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세대 원자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3세대 원자로는 1979년 미국의 스리마일섬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안전성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발된 개량형 원자로입니다. 2세대 원자로를 기반으로 최첨단 설계를 적용하여 안전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킨 것이 특징입니다.
3세대 원자로의 특징:
- 안전성 향상: 피동형 안전계통(Passive Safety System)을 채택하여 사고 발생 시 운전원의 조작 없이도 원자로를 안전하게 정지시키고 냉각시킬 수 있습니다. 노심손상 빈도도 2세대에 비해 현저히 낮습니다.
- 경제성 향상: 연료기술, 열효율, 모듈화 건설, 표준화 설계 등을 통해 경제성을 20~30% 향상시켰습니다.
- 수명 연장: 기존 원자로보다 더 긴 수명(60년)을 확보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3+세대 원자로:3세대 원자로보다 더욱 진보된 설계로,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미국의 경우, 3+세대 설계는 10CFR Part 52에 의거하여 NRC(미국원자력규제위원회)의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대표적인 3세대 및 3+세대 원자로:
- ABWR (Advanced Boiling Water Reactor, 개량형 비등 경수로): GE와 히타치가 공동 개발했으며, 1996년 일본에서 최초로 가동되었습니다.
- AP1000: 웨스팅하우스가 개발한 가압경수로(PWR)로, 피동형 안전 계통을 갖추고 있습니다.
- APR1400: 한국의 한국수력원자력이 개발한 가압경수로로, 한국의 표준 원자로입니다.
- EPR (European Pressurized Reactor, 유럽형 가압 경수로): 프랑스의 N4와 독일의 Konvoi 원자로를 표준으로 설계가 개선되었습니다.
- VVER-1200: 러시아의 3+세대 가압경수로입니다.
4세대 원자로:2030년 이후 실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인 미래형 원자로입니다. 3세대 원자로보다 안전성, 경제성, 친환경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원자로를 목표로 합니다. 대표적인 4세대 원자로 기술로는 소듐냉각고속로(SFR), 초고온가스로(VHTR) 등이 있습니다.
3+세대 원자로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