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경기는 2010년 2월 17일 사이프러스 마운틴에서 진행되었다. 예선, 준결선, 결선으로 진행되었으며, 예선에서 각 조 상위 3명이 결선에 직행하고, 4~9위는 준결선에 진출했다. 준결선에서는 12명의 선수가 경쟁하여 상위 6명이 결선에 진출했으며, 결선에서는 예선 상위 3명과 준결선 상위 6명을 포함한 총 12명의 선수가 메달을 놓고 경쟁했다. 숀 화이트(미국)가 금메달, 피투 피로이넨(핀란드)이 은메달, 스콧 라고(미국)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평행대회전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평행대회전은 2010년 2월 26일 캐나다에서 열렸으며, 네덜란드의 니콜린 사우어브레이가 금메달을,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일류히나가 은메달을, 오스트리아의 마리온 크라이너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하프파이프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하프파이프는 휘슬러 블랙콤에서 열린 스노보드 경기로, 토라 브라이트가 금메달, 한나 테터가 은메달, 켈리 클라크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예선, 준결선, 결선으로 진행, 총 30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스노보드 크로스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스노보드 크로스는 32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어 세스 웨스콧이 금메달, 마이크 로버트슨이 은메달, 토니 라모잉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남자
    2010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남자 경기는 2월 18일과 19일에 걸쳐 4차례의 주행으로 진행되었으며, 존 몽고메리, 마르틴스 두쿠르스, 알렉산드르 트레티야코프가 각각 금, 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 조인호 선수는 22위를 기록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캐나다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미국이 동메달을 획득한 쇼트트랙 종목이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단체 추월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단체 추월 경기는 2010년 2월에 개최되었으며, 독일이 금메달, 일본이 은메달, 폴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8위를 기록했다.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종목남자 하프파이프
대회2010년 동계 올림픽
올림픽 오륜기
올림픽 오륜기
경기장사이프러스 마운틴
날짜2010년 2월 17일
참가 선수40명
참가 국가17개국
메달리스트
금메달숀 화이트
금메달 국가USA
은메달피투 피로이넨
은메달 국가FIN
동메달스콧 라고
동메달 국가USA
우승 점수48.4
우승 점수 레이블우승 점수
올림픽 역사
이전 대회2006
다음 대회2014

2. 경기 진행 방식

각 라운드에서 선수들은 하프파이프를 두 번 통과하며, 최고 점수를 기준으로 다음 라운드 진출 또는 메달 획득 여부가 결정되었다.[1] 각 라운드(예선 첫 번째 런 제외)에서 경기 순서는 점수의 역순으로 정해졌다. 즉,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선수가 먼저 경기를 하고,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선수가 마지막으로 경기를 했다.[1]

40명의 스노보더가 두 개의 조로 나뉘어 예선 경기를 치렀고, 각 조 상위 3명은 결승에 직행, 4~9위는 준결승에 진출했다.[1] 준결승에서는 12명의 선수가 경기를 펼쳐 상위 6명이 결승에 진출했다.[1]

2. 1. 예선

40명의 선수가 두 조로 나뉘어 예선 경기를 진행했다. 각 조 상위 3명은 결선에 직행했고, 4~9위는 준결선에 진출했다.[1]

순위순서이름국가1차2차최고비고
115숀 화이트45.810.845.8QF
216아오노 료33.243.143.1QF
313루이 비토26.141.841.8QF
4116아루앙 리키아디25.437.937.9QS
511젱샤오예14.032.832.8QS
617마티유 크레펠32.62.532.6QS
719벤 킬너21.532.132.1QS
812가리 제브로스키31.618.731.6QS
9114벤 메이츠28.329.629.6QS
10112제임스 해밀턴5.228.028.0
1114얀 코르피26.515.626.5
12110김호준8.425.825.8
1318마르쿠스 켈러13.620.420.4
14115스탈리 산베흐9.120.120.1
15111루벤 베르게스9.419.519.5
16113로제르 S. 클레이비달15.718.418.4
17119크리스티안 할러8.016.016.0
18118돌프 반 데르 발14.511.814.5
19120미챨 리고키10.811.111.1
20117마누엘라 피에트로폴리9.35.29.3
1237피투 피로이넨44.045.145.1QF
2228고쿠보 가즈히로42.142.542.5QF
3227이우리 포드라치코프36.341.441.4QF
4234그레그 브레츠36.241.341.3QS
5236마르쿠 코스키39.311.939.3QS
6238스콧 라고39.028.439.0QS
7230구도 고헤이3.237.137.1QS
8223마르쿠스 말린32.836.736.7QS
9226저스틴 라모룩스12.635.435.4QS
10222아투 롱고34.532.434.5
11233크리스토프 슈미트9.832.332.3
12232스코티 제임스7.628.228.2
13224브래드 마틴11.227.527.5
14229세르지오 베르거7.326.226.2
15225무라카미 다이스케15.123.523.5
16235토레 비켄 홀비크23.119.623.1
17221제프 배칠러14.918.518.5
18239미첼 브라운18.415.218.4
19231시완쳉15.818.018.0
240프레드릭 우스트보DNSDNSDNS


  • QF: 결선 진출
  • QS: 준결선 진출
  • DNS: 출발하지 않음
[1]

2. 2. 준결선

준결선에서는 12명의 선수가 경기를 펼쳐 상위 6명이 결선에 진출했다.[1]

순위순서이름국가1차2차최고비고
123마르쿠스 말린42.921.942.9QF
234그레그 브레츠42.138.042.1QF
338스콧 라고41.316.241.3QF
47마티유 크레펠37.222.637.2QF
536마르쿠 코스키37.112.837.1QF
626저스틴 라모룩스36.220.236.2QF
72가리 제브로스키20.136.136.1
830구도 고헤이30.633.533.5
916아루앙 리키아디33.212.833.2
101젱샤오예32.916.232.9
1114벤 메이츠3.627.527.5
129벤 킬너3.117.017.0


  • QF: 결선 진출[1]


각 선수들은 하프파이프를 두 번 통과하는 경기를 펼쳤으며,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런으로 다음 라운드 진출 여부가 결정되었다.[1] 준결승에서 상위 6명의 선수들은 예선에서 상위 3명의 선수들과 함께 결승에 진출했다.[1]

2. 3. 결선

예선 상위 3명과 준결선 상위 6명, 총 12명의 선수가 메달을 놓고 경쟁했다.

순위순서이름국가1차2차최고
5숀 화이트46.848.448.4
37피투 피로이넨40.845.045.0
38스콧 라고42.817.542.8
427이우리 포드라치코프42.417.642.4
53루이 비토39.139.439.4
636마르쿠 코스키36.425.036.4
726저스틴 라모룩스33.835.935.9
828고쿠보 가즈히로30.535.735.7
96아오노 료32.929.132.9
107마티유 크레펠25.98.725.9
1123마르쿠스 말린16.718.618.6
1234그레그 브레츠18.313.018.3



각 라운드에서 각 선수는 하프파이프를 두 번 통과하는 경기를 펼쳤다.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런으로 선수의 메달 획득 여부가 결정되었다.

숀 화이트는 첫 번째 런으로 이미 금메달을 확정지었다(다른 선수들의 두 번째 런 점수는 화이트의 46.8점을 넘지 못했다). 하지만 그는 두 번째 런을 수행하여 더블 맥트위스트 1260을 성공적으로 완수했고, 자신의 초기 점수를 향상시켰다.

이 경기는 현재까지 야간에 열린 유일한 올림픽 하프파이프 결승전이다.

3. 경기 결과

구도 고헤이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경기는 2010년 2월 17일에 사이프러스 마운틴에서 열렸다.

경기는 예선, 준결선, 결선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예선에서는 각 조 상위 3명씩 총 6명이 결선에 직행했고, 각 조 4~9위 선수 12명은 준결선을 치러 상위 6명이 결선에 추가로 진출했다.

예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순서이름국가1차2차최고비고
115숀 화이트45.810.845.8QF
216아오노 료33.243.143.1QF
313루이 비토26.141.841.8QF
4116아루앙 리키아디25.437.937.9QS
511젱샤오예14.032.832.8QS
617마티유 크레펠32.62.532.6QS
719벤 킬너21.532.132.1QS
812가리 제브로스키31.618.731.6QS
9114벤 메이츠28.329.629.6QS
10112제임스 해밀턴5.228.028.0
1114얀 코르피26.515.626.5
12110김호준8.425.825.8
1318마르쿠스 켈러13.620.420.4
14115스탈리 산베흐9.120.120.1
15111루벤 베르게스9.419.519.5
16113로제 S. 클레이비달15.718.418.4
17119크리스티안 할러8.016.016.0
18118돌프 반 데르 발14.511.814.5
19120미챨 리고키10.811.111.1
20117마누엘라 피에트로폴리9.35.29.3
1237피투 피로이넨44.045.145.1QF
2228고쿠보 가즈히로42.142.542.5QF
3227이우리 포드라치코프36.341.441.4QF
4234그레그 브레츠36.241.341.3QS
5236마르쿠 코스키39.311.939.3QS
6238스코티 라고39.028.439.0QS
7230구도 고헤이3.237.137.1QS
8223마르쿠스 말린32.836.736.7QS
9226저스틴 라모룩스12.635.435.4QS
10222아투 롱고34.532.434.5
11233크리스토프 슈미트9.832.332.3
12232스코티 제임스7.628.228.2
13224브래드 마틴11.227.527.5
14229세르지오 베르거7.326.226.2
15225무라카미 다이스케15.123.523.5
16235토레 비켄 홀비크23.119.623.1
17221제프 배칠러14.918.518.5
18239미첼 브라운18.415.218.4
19231시완쳉15.818.018.0
20240프레드릭 우스트보DNSDNSDNS


  • QF: 결선 진출
  • QS: 준결선 진출
  • DNS: 출발하지 않음


준결선에서는 마르쿠스 말린, 그레그 브레츠, 스콧 라고, 마티유 크레펠, 마르쿠 코스키, 저스틴 라모룩스가 결선에 진출했다.

결선에서는 숀 화이트가 48.4점으로 금메달, 피투 피로이넨이 45.0점으로 은메달, 스콧 라고가 42.8점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3. 1. 예선

순위순서이름국가1차2차최고비고
115숀 화이트align=left|45.810.845.8QF
216아오노 료align=left|33.243.143.1QF
313루이 비토align=left|26.141.841.8QF
4116아루앙 리키아디align=left|25.437.937.9QS
511젱샤오예align=left|14.032.832.8QS
617마티유 크레펠align=left|32.62.532.6QS
719벤 킬너align=left|21.532.132.1QS
812가리 제브로스키align=left|31.618.731.6QS
9114벤 메이츠align=left|28.329.629.6QS
10112제임스 해밀턴align=left|5.228.028.0
1114얀 코르피align=left|26.515.626.5
12110김호준align=left|8.425.825.8
1318마르쿠스 켈러align=left|13.620.420.4
14115스탈리 산베흐align=left|9.120.120.1
15111루벤 베르게스align=left|9.419.519.5
16113로제 S. 클레이비달align=left|15.718.418.4
17119크리스티안 할러align=left|8.016.016.0
18118돌프 반 데르 발align=left|14.511.814.5
19120미챨 리고키align=left|10.811.111.1
20117마누엘라 피에트로폴리align=left|9.35.29.3
1237피투 피로이넨align=left|44.045.145.1QF
2228고쿠보 가즈히로align=left|42.142.542.5QF
3227이우리 포드라치코프align=left|36.341.441.4QF
4234그레그 브레츠align=left|36.241.341.3QS
5236마르쿠 코스키align=left|39.311.939.3QS
6238스코티 라고align=left|39.028.439.0QS
7230구도 고헤이align=left|3.237.137.1QS
8223마르쿠스 말린align=left|32.836.736.7QS
9226저스틴 라모룩스align=left|12.635.435.4QS
10222아투 롱고align=left|34.532.434.5
11233크리스토프 슈미트align=left|9.832.332.3
12232스코티 제임스align=left|7.628.228.2
13224브래드 마틴align=left|11.227.527.5
14229세르지오 베르거align=left|7.326.226.2
15225무라카미 다이스케align=left|15.123.523.5
16235토레 비켄 홀비크align=left|23.119.623.1
17221제프 배칠러align=left|14.918.518.5
18239미첼 브라운align=left|18.415.218.4
19231시완쳉align=left|15.818.018.0
20240프레드릭 우스트보align=left|DNSDNSDNS


  • QF: 결선 진출
  • QS: 준결선 진출
  • DNS: 출발하지 않음


변경 사항:

1. 템플릿 제거: 국가 표기에 사용된 템플릿과 템플릿을 제거하고, 국가 코드(예: ) 대신 로 통일.

2. 내부 링크 수정: 김호준과 같이 링크 텍스트가 올바르게 표시되도록 수정.

3. 이미지 문법 수정: thumb|200px|구도 고헤이 -> thumb||200px||구도 고헤이

4. 중복 제거: 중복되는 내용들을 제거하고 위의 테이블 하나로 통일함.

3. 2. 준결선

순위Bib (출전번호)이름국가1차 시기2차 시기최고 점수비고
123마르쿠스 말린42.921.942.9결선 진출
234그레그 브레츠42.138.042.1결선 진출
338스콧 라고41.316.241.3결선 진출
47마티유 크레펠37.222.637.2결선 진출
536마르쿠 코스키37.112.837.1결선 진출
626저스틴 라무룩스36.220.236.2결선 진출
72개리 제브로스키20.136.136.1
830구도 고헤이30.633.533.5
916아루앙 리키아디33.212.833.2
101젱샤오예32.916.232.9
1114벤 메이츠3.627.527.5
129벤 킬너3.117.017.0


3. 3. 결선

순위순서이름국가1차2차최고
5숀 화이트align=left|46.848.448.4
37피투 피로이넨align=left|40.845.045.0
38스콧 라고align=left|42.817.542.8
427이우리 포드라치코프align=left|42.417.642.4
53루이 비토align=left|39.139.439.4
636마르쿠 코스키align=left|36.425.036.4
726저스틴 라모룩스align=left|33.835.935.9
828고쿠보 가즈히로align=left|30.535.735.7
96아오노 료align=left|32.929.132.9
107마티유 크레펠align=left|25.98.725.9
1123마르쿠스 말린align=left|16.718.618.6
1234그레그 브레츠align=left|18.313.01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