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DJMAX Portable 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JMAX Portable 3는 2010년에 출시된 PSP용 리듬 게임으로, 전작들과 비교하여 다양한 변경 사항과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다. 새로운 게임 모드인 REMIX SYSTEM이 추가되어 아날로그 스틱과 버튼을 활용하여 연주하며, 4T, 6T, 3.2T, 4.2T, 6.2T 등 다양한 버튼 모드를 제공한다. 또한, 레벨 시스템 부활, 미션 모드 부활, Lounge 모드 통합, 이미지 갤러리 기능 등이 추가되었으며, 고화질 그래픽과 뮤직 비디오를 지원한다. 수록곡에는 Planetboom, NieN, makou 등 기존 뮤지션 외에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참여했으며, IGN은 이 게임에 7점의 점수를 부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제이맥스 - 디제이맥스 온라인
    디제이맥스 온라인은 펜타비전에서 개발한 온라인 리듬 게임으로, 내려오는 악보에 맞춰 키를 누르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세분화된 판정 시스템과 다양한 모드를 지원했으나 2008년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디제이맥스 - 박진배
    박진배(ESTi)는 대한민국의 게임 음악 작곡가이자 에스티메이트의 대표 이사로서, SoundTeMP에서 데뷔하여 다수의 인기 게임 OST를 작곡하며 이름을 알렸고, 일본 시장을 겨냥한 BGM 작곡 및 아이돌 마스터 시리즈 작사, 그리고 에스티메이트를 통해 다양한 분야로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다.
  •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전용 게임 - 더 서드 버스데이
    더 서드 버스데이는 다양한 게임 매체로부터 평가를 받았으며, 메타크리틱에서 71점을 기록했고, 일본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평가가 엇갈렸다.
  •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전용 게임 - 디시디아 파이널 판타지
    디시디아 파이널 판타지는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캐릭터를 조작하여 BRV/HP 시스템 기반 전투,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스토리 모드, 멀티플레이어 대전 등 다양한 모드를 제공하며, 코스모스와 카오스 진영 대립 스토리와 리믹스 사운드트랙이 특징인 1대1 액션 대전 게임이다.
  • 2010년 비디오 게임 -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하여 2010년 출시된 실시간 전략 게임이자 스타크래프트 II 3부작의 첫 번째 작품으로, 테란 종족 중심의 싱글 플레이 미션과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제공하며, 3D 그래픽, 향상된 인터페이스, 유닛 상성 체계 등으로 차별화를 이루었으나, 출시 당시 논란도 있었고, 이후 무료화와 e스포츠 대회를 통해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 2010년 비디오 게임 - 더 서드 버스데이
    더 서드 버스데이는 다양한 게임 매체로부터 평가를 받았으며, 메타크리틱에서 71점을 기록했고, 일본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평가가 엇갈렸다.
DJMAX Portable 3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DJMax Portable 3 북미 커버 아트
DJMax Portable 3 북미 커버 아트
개발사펜타비전
배급사
네오위즈
PM 스튜디오
사이버프론트
시리즈DJ Max
프로듀서Croove
디렉터Bexter
Planetboom (사운드 디렉터)
장르음악 비디오 게임
모드싱글 플레이어
멀티플레이어
플랫폼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
이전 작품디제이맥스 포터블 2
디제이맥스 포터블 블랙 스퀘어 (비공식)
디제이맥스 포터블 클래지콰이 에디션 (비공식)
출시일
대한민국2010년 10월 14일
북미2010년 10월 14일
PSN2010년 10월 19일
일본2011년 2월 17일
심의 등급
ESRB10세 이상 이용가
GRB12세 이상 이용가

2. 전작과의 차이점 및 새로운 기능

DJMAX Portable 3는 전작들과 비교하여 여러 가지 변경 사항 및 새로운 기능을 선보였다. 전작의 사운드팀으로 활동하던 CROOVE, Bexter, Planetboom 등이 개발 전면에 나서 '음악가가 만든 음악게임'을 표방하며 제작되었다.[7]

주요 변경점으로는 일부 편의 기능(오토-코렉트) 및 특수 노트(녹색 스페셜 노트) 삭제, 버튼 모드 명칭 변경(예: 4B → 4T) 등이 있다. 또한 네트워크 플레이, 링크 디스크, 앨범 모드(OST 감상), 일부 버튼 모드(5B, 8B 등)가 제거되었다.

가장 큰 특징은 PSP의 아날로그 스틱을 사용하는 새로운 게임 모드인 REMIX SYSTEM의 도입이다. 이 시스템은 기존 버튼 입력 외에 아날로그 스틱 조작을 요구하는 새로운 노트(턴테이블 노트, 샘플러 노트)와 독자적인 난이도 체계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고화질 그래픽과 게임 내 MV 지원이 강화되었으며, 곡 선택 화면에서 MV 일부가 배경으로 재생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DJMAX Portable 2의 레벨업 시스템과 미션 모드가 새로운 방식으로 부활했으며, 특히 미션 모드는 일반 미션과 PS3/Xbox 360의 도전 과제와 유사한 DJ 챌린지로 구성되었다. 기존의 컬렉션 및 MV 감상 기능은 '라운지'라는 새로운 메뉴로 통합되었다.

2. 1. 삭제 및 변경된 요소

전작들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삭제되거나 변경되었다.

  • 삭제된 모드 및 기능
  • 네트워크 플레이 기능
  • 링크 디스크 기능
  • 앨범 모드 (OST 감상 기능. 뮤직 비디오 감상은 라운지 모드로 통합)
  • 5버튼(5B) 모드
  • 4버튼 FX(4BFX) 모드
  • 6버튼 FX(6BFX) 모드 (전작의 8버튼(8B) 모드에 해당)
  • 오토-코렉트(Auto-Correct) 기능: 하나의 버튼만 연타해도 곡 클리어가 가능했던 기능.
  • 녹색 스페셜 노트: 놓칠 경우 음소거 효과가 발생했던 특수 노트.

  • 변경된 요소
  • 버튼 모드 명칭: 기존 'B'(Button) 표기 대신 'T'(Track) 표기를 사용 (예: 4B → 4T).

2. 2. REMIX SYSTEM

DJMAX Portable 3에는 새로운 게임 모드인 REMIX SYSTEM이 추가되었다. 이 모드는 기존의 버튼 입력 방식에 더해 PSP의 아날로그 스틱과 특정 키 버튼(네모, 세모, 동그라미)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8] 일반적인 연주 영역(기어)의 양쪽에 'REMIX ZONE'이라는 새로운 공간이 생겼으며, 이곳에서 아날로그 스틱을 조작하여 내려오는 노트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리믹스 존에서 노트를 성공적으로 처리하면 리믹스된 사운드가 재생된다.[8]

REMIX SYSTEM에는 두 종류의 전용 노트가 등장한다.[8]

  • 턴테이블 노트 (Turntable Note): 보라색의 긴 노트(롱 노트) 형태이다. 노트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아날로그 스틱을 움직여 연주한다. 이는 DJ의 턴테이블 스크래치 및 크로스페이딩 동작을 게임으로 구현한 것이다.[8]
  • 샘플러 노트 (Sampler Note): 일반적인 노트 형태이다. 노트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아날로그 스틱을 기울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해당 노트에 맞는 키 버튼(네모, 세모, 동그라미)을 눌러야 한다. 신시사이저 노트나 음향 효과를 연주하는 것과 유사하다.[8]


REMIX SYSTEM을 사용하는 모드는 기존의 4B(4 버튼), 6B(6 버튼)와 같은 표기 대신 X.2T (여기서 X는 버튼 모드를 의미)라는 이름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3.2T, 4.2T, 6.2T 모드가 있다.

또한, REMIX SYSTEM은 기존 모드와 다른 독자적인 난이도 체계를 사용한다. Normal, Hard, Maximum 대신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난이도로 구분된다.

  • TS (Turntable Set): 턴테이블 노트만 등장하는 패턴이다.
  • SS (Sampler Set): 턴테이블 노트와 샘플러 노트가 함께 등장하는 패턴이다.
  • WS (Workstation Set): 턴테이블 노트 없이 샘플러 노트 구간이 포함된 패턴이다.

2. 3. 기타 새로운 기능


  • 5개의 버튼 모드가 제공된다: 4T, 6T (클래식 모드), 3.2T, 4.2T, 6.2T. 기존의 버튼 모드 이름 표기가 변경되어, 예를 들어 4B는 4T로 표기된다.
  • 고화질 그래픽과 게임 내 뮤직 비디오(MV)를 지원한다.
  • 곡 선택 화면에서는 곡 미리듣기와 함께 해당 곡의 MV 일부가 배경 애니메이션(BGA)으로 재생된다.
  • 포터블 2의 레벨 시스템이 부활했다. 레벨 업 시 제시되는 3개의 상자 중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아바타, 노트 스킨, 이펙트, 배경화면, 곡 MV, 캐릭터, 기어 등의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아이템 선택 후에는 3개 상자 모두 내용물이 공개된다. 레벨이 오를수록 획득 가능한 아이템 종류가 늘어나며, 특정 레벨 도달 시 숨겨진 곡들이 레벨 업 보상 목록에 추가된다. 레벨 99를 달성하면 선택하지 못했던 모든 숨겨진 아이템과 곡이 자동으로 해금된다.
  • 미션 모드가 부활했으며,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일반 미션**: 최대 세 곡까지 지정된 버튼 모드로 플레이하며 특정 조건을 만족시켜 클리어하는 방식이다. 총 70개의 미션이 있으며, 클리어 시 해당 미션 아이콘에 표시된 보상을 얻는다.
DJ 챌린지**: PS3나 Xbox 360의 도전 과제 또는 트로피 시스템과 유사하다. 특정 조건을 달성하면(예: 곡 플레이 중 5번 실패) 완료 알림이 뜨며, DJ 챌린지 목록에서 확인 후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총 30개의 DJ 챌린지가 있다.

  • 새로운 게임 모드인 "REMIX SYSTEM"이 추가되었다. 이 모드는 PSP의 아날로그 스틱과 버튼(네모, 세모, 동그라미)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으로, X.2T (예: 3.2T, 4.2T, 6.2T)라는 이름으로 제공된다. 일반적인 노트 라인 양옆에 'REMIX ZONE'이 추가되어 이곳에서 리믹스용 노트를 처리한다. 리믹스 존에서 노트를 성공적으로 처리하면 리믹스된 사운드가 재생된다.[8]

리믹스 시스템 노트**:

  • ** '''턴테이블 노트'''(Turntable Note): 리믹스 존에 나타나는 보라색 롱 노트. 노트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아날로그 스틱을 기울여 처리한다. DJ 스크래치나 크로스페이딩 효과를 표현한다.
  • ** '''샘플러 노트'''(Sampler Note): 리믹스 존에 나타나는 일반 노트. 아날로그 스틱을 노트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인 상태를 유지하며 해당하는 버튼(네모, 세모, 동그라미)을 눌러 처리한다. 신시사이저 음이나 효과음 등을 표현한다.

리믹스 모드 난이도**: 클래식 모드의 Normal, Hard, Maximum 대신 TS(Turntable Set), SS(Sampler Set), WS(Workstation Set)라는 별도의 난이도 표기를 사용한다. TS는 턴테이블 노트만, SS는 턴테이블 노트와 샘플러 노트가 함께, WS는 턴테이블 노트 없이 샘플러 노트만 등장하는 구간이 포함된다.

  • Lounge 모드: 기존 시리즈의 컬렉션 모드와 포터블 2의 MV 에디션 모드가 통합된 메뉴이다. 플레이어의 DJ 정보(이름, 아이콘, 랭크, 미션/곡 패턴 완료율)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하위 메뉴를 포함한다.

플레이 데이터**: 각 버튼 모드별 곡 및 패턴 클리어 기록 확인.
비디오**: 잠금 해제한 곡 MV 및 기타 영상 감상.
인터넷 랭킹**: 온라인 랭킹 등록에 사용되는 비밀번호 확인.
이미지 갤러리**: 잠금 해제한 이미지를 PSP의 배경 화면으로 저장할 수 있다. 총 80장의 이미지가 있으며, 각 곡마다 2장씩 존재한다. 첫 번째 이미지는 해당 곡을 모든 버튼 모드에서 한 번씩 클리어하면 해금되고, 두 번째 이미지는 레벨 업 보상이나 미션/DJ 챌린지 보상으로 무작위 획득한다.

3. 수록곡

DJMAX Portable 3에는 다양한 장르의 신곡과 기존 DJMAX 시리즈의 인기곡을 리믹스한 곡 등 30곡 이상이 수록되어 있다. 수록곡은 크게 플레이 가능한 음악, 게임 진행 중 사용되는 배경 음악, 그리고 리믹스 곡에 사용된 카메오 음악으로 나눌 수 있다. 자세한 곡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오리지널 신곡 (일부)

디제이맥스 시리즈의 기존 인기 뮤지션인 Planetboom, NieN, makou 외에 myagi, DJ Keri 등 아티스트와 대한민국의 인기 락 밴드 PIA, Vanilla Unity 등이 참여하였다.

해당 앨범에 수록된 오리지널 신곡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Beautiful Girl|뷰티풀 걸영어
  • Become Myself|비컴 마이셀프영어
  • Break!|브레이크!영어
  • Cosmic Fantastic Lovesong|코스믹 판타스틱 러브송영어
  • Desperado (Nu skool Mix)|데스페라도 (Nu skool Mix)영어
  • Dream of Winds|드림 오브 윈즈영어
  • Drum Town|드럼 타운영어
  • Enemy Storm (Dark Jungle Mix)|에너미 스톰 (Dark Jungle Mix)영어
  • Everything|에브리씽영어
  • Funky People|펑키 피플영어

3. 2. 기존 시리즈 곡 (일부)


  • 라 캄파넬라: 누 레이브 La Campanella: Nu Rave영어
  • NB 레인저: 논스톱 리믹스 NB Ranger: Nonstop Remix영어
  • 아웃 로: 리본 Outlaw: Reborn영어
  • 수퍼소닉 (미스터 펑키 리믹스) Supersonic (Mr. Funky Remix)영어
  • 시리아나 (블라스트 웨이브 믹스) Syriana (Blast Wave Mix)영어
  • 제트 (미스터 펑키 리믹스) Zet (Mr. Funky Remix)영어

3. 3. 배경 음악


  • '''플래시 핑거스'''(Flash Fingerseng) - 오프닝 곡
  • '''어 시그니피컨트 체인지'''(A Significant Changeeng) - 티저
  • '''다이스플레이'''(Diceplayeng) - 모드 선택
  • '''스틸 얼라이브'''(Still Aliveeng) - 결과
  • '''슈퍼웨이브'''(Superwaveeng) - 총 결과
  • '''모티베이션'''(moTivationeng) - 미션
  • '''게이트웨이'''(Gatewayeng) - 라운지
  • '''미드나잇 익스프레스'''(Midnight Expresseng) - 엔딩
  • '''아마겟돈'''(Armageddoneng) - The Wideband Network 작곡. 아케이드 모드에서 정확도 97% 이상으로 클리어 시 나오는 엔딩 크레딧 곡이다. OST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3. 4. 카메오 음악

리믹스 모드에서 다른 곡들의 샘플이 사용되었다. 다른 ''DJMAX'' 시리즈의 곡들에서 샘플링된 음악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비트 유 다운(Beat U Down) (엑스래셔(Xlasher)에서)
  • 브레인스톰(BRAINSTORM) (에너미 스톰(Enemy Storm) (다크 정글 믹스(Dark Jungle Remix))에서)
  • 체로키(Cherokee) (제트(ZET) (미스터 펑키 리믹스(Mr.Funky Remix))에서)
  • 컬러 오브 소로우(Colours of Sorrow) (라 캄파넬라: 누 레이브(La Campanella: Nu Rave)에서)
  • 사이퍼 게이트(Cypher Gate) (시리아나(Syriana) (블라스트 웨이브 믹스(Blast Wave Mix))와 화이트블루(Whiteblue)에서)
  • 겟 온 탑(Get on top) (수퍼소닉(Super Sonic) (미스터 펑키 리믹스(Mr.Funky Remix))와 시리아나(Syriana) (블라스트 웨이브 믹스(Blast Wave Mix))에서)
  • 겟 아웃(GET OUT) (써니 사이드(Sunny Side) (리믹스(Remix))에서)
  • 허니문(Honeymoon) (러브 이즈 뷰티풀(Love is Beautiful)에서)
  • 아이 원트 유(I want you) (스위트 드림(Sweet Dream)에서)
  • 레이디메이드 스타(Ladymade Star) (코스믹 판타스틱 러브송(Cosmic Fantastic Lovesong)에서)
  •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드림 오브 윈즈(Dream of Winds)에서)
  • 러블리 핸즈(Lovely Hands) (레이즈 미 업(Raise me up)에서)
  • 마사이(MASAI) (마사이(MASAI) (일렉트로 하우스 믹스(Electro House Mix))에서)
  • NB 걸스(NB Girls) (브레이크!(Break!)에서)
  • 아웃 로(OUTLAW) (데스페라도(Desperado) (누 스쿨 믹스(Nu Skool Mix))와 아웃 로(OUT LAW) - 리본(Reborn)에서)
  • 시크릿 월드(Secret World) (써니 사이드(Sunny Side) (리믹스(Remix))에서)
  • 선 오브 선(SON OF SUN) (레이지 오브 데몬(Rage of Demon)에서)
  • 스타피쉬(Starfish) (키 투 더 월드(Keys to the world)에서)
  • 수퍼소닉(Supersonic) (에너미 스톰(Enemy Storm) (다크 정글 믹스(Dark Jungle Remix))와 키 투 더 월드(Keys to the World)에서)
  • 태권부리(Taekwonburi) (NB 레인저 논스톱 리믹스(NB Ranger Nonstop Remix)에서)
  • 더 라스트 댄스(The Last Dance) (영문 버전(Eng ver.)) (풋 엠 업(Put Em Up)에서)
  • Y (세이 잇 프롬 유어 하트(Say it from your heart)에서)

4. 평가

IGN의 그렉 밀러는 ''DJMAX Portable 3''에 10점 만점에 7점을 부여했다. 그는 "저는 ''DJMAX Portable 3''를 다시 하고 싶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았습니다. 게임 플레이가 덜 멋지게 느껴지는 부분이 있습니다. 긴 로딩 시간, 매우 익숙한 설정, 어색한 옵션 및 메뉴 방식이 이번에는 저에게 맞지 않았습니다."라고 평가하며, 게임 플레이의 일부 아쉬움, 긴 로딩 시간, 익숙한 설정, 불편한 옵션 및 메뉴 등을 단점으로 지적했다.[4]

참조

[1] 웹사이트 DJMAX Portable 3 Officially Announced for U.S. Release http://www.bemanisty[...] Bemanistyle 2010-06-19
[2] 웹사이트 PM Studios Announces 'DJMax Portable 3' for the PSP in 2010 http://ca.ign.com/ar[...] IGN 2018-07-10
[3] 웹사이트 Q & A With Michael Yum of PM Studios on DJMax Portable 3 https://web.archive.[...] 2010-10-03
[4] 웹사이트 DJ Max Portable 3 Review http://ca.ign.com/ar[...] IGN Entertainment 2015-05-16
[5] 웹사이트 대한민국 게임물등급위원회 http://www.grb.or.kr[...]
[6] 웹사이트 PM Studios Announces 'DJMax Portable 3' for the PSP in 2010 http://au.psp.ign.co[...] IGN
[7] 웹사이트 펜타비전, 'DJ맥스 포터블 3' 발표 http://www.ruliweb.c[...] ruliweb.com
[8] 웹사이트 DJMAX 포터블 3, 연주 시스템 소개 http://ruliweb.com/d[...] ruliweb.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