28.3 | 29.6 | 29.6 | QS |
10 | 1 | 12 | 제임스 해밀턴 | align=left| | 5.2 | 28.0 | 28.0 | |
11 | 1 | 4 | 얀 코르피 | align=left| | 26.5 | 15.6 | 26.5 | |
12 | 1 | 10 | 김호준 | align=left| | 8.4 | 25.8 | 25.8 | |
13 | 1 | 8 | 마르쿠스 켈러 | align=left| | 13.6 | 20.4 | 20.4 | |
14 | 1 | 15 | 스탈리 산베흐 | align=left| | 9.1 | 20.1 | 20.1 | |
15 | 1 | 11 | 루벤 베르게스 | align=left| | 9.4 | 19.5 | 19.5 | |
16 | 1 | 13 | 로제 S. 클레이비달 | align=left| | 15.7 | 18.4 | 18.4 | |
17 | 1 | 19 | 크리스티안 할러 | align=left| | 8.0 | 16.0 | 16.0 | |
18 | 1 | 18 | 돌프 반 데르 발 | align=left| | 14.5 | 11.8 | 14.5 | |
19 | 1 | 20 | 미챨 리고키 | align=left| | 10.8 | 11.1 | 11.1 | |
20 | 1 | 17 | 마누엘라 피에트로폴리 | align=left| | 9.3 | 5.2 | 9.3 | |
1 | 2 | 37 | 피투 피로이넨 | align=left| | 44.0 | 45.1 | 45.1 | QF |
2 | 2 | 28 | 고쿠보 가즈히로 | align=left| | 42.1 | 42.5 | 42.5 | QF |
3 | 2 | 27 | 이우리 포드라치코프 | align=left| | 36.3 | 41.4 | 41.4 | QF |
4 | 2 | 34 | 그레그 브레츠 | align=left| | 36.2 | 41.3 | 41.3 | QS |
5 | 2 | 36 | 마르쿠 코스키 | align=left| | 39.3 | 11.9 | 39.3 | QS |
6 | 2 | 38 | 스코티 라고 | align=left| | 39.0 | 28.4 | 39.0 | QS |
7 | 2 | 30 | 구도 고헤이 | align=left| | 3.2 | 37.1 | 37.1 | QS |
8 | 2 | 23 | 마르쿠스 말린 | align=left| | 32.8 | 36.7 | 36.7 | QS |
9 | 2 | 26 | 저스틴 라모룩스 | align=left| | 12.6 | 35.4 | 35.4 | QS |
10 | 2 | 22 | 아투 롱고 | align=left| | 34.5 | 32.4 | 34.5 | |
11 | 2 | 33 | 크리스토프 슈미트 | align=left| | 9.8 | 32.3 | 32.3 | |
12 | 2 | 32 | 스코티 제임스 | align=left| | 7.6 | 28.2 | 28.2 | |
13 | 2 | 24 | 브래드 마틴 | align=left| | 11.2 | 27.5 | 27.5 | |
14 | 2 | 29 | 세르지오 베르거 | align=left| | 7.3 | 26.2 | 26.2 | |
15 | 2 | 25 | 무라카미 다이스케 | align=left| | 15.1 | 23.5 | 23.5 | |
16 | 2 | 35 | 토레 비켄 홀비크 | align=left| | 23.1 | 19.6 | 23.1 | |
17 | 2 | 21 | 제프 배칠러 | align=left| | 14.9 | 18.5 | 18.5 | |
18 | 2 | 39 | 미첼 브라운 | align=left| | 18.4 | 15.2 | 18.4 | |
19 | 2 | 31 | 시완쳉 | align=left| | 15.8 | 18.0 | 18.0 | |
20 | 2 | 40 | 프레드릭 우스트보 | align=left| | DNS | DNS | DNS |
- QF: 결선 진출
- QS: 준결선 진출
- DNS: 출발하지 않음
변경 사항:
1. 템플릿 제거: 국가 표기에 사용된 템플릿과 템플릿을 제거하고, 국가 코드(예: ) 대신 로 통일.
2. 내부 링크 수정: 김호준과 같이 링크 텍스트가 올바르게 표시되도록 수정.
3. 이미지 문법 수정: thumb|200px|구도 고헤이 -> thumb||200px||구도 고헤이
4. 중복 제거: 중복되는 내용들을 제거하고 위의 테이블 하나로 통일함.
3. 2. 준결선
순위 | Bib (출전번호) | 이름 | 국가 | 1차 시기 | 2차 시기 | 최고 점수 | 비고 |
---|---|---|---|---|---|---|---|
1 | 23 | 마르쿠스 말린 | 42.9 | 21.9 | 42.9 | 결선 진출 | |
2 | 34 | 그레그 브레츠 | 42.1 | 38.0 | 42.1 | 결선 진출 | |
3 | 38 | 스콧 라고 | 41.3 | 16.2 | 41.3 | 결선 진출 | |
4 | 7 | 마티유 크레펠 | 37.2 | 22.6 | 37.2 | 결선 진출 | |
5 | 36 | 마르쿠 코스키 | 37.1 | 12.8 | 37.1 | 결선 진출 | |
6 | 26 | 저스틴 라무룩스 | 36.2 | 20.2 | 36.2 | 결선 진출 | |
7 | 2 | 개리 제브로스키 | 20.1 | 36.1 | 36.1 | ||
8 | 30 | 구도 고헤이 | 30.6 | 33.5 | 33.5 | ||
9 | 16 | 아루앙 리키아디 | 33.2 | 12.8 | 33.2 | ||
10 | 1 | 젱샤오예 | 32.9 | 16.2 | 32.9 | ||
11 | 14 | 벤 메이츠 | 3.6 | 27.5 | 27.5 | ||
12 | 9 | 벤 킬너 | 3.1 | 17.0 | 17.0 |
3. 3. 결선
순위 | 순서 | 이름 | 국가 | 1차 | 2차 | 최고 |
---|---|---|---|---|---|---|
5 | 숀 화이트 | align=left| | 46.8 | 48.4 | 48.4 | |
37 | 피투 피로이넨 | align=left| | 40.8 | 45.0 | 45.0 | |
38 | 스콧 라고 | align=left| | 42.8 | 17.5 | 42.8 | |
4 | 27 | 이우리 포드라치코프 | align=left| | 42.4 | 17.6 | 42.4 |
5 | 3 | 루이 비토 | align=left| | 39.1 | 39.4 | 39.4 |
6 | 36 | 마르쿠 코스키 | align=left| | 36.4 | 25.0 | 36.4 |
7 | 26 | 저스틴 라모룩스 | align=left| | 33.8 | 35.9 | 35.9 |
8 | 28 | 고쿠보 가즈히로 | align=left| | 30.5 | 35.7 | 35.7 |
9 | 6 | 아오노 료 | align=left| | 32.9 | 29.1 | 32.9 |
10 | 7 | 마티유 크레펠 | align=left| | 25.9 | 8.7 | 25.9 |
11 | 23 | 마르쿠스 말린 | align=left| | 16.7 | 18.6 | 18.6 |
12 | 34 | 그레그 브레츠 | align=left| | 18.3 | 13.0 | 18.3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