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4년 동계 올림픽 벨라루스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동계 올림픽 벨라루스 선수단은 5개 종목에 총 25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바이애슬론에서 다리야 돔라체바가 금메달 3개, 안톤 쿠시니르와 알라 추페르가 프리스타일 스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나제야 스카르디노가 바이애슬론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여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개회식 기수는 알레세이 흐리신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벨라루스 - 민스크 협정
    민스크 협정은 2014년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의 평화를 위해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체결된 협정으로, 휴전, 권력 분권화, 휴전 감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지만, 분쟁 지속으로 인해 효력을 잃었다.
  • 동계 올림픽 벨라루스 선수단 - 2002년 동계 올림픽 벨라루스 선수단
    2002년 동계 올림픽에서 벨라루스 선수단은 프리스타일 스키에서 동메달 1개를 획득했고, 아이스하키 4위를 기록했으며, 스피드 스케이팅 등 다양한 종목에 선수들을 파견했다.
  • 동계 올림픽 벨라루스 선수단 - 2006년 동계 올림픽 벨라루스 선수단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 벨라루스는 프리스타일 스키 남자 에어리얼 종목에서 은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바이애슬론 등 여러 종목에도 선수단을 파견했다.
  • 2014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2014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2014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대회에 참가하여 금메달 3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 2014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2014년 동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은 10개 종목에 114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금메달 2개, 은메달 4개, 동메달 3개를 획득, 종합 12위를 기록했다.
2014년 동계 올림픽 벨라루스 선수단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벨라루스 선수단
벨라루스 국기
벨라루스 국기
NOC벨라루스 올림픽 위원회
NOC 영문명Belarus Olympic Committee
웹사이트www.noc.by(러시아어/영어)
위치소치
참가 선수26명
참가 종목5개
개막식 기수알렉세이 그리신 (개막식)
폐막식 기수다리야 돔라체바 (폐막식)
최종 순위8위
금메달5개
은메달0개
동메달1개
올림픽 참가 횟수자동 계산
첫 참가 연도1994년
관련 항목소련 (1952–1988)
독립국가연합 (1992)

2. 참가 선수

2014년 동계 올림픽 벨라루스 선수단은 선수 26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개회식 기수는 알레세이 흐리신이었다.[1]

2. 1. 종목별 참가 선수 현황

종목남자여자합계
알파인 스키112
바이애슬론5510
크로스컨트리 스키415
프리스타일 스키42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112
합계151026



2014년 동계 올림픽 벨라루스 선수단은 총 26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며, 개회식 기수는 알레세이 흐리신이었다.[1]

3. 메달 집계

2014년 동계 올림픽에서 벨라루스는 금메달 5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종합 8위에 올랐다. 다리야 돔라체바바이애슬론에서 금메달 3개를 획득하며 3관왕에 올랐고, 알라 추페르와 안톤 쿠쉬니르는 프리스타일 스키에서 각각 금메달을 획득했다. 나데즈다 스카르디노는 바이애슬론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1]

종목--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합계
바이애슬론3014
프리스타일 스키2002
합계5016


3. 1. 메달리스트

메달이름종목세부 종목날짜
--다르야 돔라체바바이애슬론여자 추적2월 11일
--다르야 돔라체바바이애슬론여자 개인2월 14일
--알라 추페르프리스타일 스키여자 에어리얼2월 14일
--다르야 돔라체바바이애슬론여자 매스 스타트2월 17일
--안톤 쿠쉬니르프리스타일 스키남자 에어리얼2월 17일
동메달
나데즈다 스카르디노바이애슬론여자 개인2월 14일


3. 2. 종목별 메달 수

종목--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합계
-- 바이애슬론3014
-- 프리스타일 스키2002
합계5016


4. 종목별 성적

2014년 동계 올림픽에서 벨라루스 선수단은 다음과 같은 종목에 참가했다.

종목세부 종목선수성적
알파인 스키남자 활강, 남자 슈퍼대회전, 남자 복합, 남자 대회전, 남자 회전유리 다닐로치킨31위, 38위, 기권, 기권, 기권
알파인 스키여자 슈퍼대회전, 여자 대회전, 여자 회전마리아 슈카노바기권, 44위, 29위
바이애슬론남자 스프린트, 남자 추적, 남자 개인예우헨 아브라멘카56위, 51위, 53위
남자 스프린트, 남자 추적, 남자 개인울라지미르 차펠린29위, 41위, 49위
남자 개인알략산드르 다로슈카80위
남자 스프린트, 남자 추적유리 라자우57위, 56위
남자 스프린트, 남자 추적, 남자 개인세르히 노비카우33위, 50위, 54위
남자 계주예우헨 아브라멘카, 울라지미르 차펠린, 유리 라자우, 세르히 노비카우13위
바이애슬론여자 스프린트, 여자 추적, 여자 개인, 여자 매스 스타트다리야 돔라체바9위, , ,
여자 스프린트, 여자 추적나스타샤 두바레자바34위, 56위
여자 스프린트, 여자 추적, 여자 개인류드밀라 칼린치크37위, 33위, 25위
여자 개인나데즈다 피사레바35위
여자 스프린트, 여자 추적, 여자 개인, 여자 매스 스타트나제야 스카르디노17위, 13위, , 16위
여자 계주다리야 돔라체바, 류드밀라 칼린치크, 나데즈다 피사레바, 나제야 스카르디노5위
혼성 계주예우헨 아브라멘카, 울라지미르 차펠린, 나스타샤 두바레자바, 류드밀라 칼린치크10위
크로스컨트리 스키남자 15km 클래식, 남자 30km 스키애슬론, 남자 50km 프리스타일세르게이 돌리도비치53위, 34위, 5위
남자 50km 프리스타일알략세이 이바노우46위
남자 15km 클래식, 남자 30km 스키애슬론알렉산드르 라수트킨49위, 55위
남자 15km 클래식, 남자 30km 스키애슬론, 남자 50km 프리스타일, 남자 스프린트미하일 세메노프59위, 24위, 17위, 예선 탈락
남자 4×10km 계주세르게이 돌리도비치, 알략세이 이바노우, 알렉산드르 라수트킨, 미하일 세메노프14위
크로스컨트리 스키여자 10km 클래식, 여자 15km 스키애슬론, 여자 30km 프리스타일알레나 산니코바43위, 53위, 42위
여자 스프린트발리안치나 카민스카야예선 탈락
프리스타일 스키남자 에어리얼드미트리 다시친스키8위
남자 에어리얼알렉세이 그리신예선 탈락
남자 에어리얼안톤 쿠시니르
남자 에어리얼데니스 오시포우9위
프리스타일 스키여자 에어리얼한나 후스코바예선 탈락
여자 에어리얼알라 추퍼
쇼트트랙남자 1500m막심 세르게예프예선 탈락
쇼트트랙여자 1500m올가 탈라예바예선 탈락


4. 1. 알파인 스키

2014년 1월 20일에 발표된 최종 쿼터 할당에 따르면 벨라루스는 2명의 선수가 출전 자격을 얻었다.[6]

선수종목1차 시기2차 시기합계
시간순위시간순위시간순위
유리 다닐로치킨남자 활강colspan=4|2:10.5831
남자 슈퍼대회전colspan=4|1:22.4538
남자 복합기권
남자 대회전기권
남자 회전기권
마리아 슈카노바여자 슈퍼대회전colspan=4|기권
여자 대회전1:26.79521:23.79412:50.5844
여자 회전59.673357.56311:57.2329


4. 2. 바이애슬론

벨라루스는 2012년 및 2013년 바이애슬론 세계 선수권 대회의 성적을 바탕으로 남자 5명, 여자 5명이 출전 자격을 얻었다.[7]

;남자

선수종목시간실패순위
예우헨 아브라멘카스프린트26:55.02 (1+1)56
추적39:11.55 (0+0+4+1)51
개인55:38.83 (1+1+1+0)53
울라지미르 차펠린스프린트25:49.71 (0+1)29
추적36:57.21 (0+0+1+0)41
개인54:59.23 (1+1+0+1)49
알략산드르 다로슈카개인58:27.75 (2+0+2+1)80
유리 라자우스프린트26:55.12 (1+1)57
추적39:46.24 (1+1+0+2)56
세르히 노비카우스프린트26:00.80 (0+0)33
추적38:59.53 (0+1+1+1)50
개인55:41.72 (0+1+1+0)54
예우헨 아브라멘카
울라지미르 차펠린
유리 라자우
세르히 노비카우
계주1:16:02.35 (0+5)13



;여자

선수종목시간실패순위
다리야 돔라체바스프린트21:38.61 (1+0)9
추적29:30.71 (0+0+0+1)
개인43:19.61 (0+1+0+0)
매스 스타트35:25.61 (0+0+0+1)
나스타샤 두바레자바스프린트22:29.71 (0+1)34
추적41:01.812 (1+4+4+3)56
류드밀라 칼린치크스프린트22:37.82 (1+1)37
추적32:54.92 (0+0+0+2)33
개인48:06.22 (0+1+0+1)25
나데즈다 피사레바개인48:55.43 (0+3+0+0)35
나제야 스카르디노스프린트21:50.90 (0+0)17
추적30:43.71 (0+0+0+1)13
개인44:57.80 (0+0+0+0)
매스 스타트37:08.02 (0+0+1+1)16
다리야 돔라체바
류드밀라 칼린치크
나데즈다 피사레바
나제야 스카르디노
계주1:11:33.49 (1+8)5



;혼성

선수종목시간실패순위
예우헨 아브라멘카
울라지미르 차펠린
나스타샤 두바레자바
류드밀라 칼린치크
혼성 계주1:13:11.89 (0+9)10


4. 3. 크로스컨트리 스키

2014년 1월 20일에 발표된 최종 쿼터 할당에 따르면 벨라루스는 5명의 선수가 출전 자격을 얻었다.[6]

; 거리

'''남자'''

선수종목클래식 시간클래식 순위프리스타일 시간프리스타일 순위결승 시간차이순위
세르게이 돌리도비치15km 클래식colspan=4|42:55.4+4:25.753
세르게이 돌리도비치30km 스키애슬론36:57.23233:55.9381:11:28.1+3:12.734
세르게이 돌리도비치50km 프리스타일colspan=4|1:47:09.5+14.35
알략세이 이바노우50km 프리스타일colspan=4|1:52:52.9+5:57.746
알렉산드르 라수트킨15km 클래식colspan=4|42:45.1+4:15.449
알렉산드르 라수트킨30km 스키애슬론38:46.95235:12.2541:14:39.4+6:24.055
미하일 세메노프15km 클래식colspan=4|43:36.0+5:06.359
미하일 세메노프30km 스키애슬론36:48.22932:54.5191:10:13.3+1:57.924
미하일 세메노프50km 프리스타일colspan=4|1:47:36.0+40.817
세르게이 돌리도비치, 알략세이 이바노우, 알렉산드르 라수트킨, 미하일 세메노프4×10km 계주colspan=4|1:34:40.1+5:58.114



'''여자'''

선수종목클래식 시간클래식 순위프리스타일 시간프리스타일 순위결승 시간차이순위
알레나 산니코바10km 클래식colspan=4|31:42.2+3:24.443
알레나 산니코바15km 스키애슬론21:46.45521:47.05444:09.75:36.153
알레나 산니코바30km 프리스타일colspan=4|1:18:46.3+7:41.142



; 스프린트

선수종목예선 시간예선 순위8강 시간8강 순위준결승 시간준결승 순위결승 시간결승 순위
미하일 세메노프남자 스프린트3:42.9348진출 실패
발리안치나 카민스카야여자 스프린트2:46.7647진출 실패


4. 4. 프리스타일 스키

2014년 1월 20일에 발표된 최종 할당 쿼터에 따르면 벨라루스는 6명의 선수를 출전 자격을 갖췄다.[6] 벨라루스 프리스타일 스키 팀의 전체 명단은 2014년 1월 22일에 공식 발표되었다.[8]

;에어리얼

선수종목예선결선
1차 점프2차 점프1차 점프2차 점프3차 점프
점수순위점수순위점수순위점수순위점수순위
드미트리 다시친스키남자 에어리얼106.648117.191108.415100.458진출 실패
알렉세이 그리신76.822088.949진출 실패
안톤 쿠시니르107.527115.382119.032115.843134.50
데니스 오시포우81.8617111.05599.369진출 실패
한나 후스코바여자 에어리얼44.082252.6015진출 실패
알라 추퍼66.151477.52699.18188.50498.01


4. 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2013-14 ISU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 3차와 4차 대회(2013년 11월)에서의 성적을 바탕으로 벨라루스는 남자 1명(1500m)과 여자 1명(1500m)의 출전 자격을 얻었다.[9] 벨라루스 남자 선수가 이 종목에서 올림픽에 출전 자격을 얻은 것은 사상 처음이다.[10]

선수종목예선준결승결승
시간순위시간순위시간순위
막심 세르게예프남자 1500m2:19.5055진출 실패28
올가 탈라예바여자 1500m2:27.8176진출 실패32


참조

[1] 뉴스 Alexei Grishin to carry Belarus’ flag in Sochi http://news.belta.by[...] 2014-02-04
[2] 웹사이트 Sochi 2014 Opening Ceremony - Flagbearers http://www.olympic.o[...] Sochi 2014 Olympic and Paralympic Organizing Committee 2014-02-07
[3] 웹사이트 Sochi 2014 Closing Ceremony - Flagbearers http://www.olympic.o[...]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OC) 2014-02-23
[4] 웹사이트 Belarus' Olympic Team announced http://www.mst.by/en[...] Belarus Sports and Tourism Ministry 2014-01-23
[5] 뉴스 Sochi 2014 the most successful Olympics in Belarus' independent history http://news.belta.by[...] 2014-02-24
[6] 웹사이트 Summary of Quota allocation as per 20.01.2014 http://data.fis-ski.[...] FIS 2014-01-05
[7] 뉴스 2014 Winter Olympics Biathlon NOC quota http://realbiathlon.[...] 2013-03-16
[8] 뉴스 Belarus’ Olympic Team announced http://news.belta.by[...] Belarusian Telegraph Agency 2014-01-24
[9] 웹사이트 Communication No. 1841 XXII Olympic Winter Games 2014 Sochi Entries Speed Skating http://isuprod.blob.[...] International Skating Union 2013-12-23
[10] 웹사이트 Belarusian short track skaters earn two Olympic spots http://www.noc.by/en[...] National Olympic Committee of the Republic of Belarus 2014-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