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하이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B하이텍은 1953년 한국농약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동부일렉트로닉스㈜를 흡수합병하며 동부하이텍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이후 동부그룹이 DB그룹으로 사명을 변경함에 따라 DB하이텍으로 변경되었다. DB하이텍은 한때 실적 부진으로 매각 논란이 있었으나, 파운드리 사업 진출 13년 만인 2014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2019년에는 8,074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2021년 1조 원, 2022년 1조 6천억 원의 매출을 전망하고 있다. 2023년에는 KCGI가 지분 참여를 선언했다가 DB Inc에 지분을 매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3년 설립된 전자 기업 - NXP 반도체
NXP 반도체는 1953년 필립스 반도체 사업부에서 시작하여 2006년 독립 법인으로 분사한 네덜란드 기반의 글로벌 반도체 회사로, 자동차, RFID, NFC, 홈 네트워킹, 마이크로컨트롤러, 파워 어댑터 IC 등 다양한 분야에 반도체를 공급하며 자동차용 반도체 시장의 주요 업체이며,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수 및 마벨 테크놀로지 통신 사업 인수를 통해 성장과 사업 확장을 지속하고, 전 세계에 생산 및 연구개발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 부천시의 기업 - 온 세미컨덕터
온 세미컨덕터는 1999년 모토로라에서 분사한 미국의 반도체 회사로, 트랜지스터, 아날로그 칩 등을 생산하며 시작하여 인수 합병을 통해 아날로그, 혼성 신호, 지능형 센싱, 전력 솔루션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지속 가능한 경영을 추구한다. - 부천시의 기업 - 서진시스템
서진시스템은 1996년 설립되어 5G 통신, 반도체 장비 부품 등에 투자하며 성장, 2020년 텍슨 인수로 5G 통신 시장 진출, 2023년 물류 및 안테나 사업 진출을 시도하며 통신 장비 부품, 휴대폰 부품, 자동차 부품, ESS 장비,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는 코스닥 상장 기업이다.
DB하이텍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회사 이름 | 주식회사 DB하이텍 |
로마자 표기 | DB HITEK CO., LTD. |
이전 회사 이름 | 동부하이텍 |
종류 | 공개 회사 |
설립일 | 1997년 2월 1일 |
본사 위치 | 경기도 부천시 |
산업 | 반도체 |
웹사이트 | www.dbhitek.com |
재무 정보 | |
소유 및 구성 | |
모회사 | DB 그룹 |
기타 정보 | |
이전 회사 | 한국농약 영남화학 울산석유화학공업 동부석유화학 동부화학 한농 종묘 동부한농화학 동부한농 동부하이텍 |
회사 정보 (2015년 기준) | |
자본금 | 222,555,835,000원 (2015.12) |
매출액 | 666,594,986,583원 (2015) |
영업 이익 | 124,968,814,875원 (2015) |
순이익 | 126,733,352,404원 (2015) |
자산 총액 | 984,643,711,741원 (2015.12) |
주요 주주 | 주식회사 디비아이엔씨 외 특수관계인: 19.09% 동부건설주식회사: 10.17% |
종업원 수 | 2,004명 (2015.12) |
추가 정보 | |
대표 이사 | 최창식 (대표이사 부회장) |
주요 제품 | 반도체 웨이퍼 파운드리 |
서비스 산업 |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유사 반도체소자 제조업 |
2. 연혁
- 1953년 4월 - 한국농약 주식회사 설립
- 1965년 8월 - 영남화학 주식회사 설립
- 1973년 6월 - 울산석유화학공업 주식회사 설립
- 1975년 12월 -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
- 1981년 10월 - 한국농약주식회사에서 주식회사 한농으로 상호변경
- 1986년 9월 - 울산석유화학공업 주식회사에서 동부석유화학 주식회사로 사명 변경
- 1988년 2월 - 동부석유화학, 영남화학 주식회사 인수
- 1990년 5월 - 동부석유화학, 영남화학 합병 '동부화학 주식회사'로 사명 변경
- 1992년 6월 - 동부화학 정제인산공장 준공
- 1995년 2월 - 최대주주의 변동(정철호 → 동부제강)
- 1995년 5월 - 주식회사 한농, 동부그룹 계열사로 출범
- 1996년 12월 - (주)한농에서 동부한농화학(주)로 변경
- 1997년 3월 1일 - 동부화학(주) 합병
- 1997년 - 동부일렉트로닉스 메모리칩 제조업체로 설립[3]
- 1998년 11월 27일 - LAFARGE PLATRES INTERNATIONAL S.A에 석고사업부문 양도(양도가액: 6760억원)[11]
- 2001년 - 동부일렉트로닉스 파운드리 회사로 전환[3]
- 2002년 - 동부일렉트로닉스, 앰코테크놀로지로부터 아남반도체의 파운드리 사업부를 1140억원(9300만달러)에 인수[4]
- 2007년 5월 - 동부일렉트로닉스㈜를 흡수합병하고 동부하이텍으로 사명 변경[5]
- 2008년 2월 1일 - 금속재료(합금철) 사업부문을 ㈜동부메탈(현 DB메탈)로 물적분할
- 2010년 6월 1일 - 농업사업부문을 ㈜동부한농(현 팜한농)으로 물적분할
- 2017년 11월 1일 - (주)동부하이텍에서 (주)DB하이텍으로 변경[11][6]
3. 실적 및 매각 논란
DB하이텍은 실적이 좋지 않아 매년 수백억에서 천억 가까운 순손실을 기록했고, 매각이 추진되기도 했다.[7] 2014년 9월 한화증권에서는 DB하이텍을 고위험등급 주식으로 분류했다.[8] 다만 파운드리가 반도체 산업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DB하이텍의 해외 매각은 막아야 한다는 여론이 대한민국 내에서 조성되기도 했다.[9]
파운드리 사업 진출 13년 만인 2014년 영업이익 기준 흑자로 전환했고, 실적이 개선되며 2016년 산업은행은 매각 계획을 철회했다.[10] 2019년 매출액 80.74억원, 영업이익 18.13억원, 순이익 10.46억원을 달성했다. 2021년 매출액은 1조원 수준이며, 2022년 매출액 전망은 1.6조원 수준이다.
3. 1. 실적 부진과 매각 시도
DB하이텍은 실적이 좋지 못하여 매년 수백억에서 천억 가까운 순손실을 기록했고, 매각이 추진되기도 했다.[7] 2014년 9월 한화증권에서는 DB하이텍을 현대상선, 한국화장품, 넥솔론, STX그룹주 등과 함께 고위험등급 주식으로 분류했다.[8] 다만 파운드리가 반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감안할 때 DB하이텍의 해외 매각은 막아야 한다는 여론이 대한민국 내에서 조성되기도 했다.[9]그러나 파운드리 사업에 진출한 지 13년 만인 2014년 영업이익 기준 흑자로 전환했다. 실적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며 2016년 산업은행은 매각 계획을 철회했다.[10] 2019년 연결기준 매출액 80.74억원, 영업이익 18.13억원, 순이익 10.46억원을 달성했다. 2021년 매출액은 1조원 수준이며, 2022년 매출액 전망은 1.6조원 수준이다.
3. 2. 흑자 전환과 매각 철회
실적은 좋지 못하여 매년 수백억에서 천억 가까운 순손실을 기록했고, 매각이 추진되기도 했다.[7] 2014년 9월 한화증권에서는 동부하이텍을 현대상선, 한국화장품, 넥솔론, STX그룹주 등과 함께 고위험등급 주식으로 분류했다.[8] 다만 파운드리가 반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감안할 때 동부하이텍의 해외 매각은 막아야 한다는 여론이 대한민국 내에서 조성되기도 했다.[9]그러나 파운드리 사업에 진출한지 13년 만인 2014년 영업이익 기준 흑자 전환했다. 실적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며 2016년 산업은행은 매각계획을 철회했다.[10] 2019년 연결기준 매출액 8.074조원, 영업이익 1.813조원, 순이익 1.046조원을 달성했다. 2021년 매출액은 1조원 수준이며, 2022년 매출액 전망은 1.6조원 수준이다.
3. 3. 최근 실적
실적이 좋지 못하여 매년 수백억에서 천억 가까운 순손실을 기록해왔고, 매각이 추진되기도 했다.[7] 2014년 9월 한화증권에서는 동부하이텍을 현대상선, 한국화장품, 넥솔론, STX그룹주 등과 함께 고위험등급 주식으로 분류했다.[8] 다만 파운드리가 반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감안할 때 동부하이텍의 해외 매각은 막아야 한다는 여론이 대한민국 내에서 조성되기도 했다.[9]그러나 파운드리 사업에 진출한지 13년만인 2014년 영업이익 기준 흑자 전환했다. 실적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며 2016년 산업은행은 매각계획을 철회했다.[10] 2019년 연결기준 매출액 8074억원, 영업이익 1813억원, 순이익 1046억원을 달성했다. 2021년 매출액 1조원 수준이며, 2022년 매출액 전망은 1.6조원 수준이다.
4. 경영권 분쟁
KCGI는 2023년 DB하이텍 지분 7.05%를 사들이며 경영 참여를 선언했다가, 9개월 만에 모회사 DB Inc에 지분 5.63%를 팔았다.[12]
참조
[1]
뉴스
Analysis: Global chip shortage threatens production of laptops, smartphones and more
https://www.reuters.[...]
2020-12-17
[2]
뉴스
DB Group denies seeking to sell South Korea's No. 2 foundry company
https://en.yna.co.kr[...]
2021-08-13
[3]
뉴스
Foundry player DB HiTek: An ugly duckling becomes a golden swan
https://www.kedgloba[...]
2022-04-04
[4]
뉴스
Amkor completes sale of Anam stake to Dongbu
https://www.eetimes.[...]
2002-09-30
[5]
뉴스
Chin continues dance with Dongbu HiTek
https://koreajoongan[...]
2007-05-02
[6]
뉴스
Founder's scandals hamper DB's rebuilding efforts
https://www.koreatim[...]
2019-07-19
[7]
웹사이트
http://www.etoday.co[...]
[8]
뉴스
80개 고위험주 투자 주의를" 한화증권, STX·동부하이텍·한국화장품 등 선정
서울경제
2014-09-22
[9]
간행물
[사설]동부하이텍 해외매각은 막아야 한다
전자신문
2014-09-01
[10]
웹사이트
https://news.mt.co.k[...]
[11]
뉴스
동부그룹 社名, ‘DB’로 바꿨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7-11-02
[12]
뉴스
조슬기, 분노한 소액주주 KCGI 고소…DB하이텍 지분 부당 매각 논란
https://biz.sbs.co.k[...]
SBS비즈
2024-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