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 톰 톰스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톰 톰스크는 1957년 창단된 러시아의 축구 클럽이다. 클럽은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988년부터 톰 강 이름을 딴 FC 톰 톰스크로 불리고 있다. 1997년 러시아 퍼스트 디비전으로 승격했고, 2004년에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하여 2005년 데뷔 시즌 10위를 기록했다. 2018-19 시즌에는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승격에 실패했다. 재정 문제로 인해 2022-23 시즌에는 FNL(2부 리그) 라이선스를 획득하지 못했고 FNL2(3부 리그) 라이선스마저 거부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 구단 - PFC 소치
PFC 소치는 2018년에 창단된 러시아 축구 클럽으로, 2019-20 시즌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하여 2021-22 시즌 준우승을 기록했지만, 2023-24 시즌 부진으로 러시아 1부 리그로 강등되었으며, 소치를 연고지로 하고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클럽 상징은 표범이다. -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 구단 - FC 루빈 카잔
FC 루빈 카잔은 러시아 카잔을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2회 우승, 러시아 컵 1회 우승, 러시아 슈퍼컵 2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FC 바르셀로나를 꺾는 이변을 일으키기도 했고,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 - 1957년 설립된 축구단 - 세레소 오사카
세레소 오사카는 1957년 창단되어 J리그에서 활동하며 J리그컵과 천황배 우승을 달성하고, 오사카 더비를 통해 감바 오사카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일본의 프로 축구팀이다. - 1957년 설립된 축구단 - 브리즈번 로어 FC
브리즈번 로어 FC는 1957년 창단된 홀란디아 이날라 사커 클럽을 모태로 퀸즐랜드주 브리즈번을 연고로 하는 오스트레일리아 프로 축구 클럽으로, A리그에서 세 차례 그랜드 파이널 우승을 달성했다. - 2022년 해체된 축구단 - 청주 FC
청주 FC는 2009년 창단되어 챌린저스리그에서 활동하다 청주 CITY FC와 통합, 현재 K리그2에서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대한민국의 축구단이다. - 2022년 해체된 축구단 - FC 남동
2019년 창단되어 K4리그에 참가했던 FC 남동은 남동구의 지원 포기로 2022년 리그 도중 해체된 축구단이다.
| FC 톰 톰스크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풀 네임 | OOO 풋볼 클럽 톰' |
| 별칭 | 시비랴키 (시베리아인), 벨로-젤료니예 (흰색-녹색) |
| 창단일 | 1957년 3월 9일 |
| 해체일 | 2022년 |
| 홈 구장 | 트루드 경기장, 톰스크 |
| 수용 인원 | 10,028명 |
| 구단주 | 톰스크 주 |
| 시즌 | 2021-22 |
| 순위 | FNL, 14위 |
| 웹사이트 | FC 톰 톰스크 공식 웹사이트 |
| 유니폼 정보 | |
| 홈 유니폼 | 상의: 흰색, 팔: 초록색 하의: 초록색 양말: 초록색 |
| 원정 유니폼 | 상의: 흰색 하의: 흰색 양말: 흰색 |
2. 명칭의 변화
Буревестник|부레베스트니크ru, Томич|토미치ru, Сибэлектромотор|시브엘렉트로모토르ru, Торпедо|토르페도ru, Томлес|톰레스ru, Манометр|마노메트르ru, Томь|톰ru 등 창단 이후 여러 차례 구단 명칭이 변경되었다.[2][3][4] 현재 클럽 명칭은 톰스크를 흐르는 톰 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연도 | 명칭 |
|---|---|
| 1957 | 부레베스트니크 (Буревестник|Burevestnikru) |
| 1958 | 토미치 (Томич|Tomichru) |
| 1959년-1960년 | 시브엘렉트로모토르 (Сибэлектромотор|Sibelektromotorru) |
| 1961년-1963년 | 토미치 (Томич|Tomichru) |
| 1964년-1967년 | 토르페도 (Торпедо|Torpedoru) |
| 1968년-1973년 | 톰레스 (Томлес|Tomlesru) |
| 1974년-1978년 | 토르페도 (Торпедо|Torpedoru) |
| 1979년-1987년 | 마노메트르 (Манометр|Manometrru) |
| 1988년-현재 | 톰 (Томь|Tomru) |
FC 톰 톰스크는 1957년 창단 이후 여러 차례 이름을 변경했으며, 현재 이름은 톰스크를 흐르는 톰 강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3. 역사
1990년대에 팀은 러시아 세컨드 디비전에서 벗어나기 위해 빅토르 세벨레프, 발레리 코노발로프, 루슬란 아히자크 등 여러 선수들을 영입했다. 세르게이 아게예프, 뱌체슬라프 비슈네프스키, 드미트리 쿠디노프는 팀 전력을 강화했다. 1996년 팀은 리그 2위를 차지하며 러시아 퍼스트 디비전 승격에 실패했지만, 1997년 퍼스트 디비전으로 승격했다.
승격 후, 톰 톰스크는 세르게이 주코프,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미하일 무라쇼프 등 새로운 선수들을 영입했으나, 이스턴 오일 컴퍼니 (VNK)가 팀에서 철수하면서 재정난을 겪어 퍼스트 디비전 잔류가 우선 목표가 되었다.
이후 새로운 스폰서 등장으로 재정 지원을 받아 선수들을 영입하여 경쟁력을 강화했다. 2002년과 2003년에는 퍼스트 디비전에서 3위를 기록, 2004년 2위를 차지하며 2005 시즌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
2005년, 프리미어 리그 데뷔 시즌에서 10위를 기록, 2006년 8위로 개선되었지만, 2007년 11위로 떨어졌다.[2]
2018-19 시즌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FC 우파에게 합계 점수 1-2로 패하며 승격에 실패했다.
2020–21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에서 강등권에 머물렀지만, 다른 두 클럽이 실격되어 리그에 잔류했다.
2022-23 FNL 시즌 라이선스를 받지 못했고,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라이선스를 신청할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재정 보증 부족으로 거부되었다.[4]
'''역대 최다 득점자''': 빅토르 세벨레프 – 287경기 83골 (1989–2004)
'''한 시즌 최다 득점''': 루슬란 아히자크 – 21경기 18골 (1994), 데니스 키셀레프 – 37경기 18골 (2004)
3. 1. 초창기 (1957-1990년대)
FC 톰 톰스크는 1957년 창단 이후 여러 차례 이름을 변경했다.
| 연도 | 이름 |
|---|---|
| 1957년 | 부레베스트니크 (Буревестник|Burevestnikru) |
| 1958년 | 토미치 (Томич|Tomichru) |
| 1959~1960년 | 시브엘렉트로모터 (Сибэлектромотор|Sibelektromotorru) |
| 1961~1963년 | 토미치 |
| 1964~1967년 | 토르페도 (Торпедо|Torpedoru) |
| 1968~1973년 | 톰레스 (Томлес|Tomlesru) |
| 1974~1978년 | 토르페도 |
| 1979~1987년 | 마노메트르 (Манометр|Manometrru) |
| 1988년~현재 | 톰 (Томь|Tomru) |
현재 클럽 이름은 톰스크를 흐르는 톰 강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990년대에 팀은 러시아 세컨드 디비전에서 벗어나기 위해 여러 선수들을 영입했다. 빅토르 세벨레프, 발레리 코노발로프, 루슬란 아히자크는 1990년대 초반의 핵심 선수였으며, 세르게이 아게예프, 뱌체슬라프 비슈네프스키, 드미트리 쿠디노프는 팀 전력을 강화했다. 1996년 팀은 리그 2위를 차지하며 러시아 퍼스트 디비전 승격에 아쉽게 실패했지만, 1997년 강력한 시즌 성적을 통해 마침내 퍼스트 디비전으로 승격했다.
3. 2. 성장과 발전 (1990년대-2000년대)
1990년대에 FC 톰 톰스크는 러시아 세컨드 디비전에서 벗어나기 위해 빅토르 세벨레프, 발레리 코노발로프, 루슬란 아히자크 등 여러 선수들을 영입했다. 세르게이 아게예프, 뱌체슬라프 비슈네프스키, 드미트리 쿠디노프 또한 팀 전력 강화에 기여했다. 1996년, 톰 톰스크는 세컨드 디비전에서 2위를 기록하며 러시아 퍼스트 디비전 승격에 아쉽게 실패했다.[2] 그러나 1997년, 톰스크는 세컨드 디비전에서 압도적인 성적으로 우승을 차지하며 퍼스트 디비전으로 승격했다.[2]승격 이후, 톰 톰스크는 세르게이 주코프,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미하일 무라쇼프 등 새로운 선수들을 영입하여 전력을 보강했다. 하지만,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스폰서였던 이스턴 오일 컴퍼니 (VNK)가 팀에서 철수하면서 재정난이 심화되었다. 이로 인해 승격보다는 퍼스트 디비전 잔류가 우선 목표가 되었으며, 경기장 또한 리그 기준에 맞춰 업그레이드해야 했다.[2]
이후 몇 년 동안 톰 톰스크는 평범한 성적을 유지했다. 그러나 새로운 스폰서가 등장하면서 재정적 지원을 받게 되었고, 이를 통해 새로운 선수들을 영입하여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었다. 2002년과 2003년에는 퍼스트 디비전에서 3위를 기록하며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승격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마침내 2004년, 톰 톰스크는 퍼스트 디비전에서 2위를 차지하며 2005 시즌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하는 쾌거를 이루었다.[2]
3. 3. 프리미어 리그 시대 (2005-2017)
2004년, FC 톰 톰스크는 러시아 1부 리그에서 2위를 차지하며 역사상 처음으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2] 2005년, 프리미어 리그 데뷔 시즌에서 10위를 기록하며 잔류에 성공했고,[2] 2006년과 2010년에는 8위를 기록하며 중위권 성적을 유지했다. 2008년에는 러시아 컵 준결승에 진출하기도 했다.[2] 그러나 2011-12 시즌 15위로 강등된 후 승격과 강등을 반복하며 불안정한 시기를 보냈다.3. 4. 재정 위기와 현재 (2017-현재)
2018-19 시즌이 끝날 때, FC 톰 톰스크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FC 우파에게 합계 점수 1-2로 패하며 승격에 실패했다.[2]2020–21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에서 톰은 강등권에 머물렀지만, 다른 두 클럽이 별도의 이유로 실격되어 리그에 잔류했다.
톰은 2022-23 FNL 시즌 라이선스를 받지 못했고, 3부 리그인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라이선스를 신청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 그러나 재정적 보증 부족으로 FNL2 라이선스마저 거부되었다.[4]
4. 역대 성적
빅토르 세벨레프|빅토르 세벨레프ru (9골)
블라디미르 푸자노프|블라디미르 푸자노프ru
발레리 페트라코프|발레리 페트라코프ru
알렉산드르 고스테닌|알렉산드르 고스테닌ru
아나톨리 비쇼베츠|아나톨리 비쇼베츠ru
세르게이 스코블랴코프|세르게이 스코블랴코프ru (3골)
조르제 요키치|조르제 요키치sr (3골)
미로슬라프 로마셴코|미로슬라프 로마셴코be
발레리 네폼냐쉬|발레리 네폼냐쉬ru
세르게이 페레드냐|세르게이 페레드냐ru
바실리 바스카코프|바실리 바스카코프ru
발레리 네폼냐쉬|발레리 네폼냐쉬ru
발레리 페트라코프|발레리 페트라코프ru
바실리 바스카코프|바실리 바스카코프ru
아르툠 시모냔|아르툠 시모냔hy (4골)
리치 엔닌|리치 엔닌영어 (4골)
알렉산드르 케르자코프|알렉산드르 케르자코프r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