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FC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는 1936년 창단된 러시아의 축구 클럽으로, 여러 차례 팀명 변경을 거쳤다. 1937년부터 소련 리그에 참가했으며, 2006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2010년 러시아 컵 준우승을 차지했고, 그 결과 2010-11 시즌 UEFA 유로파 리그에 참가했다. 2018-19 시즌 후 러시아 프로 축구 리그로 강등되었고, 2024년 FC 노보시비르스크에서 FC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로 팀명을 변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C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 - 스파르타크 스타디움 (노보시비르스크)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에 위치한 스파르타크 스타디움은 1927년 개장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육상 트랙과 축구 경기장을 갖추고 있으며, 2011년 UEFA 유로파리그 경기를 개최하고 유소년 축구 대회가 열리는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시설 노후화로 일시 폐쇄 후 개보수 작업을 거쳤다.
  • 러시아의 없어진 축구단 -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
    FC 루치 블라디보스토크는 1958년 디나모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어 극동 지역을 대표하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및 러시아 리그에서 1, 2부 리그를 오가며 2005년 러시아 2부 리그 우승 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하기도 했으나, 지리적 요건과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러시아의 없어진 축구단 - FC 볼가 니즈니노브고로드
    FC 볼가 니즈니노브고로드는 1963년 창단되어 2016년 재정난으로 해체된 러시아의 축구 클럽으로, 고리키를 연고로 토르페도와 라케타의 합병으로 시작하여 소비에트 톱 리그에서 14위를 기록한 바 있으며, FC 옐렉트로니카 니즈니노브고로드로 재창단 후 FC 니즈니노브고로드와 합병하기도 했다.
  • 2019년 해체된 축구단 - 아산 무궁화 축구단
    아산 무궁화 축구단은 경찰 FC로 시작하여 K리그 챌린지에 데뷔, 안산 무궁화 FC를 거쳐 아산시로 연고지를 이전하며 아산 무궁화 FC로 명칭을 변경한 후 K리그2에서 우승했으나, 의무 경찰 제도 폐지로 인해 충남 아산 FC로 재창단되었다.
  • 2019년 해체된 축구단 - 바레세 칼초
    바레세 칼초는 1910년 창단되어 흰색과 보라색을 클럽 색상으로 사용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여러 차례 재창단을 거쳐 세리에 A에 진출하는 전성기를 누렸으나 재정 문제로 해산 후 A.S.D. 치타 디 바레세로 재창단되었다.
FC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FC 시비르 노보시비르스크 로고
풀 네임축구 클럽 시비르 노보시비르스크
별칭오를리 (독수리)
창단1936년
해체2019년
홈 경기장스파르타크 경기장, 노보시비르스크
수용 인원12,500명
리그해당 없음
시즌2018-19
순위FNL, 18위 (강등)
클럽 컬러
색상파랑, 하양
기타
웹사이트FC 시비르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FC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는 1936년에 창단되어 여러 차례 팀 이름이 변경되었다.

기간명칭
1936-1937부레베스트니크
1938-1956크릴리야 소베토프
1957-1965시셀마쉬
1970SETM
1971제르즈네츠
1972-1991치칼로베츠
1992치칼로베츠-FoKuMiS
1993-1999치칼로베츠
2000-2005치칼로베츠-1936
2006-2019시비리



팀은 1937년부터 소비에트 연방 리그에 참여했으며, 주로 2부 리그나 3부 리그에서 활동했다. 1992년 소비에트 연방 해체 후 새롭게 창설된 러시아 1부 리그에 참가했고, 1994년 러시아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승격하여 1996년까지 1부 리그에서 뛰었다. 1996년 시즌 종료 후 다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2000년 올림픽 노보시비르스크와 합병하여 팀명을 FC 치칼로베츠-1936으로 변경하고 아마추어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2000년 시즌 후 2부 리그로 승격했다. 2004년에는 1부 리그로 승격했다.

2006년 팀명을 시비리로 변경한 후, 2009년 러시아 1부 리그에서 2위를 차지하여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

2010년 러시아 컵 결승전에서 제니트에 패배했지만, 제니트가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하면서 유로파 리그 2010–11 참가 자격을 얻었다.[1]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 라운드에서 PSV 에인트호번을 홈에서 1-0으로 꺾었으나, 원정에서 0-5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2018-19 시즌 말, 3부 리그인 러시아 프로 축구 리그로 강등되었고, 프로 라이선스를 신청하지 않아 FC 노보시비르스크가 창단되었다.[1]

2. 1. 창단 초기 (1936-1971)

FC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는 1936년에 창단되어 여러 차례 팀 이름이 변경되었다.

기간명칭
1936-1937부레베스트니크
1938-1956크릴리야 소베토프
1957-1965시셀마쉬
1970SETM
1971제르즈네츠



팀은 1937년부터 소비에트 연방 리그에 참여했으며, 주로 2부 리그나 3부 리그에서 활동했다.[1]

2. 2. 치칼로베츠 시대 (1972-2005)

FC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는 1972년부터 1991년까지, 그리고 1993년부터 1999년까지 FC 치칼로베츠(Чкаловец)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이 이름은 소련의 유명한 비행사인 발레리 츠칼로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992년에는 FC 치칼로베츠-FoKuMiS(Чкаловец-ФоКуМиС)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팀은 주로 소련 2부 리그나 3부 리그에서 활동했다. 1992년, 소련 해체 후 러시아가 독립하면서 새롭게 만들어진 러시아 1부 리그에 참가했다. 1994년 러시아 2부 리그로 강등되었지만, 곧바로 승격하여 1995년과 1996년 시즌을 1부 리그에서 보냈다. 하지만 1996년 시즌 최하위를 기록하며 다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2000년 올림픽 노보시비르스크와 합병하여 팀 이름을 FC 치칼로베츠-1936(Чкаловец-1936)으로 변경하고 아마추어 리그에서 뛰었다. 2000년 시즌 후 2부 리그로 승격했고, 2004년 1부 리그로 승격했다.

다음은 치칼로베츠 시대의 리그 성적이다.

시즌디비전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최다 득점자(리그)감독
19922부, "동부"4301569483836세르게이 코발레프ru – 11발레리 예르코비치ru
19932부, "동부"14308715394323R256올레크 니쿨린ru – 9발레리 예르코비치ru
19943부, "시베리아"1221633511235R256올레크 니쿨린ru – 12레오니트 셰브첸코ru
19952부114219419586561R32세르게이 갈킨ru – 14레오니트 셰브첸코ru
19962부224276294410227R64이고르 피메노프ru – 10레오니트 셰브첸코ru / 블라디미르 자부르다예프ru
19973부, "동부"63416810463256R64예브게니 오브골츠ru – 9발레리 예르코비치ru
19983부, "동부"23016122411760R512올레크 니쿨린ru – 9세르게이 이로마슈빌리ru
19993부, "동부"5301668604254R32올레크 리드리크ru – 17세르게이 이로마슈빌리ru
2000LFL(4부), "시베리아"116151065646R1024세르게이 이로마슈빌리ru
20013부, "동부"52812115362147올레크 리드리크ru – 11세르게이 이로마슈빌리ru
20023부, "동부"2301965612863R256예브게니 라고자ru – 17세르게이 이로마슈빌리ru / 발레리 예르코비치ru
20033부, "동부"6241176382740R32알렉산드르 슈틴ru – 8발레리 예르코비치ru / 발레리 슈마로프ru
20043부, "동부"1271953531962R256드미트리 아키모프ru – 24블라디미르 푸자노프ru
20052부1042151116515356R512드미트리 아키모프ru – 18블라디미르 푸자노프ru / 아나톨리 다비도프ru


2. 3. 시비리 시대 (2006-2019)

1936년 창단된 시비르는 여러 차례 팀 명칭이 변경되었다.

기간팀 명칭
1936-37부레베스트니크 (Буревестник)
1938-56크릴리야 소베토프 (Крылья Советов)
1957-65시셀마쉬 (Сибсельмаш)
1970SETM (СЭТМ)
1971제르즈네츠 (Дзержинец)
1972-1991치칼로베츠 (Чкаловец)
1992치칼로베츠-FoKuMiS (Чкаловец-ФоКуМиС)
1993-99치칼로베츠 (Чкаловец)
2000-05치칼로베츠-1936 (Чкаловец-1936)
2006-2019시비리 (Сибирь)



2000년 올림픽 노보시비르스크와 합병 후, 팀명을 FC 치칼로베츠-1936으로 변경하고 아마추어 리그에서 활동하다 시즌 후 2부리그로 승격했다. 2004년 1부리그로 승격했으며, 2006년 시비리로 이름을 바꾸었다. 2009년 러시아 1부 리그에서 2위를 차지하며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

2010년 러시아 컵 결승전에서 제니트에 패했지만, 제니트가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하면서 유로파 리그 2010–11 참가 자격을 얻었다.[1]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 라운드에서 PSV 에인트호번을 홈에서 1-0으로 꺾었으나, 원정에서 0-5로 패해 탈락했다.

2018-19 시즌 말, 3부 리그인 러시아 프로 축구 리그로 강등되었고, 프로 라이선스를 신청하지 않아 FC 노보시비르스크가 창단되었다.[1]

2. 4. FC 노보시비르스크와 시비리로의 복귀 (2019-현재)

2018-19 시즌을 끝으로 시비리는 3부 리그인 러시아 프로 축구 리그로 강등되었다.[1] 강등 후, 클럽은 프로 라이선스를 신청하지 않았고, FC 노보시비르스크라는 다른 클럽이 도시를 대표하기 위해 조직되었다.[1] 2024년 6월 27일, FC 노보시비르스크는 FC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로 이름을 변경한다고 발표했다.[2]

3. 클럽 명칭 변천사

기간명칭
1936년-1937년부레베스트니크
1938년-1956년크릴리야 소베토프
1957년-1965년시브셀마시
1970년SETM
1971년제르진네츠[3]
1972년-1991년, 1993년-1999년츠칼로베츠[4]
1992년츠칼로베츠-FoKuMiS
2000년-2005년츠칼로베츠-1936
2006년-2019년시비리


4. 역대 성적

FC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는 여러 리그와 컵 대회, 그리고 유럽 대항전에 참가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러시아 컵''' 준우승 (1회): 2009–10[1]


다음은 역대 성적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

시즌디비전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유럽최다 득점자(리그)감독
19922부, "동부"4301569483836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Серге́й Ковалёв|세르게이 코발레프ru – 11Валерий Николаевич Еркович|발레리 예르코비치ru
19932부, "동부"14308715394323R256align=center|align=center|Олег Никулин|올레크 니쿨린ru – 9Валерий Николаевич Еркович|발레리 예르코비치ru
19943부, "시베리아"1221633511235R256align=center|align=center|Олег Никулин|올레크 니쿨린ru – 12Леонид Викторович Шевченко|레오니트 셰브첸코ru
19952부114219419586561R32align=center|align=center|Сергей Галкин|세르게이 갈킨ru – 14Леонид Викторович Шевченко|레오니트 셰브첸코ru
19962부224276294410227R64align=center|align=center|Игорь Пименов|이고르 피메노프ru – 10Леонид Викторович Шевченко|레오니트 셰브첸코ru / Владимир Забурдаев|블라디미르 자부르다예프ru
19973부, "동부"63416810463256R64align=center|align=center|Евгений Обгольц|예브게니 오브골츠ru – 9Валерий Николаевич Еркович|발레리 예르코비치ru
19983부, "동부"23016122411760R512align=center|align=center|Олег Никулин|올레크 니쿨린ru – 9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Иромашвили|세르게이 이로마슈빌리ru
19993부, "동부"5301668604254R32align=center|align=center|Олег Рыдлик|올레크 리드리크ru – 17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Иромашвили|세르게이 이로마슈빌리ru
2000LFL(4부), "시베리아"116151065646R1024align=center|align=center|align=left|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Иромашвили|세르게이 이로마슈빌리ru
20013부, "동부"52812115362147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Олег Рыдлик|올레크 리드리크ru – 11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Иромашвили|세르게이 이로마슈빌리ru
20023부, "동부"2301965612863R256align=center|align=center|Евгений Рагоза|예브게니 라고자ru – 17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Иромашвили|세르게이 이로마슈빌리ru / Валерий Николаевич Еркович|발레리 예르코비치ru
20033부, "동부"6241176382740R32align=center|align=center|Александр Штынь|알렉산드르 슈틴ru – 8Валерий Николаевич Еркович|발레리 예르코비치ru / Валерий Яковлевич Шмаров|발레리 슈마로프ru
20043부, "동부"1271953531962R256align=center|align=center|Дмитрий Акимов|드미트리 아키모프ru – 24Владими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узанов|블라디미르 푸자노프ru
20052부1042151116515356R512align=center|align=center|Дмитрий Акимов|드미트리 아키모프ru – 18Владими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узанов|블라디미르 푸자노프ru / Анатолий Николаевич Давыдов|아나톨리 다비도프ru
20062부74219815674565R64align=center|align=center|Дмитрий Акимов|드미트리 아키모프ru – 23Анатолий Николаевич Давыдов|아나톨리 다비도프ru / Дмитрий Радюкин|드미트리 라듸킨ru
20072부34225116803986R16align=center|align=center|Дмитрий Акимов|드미트리 아키모프ru – 34Владимир Файзулин|블라디미르 파이줄린ru
20082부1442141612514158R4align=center|align=center|Дмитрий Акимов|드미트리 아키모프ru – 12Сергей Петрович Оборин|세르게이 오보린ru
20092부2382279602173결승align=center|align=center|Алексей Сергеевич Медведев|알렉세이 세르게예비치 메드베데프ru – 18Ігар Мікалаевіч Крывушэнка|이고르 크류셴코be
20101부16304818345820R8EUPOАлексей Сергеевич Медведев|알렉세이 세르게예비치 메드베데프ru – 6Ігар Мікалаевіч Крывушэнка|이고르 크류셴코be
2011-122부752191914765776R32align=center|align=center|Дмитрий Акимов|드미트리 아키모프ru – 20Ігар Мікалаевіч Крывушэнка|이고르 크류셴코be / Дмитрий Радюкин|드미트리 라듸킨ru /
2012-132부83212911343845R32align=center|align=center|Алексей Медведев|알렉세이 메드베데프ru – 6Сергей Николаевич Юран|세르게이 유란ru / Dariusz Kubicki|다리우스 쿠비츠키pl
2013-142부1136131211383951R32align=center|align=center|Михаил Маркосов|미하일 마르코소프ru – 5Dariusz Kubicki|다리우스 쿠비츠키pl / Сергей Васильевич Балахнин|세르게이 발라크닌ru
2014-152부113411914354642R16align=center|align=center|Виктор Свежов|빅토르 스베조프ru – 7Сергей Васильевич Балахнин|세르게이 발라크닌ru / Андрей Львович Гордеев|안드레이 고르데예프ru
2015-162부113814915475051R32align=center|align=center|Максим Житнев|막심 지트네프ru – 16Борис Алексеевич Стукалов|보리스 스투칼로프ru
2016-172부153891514314642R4align=center|align=center|Евгений Чеботару|예브게니 체보타루mo – 9Евгений Перевертайло|예브게니 페레베르타일로ru /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ирсанов|세르게이 키르사노프ru
2017-182부738141113383153R32align=center|align=center|align=left|align=left|
2018-192부183881317284537R32align=center|align=center|align=left|align=left|


4. 1. 리그

FC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는 여러 차례 리그를 옮겨 다녔다. 1992년 러시아 제1 리그(2부 리그)에 참가했고, 1994년 제1 리그가 축소되면서 러시아 제2 리그(3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1994년 다시 제1 리그로 승격하여 1995년과 1996년에 뛰었으나, 1996년 최하위를 기록하며 다시 제2 리그로 강등되었다.

2000년에는 올림피크 노보시비르스크와 합병하여 제2 리그에 잔류했고, 아마추어 축구 리그(4부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이후 2004년 다시 제1 리그로 승격했다. 2009년에는 제1 리그에서 2위를 차지하며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1부 리그)로 승격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그러나 2010년 프리미어 리그에서 최하위인 16위를 기록하며 1년 만에 다시 강등되었다.

2018-19 시즌에는 러시아 전국 축구 리그(2부 리그)에서 18위를 기록하며 러시아 프로 축구 리그(3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이후 클럽은 프로 라이선스를 신청하지 않았고, FC 노보시비르스크라는 새로운 클럽이 창단되었다.[1]

시즌디비전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유럽최다 득점자(리그)감독
19922부, "동부"4301569483836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Серге́й Ковалёв|세르게이 코발레프ru – 11Валерий Николаевич Еркович|발레리 예르코비치ru
19932부, "동부"14308715394323R256align=center|align=center|Олег Никулин|올레크 니쿨린ru – 9Валерий Николаевич Еркович|발레리 예르코비치ru
19943부, "시베리아"1221633511235R256align=center|align=center|Олег Никулин|올레크 니쿨린ru – 12Леонид Викторович Шевченко|레오니트 셰브첸코ru
19952부114219419586561R32align=center|align=center|Сергей Галкин|세르게이 갈킨ru – 14Леонид Викторович Шевченко|레오니트 셰브첸코ru
19962부224276294410227R64align=center|align=center|Игорь Пименов|이고르 피메노프ru – 10Леонид Викторович Шевченко|레오니트 셰브첸코ru / Владимир Забурдаев|블라디미르 자부르다예프ru
19973부, "동부"63416810463256R64align=center|align=center|Евгений Обгольц|예브게니 오브골츠ru – 9Валерий Николаевич Еркович|발레리 예르코비치ru
19983부, "동부"23016122411760R512align=center|align=center|Олег Никулин|올레크 니쿨린ru – 9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Иромашвили|세르게이 이로마슈빌리ru
19993부, "동부"5301668604254R32align=center|align=center|Олег Рыдлик|올레크 리드리크ru – 17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Иромашвили|세르게이 이로마슈빌리ru
2000LFL(4부), "시베리아"116151065646R1024align=center|align=center|align=left|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Иромашвили|세르게이 이로마슈빌리ru
20013부, "동부"52812115362147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Олег Рыдлик|올레크 리드리크ru – 11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Иромашвили|세르게이 이로마슈빌리ru
20023부, "동부"2301965612863R256align=center|align=center|Евгений Рагоза|예브게니 라고자ru – 17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Иромашвили|세르게이 이로마슈빌리ru / Валерий Николаевич Еркович|발레리 예르코비치ru
20033부, "동부"6241176382740R32align=center|align=center|Александр Штынь|알렉산드르 슈틴ru – 8Валерий Николаевич Еркович|발레리 예르코비치ru / Валерий Яковлевич Шмаров|발레리 슈마로프ru
20043부, "동부"1271953531962R256align=center|align=center|Дмитрий Акимов|드미트리 아키모프ru – 24Владими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узанов|블라디미르 푸자노프ru
20052부1042151116515356R512align=center|align=center|Дмитрий Акимов|드미트리 아키모프ru – 18Владими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узанов|블라디미르 푸자노프ru / Анатолий Николаевич Давыдов|아나톨리 다비도프ru
20062부74219815674565R64align=center|align=center|Дмитрий Акимов|드미트리 아키모프ru – 23Анатолий Николаевич Давыдов|아나톨리 다비도프ru / Дмитрий Радюкин|드미트리 라듸킨ru
20072부34225116803986R16align=center|align=center|Дмитрий Акимов|드미트리 아키모프ru – 34Владимир Файзулин|블라디미르 파이줄린ru
20082부1442141612514158R4align=center|align=center|Дмитрий Акимов|드미트리 아키모프ru – 12Сергей Петрович Оборин|세르게이 오보린ru
20092부2382279602173Falign=center|align=center|Алексей Сергеевич Медведев|알렉세이 세르게예비치 메드베데프ru – 18Ігар Мікалаевіч Крывушэнка|이고르 크류셴코be
20101부16304818345820R8EUPOАлексей Сергеевич Медведев|알렉세이 세르게예비치 메드베데프ru – 6Ігар Мікалаевіч Крывушэнка|이고르 크류셴코be
2011-122부752191914765776R32align=center|align=center|Дмитрий Акимов|드미트리 아키모프ru – 20Ігар Мікалаевіч Крывушэнка|이고르 크류셴코be / Дмитрий Радюкин|드미트리 라듸킨ru /
2012-132부83212911343845R32align=center|align=center|Алексей Медведев|알렉세이 메드베데프ru – 6Сергей Николаевич Юран|세르게이 유란ru / Dariusz Kubicki|다리우스 쿠비츠키pl
2013-142부1136131211383951R32align=center|align=center|Михаил Маркосов|미하일 마르코소프ru – 5Dariusz Kubicki|다리우스 쿠비츠키pl / Сергей Васильевич Балахнин|세르게이 발라크닌ru
2014-152부113411914354642R16align=center|align=center|Виктор Свежов|빅토르 스베조프ru – 7Сергей Васильевич Балахнин|세르게이 발라크닌ru / Андрей Львович Гордеев|안드레이 고르데예프ru
2015-162부113814915475051R32align=center|align=center|Максим Житнев|막심 지트네프ru – 16Борис Алексеевич Стукалов|보리스 스투칼로프ru
2016-172부153891514314642R4align=center|align=center|Евгений Чеботару|예브게니 체보타루mo – 9Евгений Перевертайло|예브게니 페레베르타일로ru /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ирсанов|세르게이 키르사노프ru
2017-182부738141113383153R32align=center|align=center|align=left|align=left|
2018-192부183881317284537R32align=center|align=center|align=left|align=left|


4. 2. 컵 대회


  • '''러시아 컵'''
  • * 준우승 (1): 2009–10[1]

4. 3. 유럽 대항전

FC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는 유로파 리그 2010-11 시즌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유럽 대항전에 참가했다.[1] 러시아 컵 2009-10 시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챔피언스 리그 진출팀인 제니트 덕분에 유로파 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

3차 예선에서 키프로스의 아폴론 리마솔을 상대로 홈에서 1-0, 원정에서 1-2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플레이오프 라운드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 라운드에서는 네덜란드의 PSV 에인트호번을 만나 홈에서 1-0으로 승리했지만, 원정에서 0-5로 크게 패하며 합계 1-5로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시즌대회라운드상대원정합계
2010-11UEFA 유로파리그3차 예선 아폴론 리마솔1–01–22–2 (a)
플레이오프 라운드 PSV 에인트호번1–00–51–5


5. 역대 감독

감독임기
발레리 시마로프2003


6. 역대 선수


  • Денис Лактионов|데니스 라크치오노프ru (2008-2009)[1]
  • Дмитрий Бородин|드미트리 보로딘ru (2008)[2]

참조

[1] 웹사이트 РФС: ФК "Новосибирск" не является клубом-двойником команды "Сибирь" https://rsport.ria.r[...] RIA Novosti 2019-06-26
[2] 웹사이트 ФК "НОВОСИБИРСК" ОФИЦИАЛЬНО СМЕНИЛ НАЗВАНИЕ НА "СИБИРЬ" https://fcnsk.com/%E[...] FC Sibir Novosibirsk 2024-06-27
[3] 문서 チーム名の由来は、政治家のフェリックス・ジェルジンスキーから。
[4] 문서 チーム名の由来は、パイロット (航空)|飛行士のヴァレリー・チカロフか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