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여자 추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여자 추적 경기는 2018년 2월 12일에 진행되었으며, 라우라 달마이어(독일)가 금메달을,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슬로바키아)가 은메달을, 아나이스 베스콩(프랑스)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경기는 예선을 거쳐 진행되었으며, 달마이어는 첫 사격부터 선두를 유지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 201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남자 계주
    201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남자 계주 결선 경기에서 스웨덴이 금메달, 노르웨이가 은메달, 독일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 201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남자 개인
    201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남자 개인 경기는 2018년 2월 15일 평창에서 10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진행되었으며, IBU 네이션스 컵 랭킹에 따라 쿼터가 배정되었고 대한민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2명의 쿼터를 확보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여자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컬링 여자 경기는 10개국이 참가하여 스웨덴이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컬링 열풍을 일으키는 데 기여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여자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여자 종목은 8개국이 참가하여 강릉의 두 경기장에서 치러졌으며, 미국이 금메달, 핀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남북 단일팀으로 참가했으며, 러시아 도핑 스캔들로 일부 러시아 선수들은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자격으로 출전했다.
  • 올림픽 바이애슬론에 관한 - 2002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2002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은 개인, 스프린트, 추적, 계주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노르웨이가 금메달 4개로 메달 순위 1위를, 올레 에이나르 비에른달렌은 4관왕을, 독일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고, 총 34개국이 참가했다.
  • 올림픽 바이애슬론에 관한 - 196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196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은 프랑스 그르노블에서 남자 20km 개인전과 4x7.5km 릴레이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개인전 금메달은 마그나르 솔베르그, 릴레이 금메달은 소련이 획득했고, 총 16개국이 참가했으며 캐나다, 동독, 서독, 체코슬로바키아가 처음으로 참가했다.
201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여자 추적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종목여자 추적
대회201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픽토그램
개최지평창, 대한민국
경기장알펜시아 바이애슬론 센터
날짜2월 12일
참가 선수58명
참가 국가24개국
결과
우승 기록30분 35.3초
금메달라우라 달마이어
금메달 국가GER
은메달아나스타시야 쿠즈미나
은메달 국가SVK
동메달아나이스 베스콩
동메달 국가FRA
올림픽 역사
이전 대회2014
다음 대회2022

2. 예선

201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예선에 따라, 201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여자 추적 경기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예선 과정을 거쳐야 했다.

3. 경기 일정

201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여자 추적 경기는 모두 한국 시간(UTC+9)을 기준으로 진행되었다.[1] 경기는 2018년 2월 12일 오후 7시 10분에 시작되어 결선이 진행되었다.[1]

날짜시간라운드
2월 12일19:10결선

[1]

4. 경기 결과

순위번호선수 이름국가출발시간페널티 (P+P+S+S)차이
1라우라 달마이어 독일0:0030:35.31 (0+1+0+0)
13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 슬로바키아0:5431:04.74 (0+1+2+1)+29.4
19아나이스 베스콩 프랑스1:1531:04.91 (0+0+1+0)+29.6
42마르테 올스부 뢰이셀란 노르웨이0:2431:42.64 (1+2+0+1)+1:07.3
57한나 외베리 스웨덴0:4131:44.23 (1+2+0+0)+1:08.9
621데니즈 헤르만 독일1:2031:54.72 (1+0+0+1)+1:19.4
73베로니카 비트코바 체코0:2632:12.63 (0+1+0+2)+1:37.3
826레나 해키 스위스1:3432:16.83 (1+1+1+0)+1:41.5
924티릴 에크호프 노르웨이1:2632:23.15 (0+2+3+0)+1:47.8
1027모나 브로르손 스웨덴1:3632:29.81 (0+0+1+0)+1:54.5
116리사 비토치 이탈리아0:4132:34.64 (1+2+0+1)+1:59.3
1212프란치스카 힐데브란트 독일0:5432:36.53 (2+1+0+0)+2:01.2
135바네사 힌츠 독일0:4032:41.44 (1+1+2+0)+2:06.1
1436나데즈다 스카르디노 벨라루스2:0232:42.71 (0+0+1+0)+2:07.4
1518도로테아 비에러 이탈리아1:1432:48.45 (2+2+1+0)+2:13.1
168이렌 카두리쉬 스위스0:4632:52.84 (0+0+3+1)+2:17.5
1717이리나 크류코 벨라루스1:1132:54.02 (1+0+0+1)+2:18.7
1814비타 세메렌코 우크라이나0:5532:54.44 (2+1+1+0)+2:19.1
1953로산나 크로포드 캐나다2:2333:03.02 (0+0+1+1)+2:27.7
2030갈리나 비슈네프스카야 카자흐스탄1:4633:05.91 (0+0+1+0)+2:30.6
2137린 페르손 스웨덴2:0533:21.73 (1+0+1+1)+2:46.4
2225카이사 매캐래이넨 핀란드1:3033:22.26 (0+3+3+0)+2:46.9
2323제시카 지슬로바 체코1:2333:24.33 (0+1+1+1)+2:49.0
2416아나이스 슈발리에-부셰 프랑스1:0933:28.05 (3+0+0+2)+2:52.7
2515마르케타 다비도바 체코0:5733:29.86 (1+2+1+2)+2:54.5
2622요한나 탈리하름 에스토니아1:2133:34.74 (0+1+2+1)+2:59.4
274마리 도린 아베르 프랑스0:3333:37.87 (2+0+2+3)+3:02.5
2840줄리아 랜섬 캐나다2:0833:38.31 (0+0+0+1)+3:03.0
2935엘리사베트 호그베르 스웨덴2:0033:45.12 (1+0+1+0)+3:09.8
3034베로니카 노바코프스카 폴란드1:5733:46.22 (0+1+1+0)+3:10.9
3120타티아나 아키모바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1:1833:50.84 (1+1+0+2)+3:15.5
3243에바 푸스카르치코바 체코2:1433:53.83 (2+1+0+0)+3:18.5
3339바이바 벤디카 라트비아2:0833:59.43 (1+0+2+0)+3:24.1
3410쥐스틴 브라자-부셰 프랑스0:4834:08.07 (0+2+1+4)+3:32.7
3531엘리사 가스파린 스위스1:4634:11.25 (2+2+1+0)+3:35.9
3628크리스티나 구직 폴란드1:3734:24.34 (1+1+1+1)+3:49.0
379다리아 돔라체바 벨라루스0:4634:26.86 (0+1+1+4)+3:51.5
3811파울리나 피알코바 슬로바키아0:5134:33.68 (2+2+2+2)+3:58.3
3941셀리나 가스파린 스위스2:1234:40.25 (2+2+1+0)+4:04.9
4029카타리나 이너호퍼 오스트리아1:4534:41.25 (1+2+0+2)+4:05.9
4150신노베 솔레달 노르웨이2:1834:45.54 (1+0+2+1)+4:10.2
4259잉그리드 란마르크 탄데보르 노르웨이2:4334:56.84 (0+3+1+0)+4:21.5
4345모니카 호이니쉬 폴란드2:1435:05.64 (1+1+2+0)+4:30.3
4452나제야 피사라바 벨라루스2:2335:10.33 (2+0+0+1)+4:35.0
4538장 얀 중국2:0835:16.73 (3+0+0+0)+4:41.4
4655아나스타시야 메르쿠시나 우크라이나2:2635:30.45 (0+2+2+1)+4:55.1
4751에밀리 드라이시거 미국2:2135:36.74 (0+1+1+2)+5:01.4
4844니콜 곤티에 이탈리아2:1435:37.67 (3+1+1+2)+5:02.3
4956마그달레나 즈비즈돈 폴란드2:3036:07.05 (1+2+2+0)+5:31.7
5032안나 프로리나 대한민국1:5136:14.28 (1+2+2+3)+5:38.9
5147안자 에르젠 슬로베니아2:1536:22.67 (0+2+2+3)+5:47.3
5233울리아나 카이셰바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1:5236:33.65 (0+2+2+1)+5:58.3
5354엠마 런더 캐나다2:2436:52.14 (0+1+1+2)+6:16.8
5449후루야 사리 일본2:1537:02.15 (2+1+1+1)+6:26.8
5560에밀리아 요르다노바 불가리아2:4437:04.36 (2+1+3+0)+6:29.0
5642타치자키 후유코 일본2:1437:07.97 (2+0+2+3)+6:32.6
5758다리야 클리미나 카자흐스탄2:4238:00.08 (1+1+3+3)+7:24.7
5848둔자 즈도우크 오스트리아2:1538:39.18 (1+3+1+3)+8:03.8
46발렌티나 세메렌코 우크라이나2:15DNS
57메건 탠디 캐나다2:37

[4]

시상식에서는 IOC 위원인 단카 바르테코바가 메달을 수여했으며, IBU 개발 부회장인 올레 달린이 함께했다.

4. 1. 경기 진행

201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여자 추적 경기는 2018년 2월 12일 오후 7시 10분에 시작되었다.[4] 독일의 라우라 달마이어가 1위로 출발하여 첫 사격에서 모든 표적을 맞히며 선두를 유지했다. 스프린트 경기 은메달리스트인 마르테 올스부 뢰이셀란은 표적을 놓쳤다.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슬로바키아)는 베로니카 비트코바(체코)를 추월하며 달마이어와의 격차를 좁혔다.

두 번째 사격에서 달마이어, 쿠즈미나, 비트코바 모두 표적을 놓쳤고, 아나이스 베스콩(프랑스)과 이렌 카두리쉬(스위스)가 상위권 경쟁에 합류했다. 5km 지점에서 쿠즈미나가 선두로 나섰고, 달마이어가 0.7초 차이로 바짝 뒤쫓았다. 베스콩과 카두리쉬는 30초 뒤를 따랐다.

첫 번째 입사 사격에서 쿠즈미나는 표적 2개를 놓쳤고, 베스콩은 1개, 카두리쉬는 3개를 놓쳐 메달 경쟁에서 멀어졌다. 달마이어는 한 발도 놓치지 않고 사격에 성공하여 쿠즈미나보다 40초 앞서 나갔다. 비트코바가 3위, 베스콩이 그 뒤를 이었다.

두 번째 입사 사격에서 달마이어와 베스콩은 모두 사격에 성공했지만, 쿠즈미나는 한 발을 놓쳐 달마이어보다 거의 1분 뒤처졌고, 베스콩보다는 1초 앞섰다. 비트코바는 표적 2개를 놓쳐 메달 경쟁에서 탈락했다.

결승선까지 쿠즈미나와 베스콩이 함께 달렸고, 결국 쿠즈미나가 은메달을 차지하며 베스콩은 동메달을 획득했다.[4]

4. 2. 최종 순위

순위번호선수 이름국가출발시간페널티 (P+P+S+S)차이
1라우라 달마이어독일0:0030:35.31 (0+1+0+0)
13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슬로바키아0:5431:04.74 (0+1+2+1)+29.4
19아나이스 베스콩프랑스1:1531:04.91 (0+0+1+0)+29.6
42마르테 올스부 뢰이셀란노르웨이0:2431:42.64 (1+2+0+1)+1:07.3
57한나 외베리스웨덴0:4131:44.23 (1+2+0+0)+1:08.9
621데니즈 헤르만독일1:2031:54.72 (1+0+0+1)+1:19.4
73베로니카 비트코바체코0:2632:12.63 (0+1+0+2)+1:37.3
826레나 해키스위스1:3432:16.83 (1+1+1+0)+1:41.5
924티릴 에크호프노르웨이1:2632:23.15 (0+2+3+0)+1:47.8
1027모나 브로르손스웨덴1:3632:29.81 (0+0+1+0)+1:54.5
116리사 비토치이탈리아0:4132:34.64 (1+2+0+1)+1:59.3
1212프란치스카 힐데브란트독일0:5432:36.53 (2+1+0+0)+2:01.2
135바네사 힌츠독일0:4032:41.44 (1+1+2+0)+2:06.1
1436나데즈다 스카르디노벨라루스2:0232:42.71 (0+0+1+0)+2:07.4
1518도로테아 비에러이탈리아1:1432:48.45 (2+2+1+0)+2:13.1
168이렌 카두리쉬스위스0:4632:52.84 (0+0+3+1)+2:17.5
1717이리나 크류코벨라루스1:1132:54.02 (1+0+0+1)+2:18.7
1814비타 세메렌코우크라이나0:5532:54.44 (2+1+1+0)+2:19.1
1953로산나 크로포드캐나다2:2333:03.02 (0+0+1+1)+2:27.7
2030갈리나 비슈네프스카야카자흐스탄1:4633:05.91 (0+0+1+0)+2:30.6
2137린 페르손스웨덴2:0533:21.73 (1+0+1+1)+2:46.4
2225카이사 매캐래이넨핀란드1:3033:22.26 (0+3+3+0)+2:46.9
2323제시카 지슬로바체코1:2333:24.33 (0+1+1+1)+2:49.0
2416아나이스 슈발리에-부셰프랑스1:0933:28.05 (3+0+0+2)+2:52.7
2515마르케타 다비도바체코0:5733:29.86 (1+2+1+2)+2:54.5
2622요한나 탈리하름에스토니아1:2133:34.74 (0+1+2+1)+2:59.4
274마리 도린 아베르프랑스0:3333:37.87 (2+0+2+3)+3:02.5
2840줄리아 랜섬캐나다2:0833:38.31 (0+0+0+1)+3:03.0
2935엘리사베트 호그베르스웨덴2:0033:45.12 (1+0+1+0)+3:09.8
3034베로니카 노바코프스카폴란드1:5733:46.22 (0+1+1+0)+3:10.9
3120타티아나 아키모바align="left"|1:1833:50.84 (1+1+0+2)+3:15.5
3243에바 푸스카르치코바체코2:1433:53.83 (2+1+0+0)+3:18.5
3339바이바 벤디카라트비아2:0833:59.43 (1+0+2+0)+3:24.1
3410쥐스틴 브라자-부셰프랑스0:4834:08.07 (0+2+1+4)+3:32.7
3531엘리사 가스파린스위스1:4634:11.25 (2+2+1+0)+3:35.9
3628크리스티나 구직폴란드1:3734:24.34 (1+1+1+1)+3:49.0
379다리아 돔라체바벨라루스0:4634:26.86 (0+1+1+4)+3:51.5
3811파울리나 피알코바슬로바키아0:5134:33.68 (2+2+2+2)+3:58.3
3941셀리나 가스파린스위스2:1234:40.25 (2+2+1+0)+4:04.9
4029카타리나 이너호퍼오스트리아1:4534:41.25 (1+2+0+2)+4:05.9
4150신노베 솔레달노르웨이2:1834:45.54 (1+0+2+1)+4:10.2
4259잉그리드 란마르크 탄데보르노르웨이2:4334:56.84 (0+3+1+0)+4:21.5
4345모니카 호이니쉬폴란드2:1435:05.64 (1+1+2+0)+4:30.3
4452나제야 피사라바벨라루스2:2335:10.33 (2+0+0+1)+4:35.0
4538장 얀중국2:0835:16.73 (3+0+0+0)+4:41.4
4655아나스타시야 메르쿠시나우크라이나2:2635:30.45 (0+2+2+1)+4:55.1
4751에밀리 드라이시거미국2:2135:36.74 (0+1+1+2)+5:01.4
4844니콜 곤티에이탈리아2:1435:37.67 (3+1+1+2)+5:02.3
4956마그달레나 즈비즈돈폴란드2:3036:07.05 (1+2+2+0)+5:31.7
5032안나 프로리나대한민국1:5136:14.28 (1+2+2+3)+5:38.9
5147안자 에르젠슬로베니아2:1536:22.67 (0+2+2+3)+5:47.3
5233울리아나 카이셰바align="left"|1:5236:33.65 (0+2+2+1)+5:58.3
5354엠마 런더캐나다2:2436:52.14 (0+1+1+2)+6:16.8
5449후루야 사리일본2:1537:02.15 (2+1+1+1)+6:26.8
5560에밀리아 요르다노바불가리아2:4437:04.36 (2+1+3+0)+6:29.0
5642타치자키 후유코일본2:1437:07.97 (2+0+2+3)+6:32.6
5758다리야 클리미나카자흐스탄2:4238:00.08 (1+1+3+3)+7:24.7
5848둔자 즈도우크오스트리아2:1538:39.18 (1+3+1+3)+8:03.8
46발렌티나 세메렌코우크라이나2:15DNS
57메건 탠디캐나다2:37

[4]

5. 메달 수여식

시상식에서 메달은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인 단카 바르테코바가 수여했으며, 국제 바이애슬론 연맹(IBU) 개발 부회장인 올레 달린이 함께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Venues https://web.archive.[...] Pyeongchang 2018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for the 2018 Winter Olympics 2017-12-26
[2] 문서 Start list https://ibu.blob.cor[...]
[3] 웹사이트 Results - Women's 10 km pursuit https://www.olympic.[...] 2018 Winter Olympics official site 2018-02-12
[4] 문서 Final results https://ibu.blob.cor[...]
[5] 웹인용 Venues https://web.archive.[...] Pyeongchang 2018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for the 2018 Winter Olympics 2017-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