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BD-10°3166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D-10°3166은 태양보다 금속 함량이 2~3배 높은 항성이다. 이 별은 중원소 함량이 풍부하며, 2000년 캘리포니아-카네기 행성 탐사팀에 의해 외계 행성 BD-10°3166 b가 발견되었다. BD-10°3166 b는 뜨거운 목성으로, 최소 질량이 목성의 절반 정도이며, 3.49일 만에 항성을 공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컵자리 - 익수
    익수는 동아시아 별자리로 컵자리와 바다뱀자리에 걸쳐 있으며, 22개의 별로 구성되고, 《보천가》에 언급되어 있으며, 일 시작은 길하나 불사와 장례는 흉하다고 여겨진다.
  • 컵자리 - HD 98800
    HD 98800은 TW Hydrae 어소시에이션에 속하는 네 개의 별로 이루어진 사중성계로, 두 쌍의 별이 서로를 공전하며, 행성 형성의 증거로 여겨지는 파편 원반을 가지고 있다.
  • K형 주계열성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K형 주계열성 - 허큘리스자리 14
    허큘리스자리 14는 태양 질량의 약 98%를 가진 K0V형 적색 왜성으로, 최소 두 개의 행성(14 헤르쿨리스 b, 14 헤르쿨리스 c)을 거느리고 있으며, 세 번째 행성 후보도 존재하나 별의 자기 활동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14 헤르쿨리스 c에 대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직접 영상 관측이 계획되어 있다.
  • 행성계 - 태양계
    태양계는 태양을 중심으로 행성, 위성, 왜행성, 소행성, 혜성 등 다양한 천체들이 중력으로 묶여 있는 항성계로, 약 46억 년 전 분자운의 붕괴로 형성되었으며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카이퍼 대, 오르트 구름 등을 포함하고 탐사를 통해 구성과 역사가 밝혀지고 있다.
  • 행성계 - 폴룩스 (항성)
    폴룩스는 쌍둥이자리에 있는 밝은 오렌지색 거성으로, 태양 질량의 두 배, 반지름의 아홉 배에 달하며 외계 행성 폴룩스 b를 거느리고 있다.
BD-10°3166
기본 정보
별자리컵자리
겉보기 등급10.02
특징
분광형K3V
색지수 (B-V)0.85
변광성 여부알려지지 않음
위치 및 운동
시차12.17
시차 오차0.45
절대 등급+5.4
물리적 특성
질량0.94
반지름0.9
광도0.56
표면 중력4.5
표면 온도5257
금속 함량0.30
자전 속도5.4
식별 정보
다른 이름GSC 05503-00946
데이터베이스 링크
SimbadBD-10+3166
NSTEDBD-10+3166

2. 항성의 특징

BD-10°3166은 중원소가 항성 대기 중에 매우 풍부하게 섞여 있는데, 대략 태양의 세 배 정도이다. 이처럼 중원소 함량이 높은 별 주위에는 외계 행성이 존재할 확률이 커지는데, BD-10°3166도 예외는 아니다. 2000년 캘리포니아 카네기 행성탐사팀은 이 별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 한 개를 발견했다.[3] 이 별은 금속 함량이 매우 풍부하며, 태양보다 2~3배 더 금속이 풍부하다.

3. 행성계

이 별 주위를 도는 행성은 항성에 가깝게 붙어 돌고 있어 뜨거운 목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2000년 캘리포니아-카네기 행성 탐사팀은 이 행성을 발견했는데, 목성의 절반 정도 질량을 갖고 있으며 별을 3.49일 만에 한 바퀴 돈다.[4]

동반 천체
(가까운 천체순)
질량
(MJ)
공전주기
()
공전궤도 반지름
(AU)
이심률
b>0.458 ± 0.039[4]3.48777 ± 0.00011[4]0.0452 ± 0.0026[4]0.019 ± 0.023[4]


3. 1. BD-10°3166 b

(가까운 천체순)질량
(MJ)공전주기
()공전궤도 반지름
(AU)이심률b>0.458 ± 0.039[4]3.48777 ± 0.00011[4]0.0452 ± 0.0026[4]0.019 ± 0.023[4]


3. 1. 1. 물리적 특징

이 별 주위를 도는 행성은 항성에 가깝게 붙어 돌고 있어 뜨거운 목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행성의 최소 질량은 목성의 절반 정도로 별을 3.49일 만에 한 바퀴 돈다.[4]

2000년 캘리포니아-카네기 행성 탐사팀은 목성형 행성의 일종인 핫 쥬피터를 발견했는데, 이 행성의 최소 질량은 목성 질량의 절반보다 작고, BD−10°3166을 3.49일 만에 공전한다.

동반 천체질량 (MJ)공전주기 ()공전궤도 반지름 (AU)이심률
b>0.458 ± 0.039[4]3.48777 ± 0.00011[4]0.0452 ± 0.0026[4]0.019 ± 0.023[4]


참조

[1] 웹인용 NLTT 25870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imbad.u-stra[...] SIMBAD 2009-06-02
[2] 저널 Two Suns in The Sky: Stellar Multiplicity in Exoplanet Systems http://www.iop.org/E[...] 2009-06-02
[3] 저널 Planetary Companions to the Metal-rich Stars BD -10°3166 and HD 52265 http://www.iop.org/E[...]
[4] 저널 Catalog of Nearby Exoplanets http://www.iop.org/E[...] 2009-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