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Dump (유닉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ump는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파일 시스템의 백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백업 레벨, 파일 크기, 블록 크기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며, 전체 백업과 증분 백업을 지원한다. `-W`와 `-w` 옵션을 통해 백업이 필요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 백업 소프트웨어 - 클론질라
    클론질라는 디스크 복제 및 배포를 위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파티션 및 디스크 복제, 이미지 생성, 복원 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파일 시스템을 지원한다.
  • 자유 백업 소프트웨어 - Tar (파일 포맷)
    tar는 여러 파일들을 묶어 저장하는 파일 아카이브 형식으로, 유닉스 버전 7에 처음 도입되어 POSIX 표준에 따라 널리 사용되며 소프트웨어 배포 및 백업에 활용된다.
  • 유닉스 보관 및 압축 관련 유틸리티 - Gzip
    gzip은 DEFLATE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압축하는 파일 형식으로, 매직 넘버, 헤더, 압축된 페이로드 등을 포함하며, 단일 파일 압축에 주로 사용되고 HTTP 압축 및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된다.
  • 유닉스 보관 및 압축 관련 유틸리티 - Bzip2
    Bzip2는 줄리안 세워드가 개발한 자유 소프트웨어로, 버로우즈-휠러 변환, MTF 변환, 허프만 부호화 등의 압축 기법을 사용하여 gzip이나 ZIP보다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지만 압축 속도가 느린 블록 정렬 압축 알고리즘이다.
Dump (유닉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이름dump
개발자AT&T 벨 연구소
출시일1973년 11월
운영 체제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MSX-DOS
장르명령어

2. 사용법

`dump` 명령어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한다.[1]

```sh

dump [-0123456789acLnSu] [-B records] [-b blocksize] [-C cachesize]

[-D dumpdates] [-d density] [-f file | -P pipecommand] [-h level]

[-s feet] [-T date] filesystem

```

```sh

$ dump -W | -w

```

`dump` 명령어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여 백업 방식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돕는다.

2. 1. 기본 사용법

`dump` 명령어 다음에 백업 옵션과 백업할 파일 시스템을 지정한다.[1]

2. 2. 옵션

dump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백업하는 데 사용되는 유닉스 명령어이다. 다양한 옵션을 통해 백업 방식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 '''-0123456789''': 백업 레벨을 지정한다. 0은 전체 백업, 1~9는 증분 백업을 의미한다.
  • '''-B records''': 레코드 수를 지정한다.
  • '''-b blocksize''': 블록 크기를 지정한다.
  • '''-C cachesize''': 캐시 크기를 지정한다.
  • '''-D dumpdates''': 덤프 날짜 파일을 지정한다.
  • '''-d density''': 밀도를 지정한다.
  • '''-f file | -P pipecommand''': 파일 또는 파이프 명령어를 지정한다.
  • '''-h level''': 레벨을 지정한다.
  • '''-s feet''': 피트(feet) 단위로 테이프 길이를 지정한다.
  • '''-T date''': 날짜를 지정한다.
  • '''-a''': 자동 크기 감지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
  • '''-c''': 카트리지 테이프 기본 설정을 변경한다.
  • '''-L''': 볼륨 레이블을 지정한다.
  • '''-n''': 백업이 필요할 때 운영자에게 알림을 보낸다.
  • '''-S''': 백업 파일의 크기를 추정하고, 백업에 필요한 테이프 개수를 출력한다.
  • '''-u''': 백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etc/dumpdates` 파일에 기록을 업데이트한다.
  • '''-W''' : 백업해야 할 파일 시스템과 마지막 백업 날짜 및 레벨을 표시한다.
  • '''-w''' : -W와 비슷하지만, `/etc/fstab`에 있는 파일 시스템만 표시한다.

2. 2. 1. 일반 옵션


  • '''-0123456789''': 백업 레벨을 지정한다. 0은 전체 백업, 1~9는 증분 백업을 의미한다.
  • '''-a''': 자동 크기 감지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
  • '''-c''': 카트리지 테이프 기본 설정을 변경한다.
  • '''-L''': 볼륨 레이블을 지정한다.
  • '''-n''': 백업이 필요할 때 운영자에게 알림을 보낸다.
  • '''-S''': 백업 파일의 크기를 추정하고, 백업에 필요한 테이프 개수를 출력한다.
  • '''-u''': 백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etc/dumpdates` 파일에 기록을 업데이트한다.
  • '''-B records''': 레코드 수를 지정한다.
  • '''-b blocksize''': 블록 크기를 지정한다.
  • '''-C cachesize''': 캐시 크기를 지정한다.
  • '''-D dumpdates''': 덤프 날짜 파일을 지정한다.
  • '''-d density''': 밀도를 지정한다.
  • '''-f file | -P pipecommand''': 파일 또는 파이프 명령어를 지정한다.
  • '''-h level''': 레벨을 지정한다.
  • '''-s feet''': 피트(feet) 단위로 테이프 길이를 지정한다.
  • '''-T date''': 날짜를 지정한다.

2. 2. 2. 백업 파일 관련 옵션


  • -B records: 백업 레코드 수를 지정한다.[1]
  • -b blocksize: 블록 크기를 지정한다. (기본값: 10KB)[1]
  • -C cachesize: 캐시 크기를 지정한다.[1]
  • -D dumpdates: `dumpdates` 파일 (백업 기록)의 위치를 지정한다.[1]
  • -d density: 테이프 밀도를 설정한다.[1]
  • -f file | -P pipecommand: 백업 파일을 지정하거나, 파이프 명령어를 통해 백업 데이터를 다른 명령어로 전달한다.[1]
  • -h level: 지정된 레벨 이하의 inode는 백업하지 않도록 설정한다.[1]
  • -s feet: 테이프 길이를 피트 단위로 지정한다.[1]
  • -T date: 지정된 날짜 이후의 변경 사항을 백업한다. (증분 백업 시 사용)[1]

2. 2. 3. 기타 옵션

`-W` 옵션을 사용하면 백업이 필요한 파일 시스템과 마지막 백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 관리자가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복구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준다.

`-w` 옵션은 `-W`와 유사하지만, `/etc/fstab`에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만 표시하여 더 간결한 정보를 제공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ump.c http://bitsavers.inf[...] Bitsavers' Software Archive 2013-03-08
[2] 서적 MSX-DOS2 Tools User's Manual by ASCII Corporation http://archive.org/d[...] ASCII Corporation 1993-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