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P/SOHO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22P/SOHO는 1999년 소호 태양 관측 위성에 의해 처음 발견된 주기 혜성이다. 2006년 동일 혜성임이 밝혀졌으며, 2007년 공식적으로 주기 혜성으로 발표되었다. 이 혜성은 태양에 매우 근접하여 밝기가 크게 증가하며, 짧은 주기를 갖는 선그레이징 혜성으로 분류된다. 물리적 특성 연구 결과, 코마나 꼬리 등 혜성 활동의 흔적이 없고, 빠른 자전 속도와 높은 밀도를 보여 혜성보다는 소행성에 가깝다는 추정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발견한 천체 - TRAPPIST-1
TRAPPIST-1은 지구에서 40광년 떨어진 물병자리의 초저온 왜성으로, 7개의 지구 크기 행성으로 이루어진 행성계가 발견되었으며 일부 행성은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에 위치하여 행성들의 대기 및 생명체 존재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1999년 발견한 천체 - 101955 베누
101955 베누는 링컨 근지구 소행성 탐사에 의해 발견된 탄소질 근지구 소행성으로,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의 목표 천체였으며 지구와 충돌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위험 천체로 분류되어 연구가 진행 중이다. - 혜성 - 핼리 혜성
핼리 혜성은 약 76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는 주기 혜성으로, 기원전 240년경 최초 관측 이후 뉴턴의 법칙으로 주기성이 예측되었고, 1910년과 1986년에 근접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얼음과 먼지로 이루어진 핵이 태양 접근 시 코마와 꼬리를 형성한다. - 혜성 - 비엘라 혜성
비엘라 혜성은 6.6년 주기의 단주기 혜성으로, 두 개의 핵으로 분리 후 붕괴되었으며, 잔해는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로 관측되고 과거 광에테르 이론 연구에 기여했다.
322P/SOHO | |
---|---|
기본 정보 | |
이름 | P/2007 R5 (SOHO) |
발견자 | 테리 러브조이 카지미에라스 체르니스 B. 저우 제바스티안 F. 회니히 |
발견일 | 1999년 9월 4일 |
다른 이름 | P/1999 R1 P/2003 R5 P/2007 R5 P/2011 R4 C/1999 R1 C/2003 R5 |
궤도 요소 기준 시기 | 2019년 8월 25일 (JD 2458720.5) |
관측 호 | 15.9년 |
관측 횟수 | 318 |
지구 최소 궤도 교차 거리 | 0.092 AU () |
티세랑 매개변수 (목성 기준) | 2.347 |
궤도 특성 | |
긴반지름 | 2.509 AU |
근일점 거리 | 0.0507 AU (수성의 근일점의 16%) |
원일점 거리 | 4.967 AU |
궤도 이심률 | 0.9798 |
공전 주기 | 3.97 년 |
궤도 경사 | 11.46° |
절대 등급 | 19.00 ± 0.09 |
최대 속도 (2023년) | 187 km/s |
최소 속도 (2017년 9월 1일) | 1.9 km/s |
핵의 크기 | ~100-200 m |
근일점 통과 | |
최근 통과일 | 2019년 8월 31일 2015년 9월 4일 2011년 9월 7일 2007년 9월 11일 |
다음 통과 예상일 | 2023년 8월 21일 |
2. 발견
322P/SOHO는 1999년 소호 태양 관측 위성이 최초로 발견하였으며, 당시에는 공식 명칭 "C/1999 R1"을 부여받았다.[8]
스피처 우주 망원경, 초거대 망원경, 로웰 천문대 등에서 촬영된 322P/SOHO의 사진을 분석한 결과, 코마나 꼬리 등 일반적인 혜성 활동이 일어난 흔적이 전혀 없었고, 혜성에서 방출된 먼지도 발견되지 않았다.[13]
[1]
기사
The case of the Sun-diving asteroid that thinks it's a comet
https://www.syfy.com[...]
2019-09-04
2006년, 독일의 천문학자 제바스티안 F. 회니히는 혜성 C/1999 R1과 C/2003 R5가 같은 혜성이라는 것을 계산해내었고,[9] 2007년 소호 태양 관측 위성과 중국 천문학자 저우보가 예측한 대로 혜성이 돌아왔음을 확인하여 2007년 9월 10일 공식적으로 이 혜성은 주기 혜성임이 발표되었다.[10] 혜성은 태양에서 약 8000000km (0.05 AU) 떨어진 곳을 지나갔고, 밝기가 수백만 배 증가했다.[11]
2011년에도 혜성이 돌아오리라 예측되었고,[11] 실제로 2011년 9월 4일 저우보가 이 혜성을 다시 관측하였다.[12]
대부분의 선그레이징 혜성은 주기가 수천 년 이상인 장주기 혜성인 데 반해, 이 혜성은 소호 위성이 그때까지 발견했던 1,350개 가량의 선그레이징 혜성 중 최초로 주기가 짧은 단주기 혜성이었다.[13]
3. 물리적 성질
322P/SOHO의 광도곡선 분석 결과, 자전 주기는 2.8 ± 0.3 시간으로 혜성 중에서는 매우 빠른 편이었다. 표면의 색 변화는 관찰되었지만 자전에 따라 색이 바뀌지는 않았다. 표면 반사율은 0.09에서 0.42 사이였다. 자전의 변동 정도와 자전 주기를 합해 밀도를 추정하자 1g/cm3 미만이었고, 이 값은 혜성의 평균 밀도(0.6g/cm3)보다 훨씬 높았다.[13]
관측을 진행한 연구팀은 322P/SOHO의 자전 속도가 다른 혜성들과 다르게 매우 빠르고, 밀도가 높으며, 혜성에서 흔히 보이는 활동이 하나도 일어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이 혜성이 다른 혜성들과 비슷하지 않고, 오히려 소행성에 가까울 것이라는 추정을 내놓았다.[13] 만약 이 혜성이 다른 혜성들과 비슷했었다고 해도, 현재는 거의 모든 얼음이나 휘발성 물질이 사라진 상태일 것이다.[11]
하지만 이 혜성이 근일점 때 태양에 아주 가까이 접근하기 때문에 표면 온도가 1000 K이 넘어가리라고 예상되는 만큼, 근일점을 통과할 때마다 표면이 계속 변화할 가능성도 있다.[13]
참조
[2]
뉴스
Photo in the News: Sun Probe Spies New Periodic Comet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07-09-25
[3]
간행물
MPEC 2007-S16 : COMET P/1999 R1 = 2003 R5 = 2007 R5 (SOHO)
http://www.cfa.harva[...]
2007-09-18
[4]
웹사이트
SOHO's new catch: its first officially periodic comet
http://www.esa.int/e[...]
European Space Agency
2007-11-19
[5]
웹사이트
Recent comet discoveries 2123-2137
http://tech.groups.y[...]
Yahoo Groups: SOHO Hunter
2014-09-10
[6]
웹사이트
The tale of a very shy comet...(2013年11月25日時点のアーカイブ)
https://web.archive.[...]
Sungrazing Comets @ Navy.mil
2014-09-10
[7]
웹인용
322P/SOHO Orbit
http://www.minorplan[...]
Minor Planet Center
2017-12-26
[8]
저널
Identification of a new short-period comet near the sun
http://adsabs.harvar[...]
2006-01
[9]
뉴스
Photo in the News: Sun Probe Spies New Periodic Comet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07-09-25
[10]
인용
MPEC 2007-S16 : COMET P/1999 R1 = 2003 R5 = 2007 R5 (SOHO)
http://www.cfa.harva[...]
2007-09-18
[11]
웹인용
SOHO's new catch: its first officially periodic comet
http://www.esa.int/e[...]
European Space Agency
2007-11-19
[12]
웹인용
Recent comet discoveries 2123-2137
http://tech.groups.y[...]
Yahoo Groups: SOHO Hunter
2011-09-11
[13]
저널
Comet 322P/SOHO 1: An asteroid with the smallest perihelion distance?
http://iopscience.io[...]
2016-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