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2F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2FS(Flash-Friendly File System)는 플래시 메모리 기반 저장 장치에 최적화된 파일 시스템이다. 멀티 헤드 로깅, 다단계 해시 테이블, 적응 로깅 방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TRIM/FSTRIM 지원, 온라인 조각 모음, 파일 시스템 수준 암호화 등을 지원한다. 또한,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을 위해 체크포인트 방식을 사용하며, 핫/웜/콜드 노드 및 데이터로 블록 할당 정책을 관리한다. F2FS는 2012년부터 모토로라 모빌리티, 2014년부터 구글, 2016년부터 화웨이, 2019년부터 ZTE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임베디드 리눅스 - 구글 크롬
구글 크롬은 구글이 개발한 웹 브라우저로, 크로미엄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오픈 소스 코드를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기능과 운영체제 지원을 통해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지만 개인 정보 보호 정책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임베디드 리눅스 - 리모
- 파일 시스템 - 부트 섹터
부트 섹터는 시스템 부팅 코드를 담은 저장 매체의 특정 영역으로, 볼륨 부트 레코드(VBR)와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로 나뉘며, BIOS는 이를 실행하고 UEFI는 부트로더를 직접 로드하지만 바이러스 공격에 취약하다. - 파일 시스템 - ZFS
ZFS는 Jeff Bonwick 등이 설계하고 구현한 파일 시스템으로, 데이터 무결성, 스냅샷, RAID-Z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개발되어 OpenZFS 프로젝트를 통해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된다.
| F2FS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개발자 | 삼성전자, 모토로라 모빌리티, 화웨이, 구글 |
| 풀 네임 | Flash-Friendly File System (플래시 친화적 파일 시스템) |
| 소개 날짜 | 2012년 12월 20일 |
| 소개 운영체제 | 리눅스, 안드로이드 |
| 파티션 ID | 해당 없음 |
| 디렉터리 구조 | 멀티 레벨 해시 테이블 |
| 파일 구조 | 비트맵 (여유 공간), 테이블 |
| 불량 블록 구조 | 해당 없음 |
| 최대 파일 크기 | 3.94 TB |
| 최대 파일 수 | 볼륨 크기에 따라 다름 |
| 최대 파일 이름 크기 | 255 바이트 |
| 최대 볼륨 크기 | 16 TB |
| 파일 이름 문자 집합 | NUL과 '/'를 제외한 모든 문자 |
| 날짜 기록 | 수정 (mtime), 속성 수정 (ctime), 접근 (atime) |
| 날짜 범위 | 해당 없음 |
| 날짜 해상도 | 1 나노초 |
| 포크/스트림 | 해당 없음 |
| 속성 | POSIX, 확장 속성 |
| 파일 시스템 권한 | POSIX, ACL |
| 암호화 | 예 |
| 웹사이트 | F2FS 공식 웹사이트 |
| 기능 | |
| 압축 | LZO, LZ4 (리눅스 5.6부터), Zstd (리눅스 5.7부터) |
| 중복 제거 | 해당 없음 |
| 부팅 가능 | 예, GRUB 2.04 (2019-07-05)부터 |
2. 기능
F2FS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구현되어 있다.[32]
| 주요 기능 |
|---|
2. 1. 핵심 기능
- 멀티 헤드 로깅
- 디렉터리 항목에 대한 다단계 해시 테이블
- 정적/동적 핫/콜드 데이터 분리
- 적응형 로깅 방식
- 구성 가능한 운영 단위
- 이중 체크포인트
- 롤백 및 롤포워드 복구
- 힙 스타일 블록 할당
- TRIM/FITRIM 지원[41]
- 온라인 FS 조각 모음/파일 조각 모음[42]
- 인라인 xattrs/data[43]/[44]/dir[45]
- 오프라인 파일시스템 검사(불일치 확인 후 수정[46])
- 원자 작업[47]
- 파일 시스템 수준 암호화[48]
- 오프라인 크기 조절(Offline resizing)[49]
- 내부 주기적 데이터 플러시[50]
- 익스텐트(extent) 캐시[51]
- LZO 또는 LZ4(리눅스 5.6 포함)[3] 또는 zstd(리눅스 5.7 포함)[4]를 사용한 투명한 파일 압축
2. 2. 향후 구현 예정 기능
- FS Fuzzing (AFL)[32]
- 16 TiB 이상 지원[32]
- Open-channel SSD/ lightNVM FTL[32]
- 스냅샷[32]
- 트랜잭션 지원[32]
- 투명 압축[32]
- Tiered storages[32]
- Reflink, copy_file_range, clone_file_range[32]
- cgroups[32]
- DAX[32]
- Data deduplication|중복 제거영어[32]
- Better direct I/O[32]
- 이동식 미디어 지원[32]
- 윈도우용 장치 드라이버 개발[32]
- 멀티 채널 SSD[32]
- OrangeFS|OrangeFS영어[32]
- GRUB 2 지원[32]
3. 설계
F2FS는 설계를 통해 성능 향상과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한다.
F2FS는 전체 볼륨을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나누며, 각 세그먼트의 크기는 2MB로 고정되어 있다. 연속되는 여러 세그먼트는 섹션으로, 섹션의 집합은 존으로 정의된다. 기본적으로 섹션과 존은 같은 크기로 설정되지만, `mkfs` 명령어를 통해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F2FS는 파일 시스템과 플래시 메모리 장치 간의 정렬 불일치를 피하고자 체크포인트(CP)의 시작 블록 주소를 세그먼트 크기 경계에 배치한다. 또한 메인 영역의 시작 블록 주소도 존 크기 경계에 배치하기 위해 SSA에 추가 세그먼트를 확보한다.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을 위해 체크포인트(CP) 방식을 사용하며, 마운트 시 CP 영역을 스캔하여 마지막으로 생성된 유효한 CP를 찾는다. 스캔 시간을 줄이기 위해 CP는 두 개의 사본만 가지며, 이 중 하나가 마지막으로 생성된 유효한 CP가 된다. 이러한 방식을 섀도 복사 방식이라고 하며, CP뿐만 아니라 NAT과 SIT에도 적용된다.
파일 시스템의 핵심 데이터 구조는 "노드"이며, 아이노드(i노드), 직접 노드, 간접 노드의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아이노드 블록의 크기는 4KB이며, 데이터 블록 인덱스, 직접 노드 포인터, 간접 노드 포인터, 이중 간접 노드 포인터를 포함한다. 모든 노드 블록의 배치는 노드 주소 테이블(NAT)에 의해 관리되어, 트리 구조 방랑 문제를 경감시킨다.
디렉터리 구조는 다단계 해시 테이블로 구현되어 있으며, 각 레벨은 여러 개의 전용 해시 버킷을 가진다. 파일 이름을 찾을 때는 파일 이름의 해시 값을 계산한 후, 레벨 0부터 순차적으로 해시 테이블을 검색한다. 파일 생성 시에도 빈 엔트리를 찾기 위해 해시 테이블을 순차적으로 검색한다.
F2FS는 메인 영역에 6개의 액티비티 로그를 관리하며, 각 로그는 핫/웜/콜드 노드 및 핫/웜/콜드 데이터로 구성된다.
| 핫 노드 | 디렉터리의 직접 노드 블록 |
|---|---|
| 웜 노드 | 핫 노드 블록을 제외한 직접 노드 블록 |
| 콜드 노드 | 간접 노드 블록 |
| 핫 데이터 | dentry 블록 |
| 웜 데이터 | 핫 및 콜드 데이터 블록을 제외한 데이터 블록 |
| 콜드 데이터 |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마이그레이션된 데이터 블록 |
빈 영역 관리는 "스레디드 로그 방식"과 "복사 압축 방식"의 하이브리드 방식을 채택한다. 기본적으로 복사 압축 방식을 사용하지만, 파일 시스템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스레디드 로그 방식으로 전환한다.
F2FS는 플래시 스토리지와의 경계 정합성을 위해 세그먼트를 섹션 단위로 확보하며, 섹션 크기는 FTL의 가비지 컬렉션 단위 크기와 같을 것으로 예상한다.
삭제(Cleaning) 처리는 온디맨드와 백그라운드 두 가지 방식으로 실행된다. 온디맨드 소거 처리는 여유 세그먼트가 부족할 때, 백그라운드 소거 처리는 시스템 유휴 시 커널 스레드에 의해 실행된다. 희생자 선택 정책으로는 탐욕 알고리즘과 비용 편익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온디맨드 소거 처리에는 탐욕 알고리즘, 백그라운드 소거 처리에는 비용 편익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희생자 세그먼트의 데이터 유효성은 비트맵을 통해 관리된다.
3. 1. 디스크 레이아웃
F2FS는 전체 볼륨을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나누며, 각 세그먼트는 2MB로 고정되어 있다. 섹션은 연속된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존은 일련의 섹션으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섹션과 존의 크기는 동일하게 설정되지만, 사용자는 `mkfs`를 사용하여 쉽게 크기를 수정할 수 있다.F2FS는 전체 볼륨을 6개의 영역으로 나누며, 슈퍼블록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은 아래 설명과 같이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 슈퍼블록 (SB)
: 파티션의 시작 부분에 위치한다. 파일 시스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두 개의 복사본이 있다. 여기에는 기본 파티션 정보와 일부 기본 F2FS 매개변수가 포함되어 있다.
- 체크포인트 (CP)
: 파일 시스템 정보, 유효한 NAT/SIT 세트의 비트맵, 고아 inode 목록 및 현재 활성 세그먼트의 요약 항목을 포함한다.
- 세그먼트 정보 테이블 (SIT)
: 모든 Main Area 블록의 유효한 블록 수와 유효성 비트맵을 포함한다.
- 노드 주소 테이블 (NAT)
: Main Area 노드 블록의 주소 테이블이다.
- 세그먼트 요약 영역 (SSA)
: Main Area 데이터 및 노드 블록의 소유자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을 포함한다.
- Main Area (메인 영역)
: 파일 및 디렉터리 데이터와 해당 인덱스가 포함된다.
파일 시스템과 플래시 저장 장치 간의 정렬 불일치를 방지하기 위해, F2FS는 CP의 시작 블록 주소를 세그먼트 크기에 맞게 정렬한다. 또한 SSA 영역에 일부 세그먼트를 예약하여 Main Area 시작 블록 주소를 존 크기에 맞게 정렬한다.
3. 2. 메타데이터 구조
F2FS는 파일 시스템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체크포인트 방식을 사용한다. 마운트 시점에 F2FS는 CP 영역을 스캔하여 마지막 유효한 체크포인트 데이터를 찾으려고 시도한다. 스캔 시간을 줄이기 위해 F2FS는 CP의 두 개의 복사본만 사용한다. 그중 하나는 항상 마지막 유효 데이터를 나타내며, 이를 섀도 복사 메커니즘이라고 한다. CP 외에도 NAT와 SIT 역시 섀도 복사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파일 시스템 일관성을 위해 각 CP는 어떤 NAT와 SIT 복사본이 유효한지를 가리킨다.[1]3. 3. 인덱스 구조
파일 시스템의 핵심 데이터 구조는 "노드"이다. F2FS는 전통적인 파일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세 가지 종류의 노드, 즉, 아이노드(i노드), 직접 노드, 간접 노드를 가진다. 아이노드 블록 하나의 크기는 4KB이다. 아이노드 블록은 923개의 데이터 블록 인덱스, 2개의 직접 노드 포인터, 2개의 간접 노드 포인터, 그리고 1개의 이중 간접 노드 포인터를 가진다. 직접 노드 블록은 1018개의 데이터 블록 인덱스를 가지며, 간접 노드 블록은 1018개의 노드 블록 인덱스를 가진다. 따라서, 하나의 아이노드 블록(즉, 하나의 파일)은 다음과 같은 크기의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4KB × (923 + 2×1018 + 2×10182 + 10183) = 3.94TB
모든 노드 블록의 배치는 노드 주소 테이블(NAT)에 의해 관리된다. 즉, 각 노드의 배치 주소는 NAT를 참조하여 얻는다. F2FS는 이 인덱스 구조에 의해 잎(리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갱신했을 때의 노드 정보 갱신 범위를 한정하여, 트리 구조 방랑 문제(wandering tree problem)를 경감하고 있다.
3. 4. 디렉터리 구조
디렉터리 항목(dentry)은 11바이트를 차지하며, 다음과 같은 속성으로 구성된다.| 해시 | 파일 이름의 해시 값 |
|---|---|
| ino | 아이노드 번호 |
| len | 파일 이름의 길이 |
| type | 디렉터리, 심볼릭 링크 등과 같은 파일 유형 |
dentry 블록은 214개의 dentry 슬롯과 파일 이름으로 구성된다. 각 dentry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비트맵이 사용된다. dentry 블록은 4KB를 차지하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Dentry 블록 (4KB) = 비트맵 (27 바이트) + 예약됨 (3 바이트) + dentry (11 * 214 바이트) + 파일 이름 (8 * 214 바이트)
F2FS는 디렉터리 구조에 대해 다단계 해시 테이블을 구현한다. 각 레벨에는 아래에 표시된 전용 해시 버킷 수가 있는 해시 테이블이 있다. "A(2B)"는 버킷이 2개의 데이터 블록을 포함한다는 의미이다.
; 용어
: A는 버킷을 나타낸다.
: B는 블록을 나타낸다.
: N은 MAX_DIR_HASH_DEPTH를 나타낸다.
level #0 A(2B)
level #1 A(2B) - A(2B)
level #2 A(2B) - A(2B) - A(2B) - A(2B)
...
level #N/2 A(2B) - A(2B) - A(2B) - A(2B) - A(2B) - ... - A(2B)
...
level #N A(4B) - A(4B) - A(4B) - A(4B) - A(4B) - ... - A(4B)
F2FS가 디렉터리에서 파일 이름을 찾을 때, 먼저 파일 이름의 해시 값을 계산한다. 그런 다음 F2FS는 level #0의 해시 테이블을 스캔하여 파일 이름과 해당 아이노드 번호로 구성된 dentry를 찾는다. 찾을 수 없으면 F2FS는 level #1의 다음 해시 테이블을 스캔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F2FS는 각 레벨의 해시 테이블을 1부터 ''N''까지 점진적으로 스캔한다. 각 레벨에서 F2FS는 다음 방정식에 의해 결정되는 하나의 버킷만 스캔하면 되며, 이는 O(log(# of files)) 복잡성을 나타낸다.
level #n에서 스캔할 버킷 번호 = (해시 값) % (level #n의 버킷 수)
파일 생성의 경우, F2FS는 파일 이름을 포함하는 비어있는 연속 슬롯을 찾는다. F2FS는 조회 연산과 동일한 방식으로 1부터 ''N''까지의 전체 레벨의 해시 테이블에서 빈 슬롯을 검색한다.
3. 5. 블록 할당 정책
F2FS는 런타임 시 "메인 영역" 내에서 핫/웜/콜드 노드 및 핫/웜/콜드 데이터, 총 6개의 활성 로그를 관리한다. 각 로그에 포함되는 블록은 다음과 같다.| 핫 노드 | 디렉터리의 직접 노드 블록 |
|---|---|
| 웜 노드 | 핫 노드 블록을 제외한 직접 노드 블록 |
| 콜드 노드 | 간접 노드 블록 |
| 핫 데이터 | 덴트리(dentry) 블록 |
| 웜 데이터 | 핫 및 콜드 데이터 블록을 제외한 데이터 블록 |
| 콜드 데이터 |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마이그레이션된 데이터 블록 |
LFS는 빈 공간 관리를 위해 스레드 로그와 복사-압축, 두 가지 방식을 사용한다. 복사-압축 방식은 정리(cleaning)라고도 하며, 새로운 데이터를 쓰기 위해 항상 빈 세그먼트가 제공되므로 순차 쓰기 성능이 매우 우수한 장치에 적합하다. 그러나 높은 사용률에서는 정리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반대로, 스레드 로그 방식은 임의 쓰기에서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만 정리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 F2FS는 복사-압축 방식을 기본적으로 사용하지만, 파일 시스템 상태에 따라 정책을 동적으로 스레드 로그 방식으로 변경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채택한다.
F2FS는 기본 플래시 기반 스토리지를 고려하여 섹션 단위로 세그먼트를 할당한다. F2FS는 섹션 크기가 FTL의 가비지 수집 단위 크기와 같을 것으로 예상한다. FTL의 매핑 세분성에 따라 F2FS는 활성 로그의 각 섹션을 가능한 많은 서로 다른 존에 할당한다. FTL은 매핑 세분성에 따라 활성 로그 데이터를 하나의 할당 단위에 쓸 수 있다.
3. 6. 삭제(Cleaning) 처리
F2FS는 필요에 따라, 그리고 백그라운드에서 클리닝(cleaning)을 수행한다. 온디맨드 클리닝은 VFS 호출을 처리할 충분한 여유 세그먼트가 없을 때 트리거된다. 백그라운드 클리너는 커널 스레드에 의해 실행되며, 시스템이 유휴 상태일 때 클리닝 작업을 트리거한다.F2FS는 탐욕적 알고리즘과 비용-편익 알고리즘, 두 가지 희생 세그먼트 선택 정책을 지원한다. 탐욕적 알고리즘에서 F2FS는 유효 블록 수가 가장 적은 희생 세그먼트를 선택한다. 비용-편익 알고리즘에서 F2FS는 탐욕적 알고리즘에서 나타나는 로그 블록 스래싱(thrashing)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그먼트의 사용 기간과 유효 블록 수를 고려하여 희생 세그먼트를 선택한다. F2FS는 온디맨드 클리닝에 탐욕적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백그라운드 클리너는 비용-편익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희생 세그먼트의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F2FS는 비트맵을 관리한다. 각 비트는 블록의 유효성을 나타내며, 비트맵은 메인 영역의 전체 블록을 커버하는 비트 스트림으로 구성된다.
4. 제품 적용
구글은 2014년 자사의 넥서스 9(Nexus 9)에 처음으로 F2FS를 사용했다.[18] 하지만 구글의 다른 제품들은 F2FS가 인라인 암호화 하드웨어 지원으로 업데이트된 픽셀 3(Pixel 3)까지 F2FS를 채택하지 않았다.[19]
화웨이는 2016년 화웨이 P9(Huawei P9)부터 F2FS를 사용해왔다.[20][21] 원플러스는 OnePlus 3T에서 F2FS를 사용했다.[22]
모토로라 모빌리티는 2012년부터 자사의 Moto G/E/X 및 Droid 폰에서 F2FS를 사용해왔다.
ZTE는 2019년 ZTE Axon 10 Pro부터 F2FS를 사용해왔다.[23]
참조
[1]
웹사이트
F2FS File-System Merged Into Linux 3.8 Kernel
https://www.phoronix[...]
Phoronix
2016-05-25
[2]
웹사이트
f2fs: align f2fs maximum name length to linux based filesystem
https://github.com/t[...]
2023-05-16
[3]
웹사이트
F2FS Data Compression Using LZO/LZ4 + Selective File Extension Handling To Land In 2020
https://www.phoronix[...]
Phoronix
2020-04-07
[4]
웹사이트
F2FS Introduces Zstd Compression Support With The Linux 5.7 Kernel
https://www.phoronix[...]
Phoronix
2020-04-07
[5]
웹사이트
f2fs: introduce flash-friendly file system
https://lwn.net/Arti[...]
2016-05-25
[6]
문서
f2fs: fix to force keeping write barrier for strict fsync mode.
https://lkml.iu.edu/[...]
[7]
웹사이트
f2fs: introduce FITRIM in f2fs_ioctl
https://lore.kernel.[...]
2014-09-22
[8]
웹사이트
f2fs: support file defragment
https://www.mail-arc[...]
2015-10-26
[9]
웹사이트
f2fs: add flags for inline xattrs
https://lkml.org/lkm[...]
2013-08-26
[10]
웹사이트
f2fs: Enable f2fs support inline data
https://lwn.net/Arti[...]
2013-11-10
[11]
웹사이트
f2fs: support inline dir
https://www.mail-arc[...]
2014-09-24
[12]
웹사이트
f2fs-tools: release 1.4.0
https://lkml.org/lkm[...]
2014-09-20
[13]
웹사이트
f2fs: support atomic_write feature for database
https://www.spinics.[...]
2014-09-25
[14]
웹사이트
f2fs updates for v4.2
https://marc.info/?l[...]
2015-06-24
[15]
웹사이트
resize.f2fs: support to expand partition size
https://www.mail-arc[...]
2016-04-25
[16]
웹사이트
f2fs: support data flush in background
https://www.mail-arc[...]
2015-12-17
[17]
웹사이트
f2fs: enable rb-tree extent cache
https://www.mail-arc[...]
2015-01-25
[18]
웹사이트
The Google Nexus 9 Review
https://www.anandtec[...]
2019-05-10
[19]
웹사이트
The Google Pixel 3 Review
https://www.anandtec[...]
2019-05-11
[20]
웹사이트
F2FS Gets More Fixes In Linux 4.21 With The File-System Now Supported By Google's Pixel
https://www.phoronix[...]
2019-05-10
[21]
웹사이트
Huawei P10 and P10 Plus
https://www.anandtec[...]
2019-05-11
[22]
웹사이트
The OnePlus 3T Review
https://www.anandtec[...]
2019-05-10
[23]
웹사이트
ZTE Axon 10 Pro Officially Uncovered: The First To Use F2FS
https://www.gizchina[...]
2019-05-10
[24]
웹사이트
Pull new F2FS filesystem from Jaegeuk Kim commit
https://git.kernel.o[...]
[25]
웹사이트
Arch Linux Wiki
https://wiki.archlin[...]
2021-06-27
[26]
웹사이트
Debian Wiki
https://wiki.debian.[...]
2021-06-27
[27]
웹사이트
Gentoo Wiki
https://wiki.gentoo.[...]
2021-06-27
[28]
웹사이트
f2fs: introduce flash-friendly file system
https://lwn.net/Arti[...]
2018-04-28
[29]
문서
SDメモリーカード・SSDなど
[30]
웹사이트
start [F2FS Wiki]
https://f2fs.wiki.ke[...]
2018-04-29
[31]
문서
書き込み回数の上限の存在など
[32]
웹사이트
development [F2FS Wiki]
https://f2fs.wiki.ke[...]
2018-04-29
[33]
웹사이트
The Google Nexus 9 Review
https://www.anandtec[...]
2019-05-10
[34]
웹사이트
The Google Pixel 3 Review
https://www.anandtec[...]
2019-05-11
[35]
웹사이트
F2FS Gets More Fixes In Linux 4.21 With The File-System Now Supported By Google's Pixel
https://www.phoronix[...]
2019-05-10
[36]
웹사이트
Huawei P10 and P10 Plus
https://www.anandtec[...]
2019-05-11
[37]
웹사이트
The OnePlus 3T Review
https://www.anandtec[...]
2019-05-10
[38]
웹사이트
ZTE Axon 10 Pro Officially Uncovered: The First To Use F2FS
https://www.gizchina[...]
2019-05-10
[39]
웹인용
F2FS File-System Merged Into Linux 3.8 Kernel
https://www.phoronix[...]
Phoronix
2016-05-25
[40]
웹인용
f2fs: introduce flash-friendly file system
https://lwn.net/Arti[...]
2016-05-25
[41]
웹인용
f2fs: introduce FITRIM in f2fs_ioctl
http://www.gossamer-[...]
2014-09-22
[42]
웹인용
f2fs: support file defragment
https://www.mail-arc[...]
2015-10-26
[43]
웹인용
f2fs: add flags for inline xattrs
https://lkml.org/lkm[...]
2013-08-26
[44]
웹인용
f2fs: Enable f2fs support inline data
https://lwn.net/Arti[...]
2013-11-10
[45]
웹인용
f2fs: support inline dir
https://www.mail-arc[...]
2014-09-24
[46]
웹인용
f2fs-tools: release 1.4.0
https://lkml.org/lkm[...]
2014-09-20
[47]
웹인용
f2fs: support atomic_write feature for database
https://www.spinics.[...]
2014-09-25
[48]
웹인용
f2fs updates for v4.2
https://marc.info/?l[...]
2015-06-24
[49]
웹인용
resize.f2fs: support to expand partition size
https://www.mail-arc[...]
2016-04-25
[50]
웹인용
f2fs: support data flush in background
https://www.mail-arc[...]
2015-12-17
[51]
웹인용
f2fs: enable rb-tree extent cache
https://www.mail-arc[...]
2015-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