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rete & Computational Geometry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iscrete & Computational Geometry는 수학 및 컴퓨터 과학 분야의 학술 저널이다. 이 저널은 Mathematical Reviews, Zentralblatt MATH, Science Citation Index, Current Contents/공학, 컴퓨팅 및 기술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어 있다. 길 칼라이의 히르쉬 추측에 대한 논문과 새뮤얼 퍼거슨의 케플러 추측에 대한 논문이 이 저널에 게재되었으며, 풀커슨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산기하학 -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거리 공간에서 점 집합을 기반으로 공간을 분할하는 기하학적 구조이며, 각 점까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공간 영역인 보로노이 셀들의 집합을 의미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수학 학술지 - 수학연보
수학연보는 1874년 창간된 학술지 《The Analyst》에서 시작하여 1884년 《수학연보》로 재창간되었고, 순수 및 응용 수학의 모든 질문을 제시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미국 수학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고 현재는 프린스턴 대학교와 프린스턴 고등연구소가 공동으로 편집하며 높은 영향력 지수를 기록하고 있다. - 수학 학술지 - 수학 리뷰
수학 리뷰는 오토 E. 노이게바우어가 나치 검열을 피하고자 1940년에 설립한 수학 학술지 및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로, 전 세계 수학 연구 출판물에 대한 리뷰를 제공하며 MathSciNet을 통해 1940년 이후의 자료와 수학 인용 지수를 제공하지만 평가 주관성 및 지수 방식의 한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이산기하학 - 최근접 이웃 탐색
최근접 이웃 탐색은 다차원 공간에서 주어진 질의와 가장 유사한 데이터를 찾는 최적화 문제로, 데이터 압축, 데이터 마이닝, 기계 학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효율적인 탐색을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이 개발되고 있고, 개인 정보 보호 및 데이터 편향성과 같은 윤리적 문제에 대한 고려도 중요해지고 있다. - 이산기하학 -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거리 공간에서 점 집합을 기반으로 공간을 분할하는 기하학적 구조이며, 각 점까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공간 영역인 보로노이 셀들의 집합을 의미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Discrete & Computational Geometry | |
|---|---|
| 기본 정보 | |
| 분야 | 이산 기하학, 계산 기하학 |
| 편집자 | 케네스 L. 클락슨, 야노스 파흐, Csaba D. Tóth |
| 출판사 | 슈프링거 |
| 발행 빈도 | 계간 |
| 역사 | 1986년–현재 |
| 영향력 지수 | 0.969 |
| 영향력 지수 년도 | 2020년 |
| URL | Discrete & Computational Geometry |
| ISSN | 0179-5376 |
| eISSN | 1432-0444 |
| CODEN | DCGEER |
| LCCN | 90656510 |
2. 저널 정보
이 저널은 여러 주요 학술 데이터베이스에 색인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분야에서의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2. 1. 색인 데이터베이스
이 저널은 다음 데이터베이스에 색인되어 있다.- ''수학 리뷰''(Mathematical Reviews)
- ''Zentralblatt MATH''
- ''과학 인용 색인''(Science Citation Index)
- ''Current Contents''/공학, 컴퓨팅 및 기술
3. 주요 논문
Discrete & Computational Geometry 저널은 이산 기하학 및 계산 기하학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주요 학술지이다. 이 저널에 실린 논문 중에는 학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권위 있는 상을 받은 연구들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길 칼라이가 다면체 직경에 대한 중요한 결과를 발표한 논문[4]과 새뮤얼 퍼거슨이 케플러 추측 증명에 기여한 논문[5]은 모두 이 저널에 게재되었으며, 두 연구 모두 풀커슨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3]
3. 1. 풀커슨상 수상 논문
Discrete & Computational Geometry 저널에 게재된 논문 중 다음 두 편은 뛰어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풀커슨상을 수상했다.[3]- 1992년 길 칼라이가 발표한 다면체의 히르쉬 추측에 대한 부분 지수 상한을 증명한 논문[1][4]
- 2006년 새뮤얼 퍼거슨이 발표한 최적의 3차원 구 포장에 대한 케플러 추측 관련 논문[2][5]
참조
[1]
논문
Upper bounds for the diameter and height of graphs of the convex polyhedra
[2]
논문
Sphere Packings, V. Pentahedral Prisms
[3]
웹사이트
The Fulkerson Prize
https://www.mathopt.[...]
Mathematical Optimization Society
2023-07-10
[4]
논문
[5]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