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FC 톰 톰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톰 톰스크는 1957년 창단된 러시아의 축구 클럽이다. 클럽은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988년부터 톰 강 이름을 딴 FC 톰 톰스크로 불리고 있다. 1997년 러시아 퍼스트 디비전으로 승격했고, 2004년에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하여 2005년 데뷔 시즌 10위를 기록했다. 2018-19 시즌에는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승격에 실패했다. 재정 문제로 인해 2022-23 시즌에는 FNL(2부 리그) 라이선스를 획득하지 못했고 FNL2(3부 리그) 라이선스마저 거부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 구단 - PFC 소치
    PFC 소치는 2018년에 창단된 러시아 축구 클럽으로, 2019-20 시즌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하여 2021-22 시즌 준우승을 기록했지만, 2023-24 시즌 부진으로 러시아 1부 리그로 강등되었으며, 소치를 연고지로 하고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클럽 상징은 표범이다.
  •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 구단 - FC 루빈 카잔
    FC 루빈 카잔은 러시아 카잔을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2회 우승, 러시아 컵 1회 우승, 러시아 슈퍼컵 2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FC 바르셀로나를 꺾는 이변을 일으키기도 했고,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
  • 1957년 설립된 축구단 - 세레소 오사카
    세레소 오사카는 1957년 창단되어 J리그에서 활동하며 J리그컵과 천황배 우승을 달성하고, 오사카 더비를 통해 감바 오사카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일본의 프로 축구팀이다.
  • 1957년 설립된 축구단 - 브리즈번 로어 FC
    브리즈번 로어 FC는 1957년 창단된 홀란디아 이날라 사커 클럽을 모태로 퀸즐랜드주 브리즈번을 연고로 하는 오스트레일리아 프로 축구 클럽으로, A리그에서 세 차례 그랜드 파이널 우승을 달성했다.
  • 2022년 해체된 축구단 - 청주 FC
    청주 FC는 2009년 창단되어 챌린저스리그에서 활동하다 청주 CITY FC와 통합, 현재 K리그2에서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대한민국의 축구단이다.
  • 2022년 해체된 축구단 - FC 남동
    2019년 창단되어 K4리그에 참가했던 FC 남동은 남동구의 지원 포기로 2022년 리그 도중 해체된 축구단이다.
FC 톰 톰스크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FC 톰 톰스크 로고
FC 톰 톰스크 로고
풀 네임OOO 풋볼 클럽 톰'
별칭시비랴키 (시베리아인), 벨로-젤료니예 (흰색-녹색)
창단일1957년 3월 9일
해체일2022년
홈 구장트루드 경기장, 톰스크
수용 인원10,028명
구단주톰스크 주
시즌2021-22
순위FNL, 14위
웹사이트FC 톰 톰스크 공식 웹사이트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상의: 흰색, 팔: 초록색
하의: 초록색
양말: 초록색
원정 유니폼상의: 흰색
하의: 흰색
양말: 흰색

2. 명칭의 변화

Буревестник|부레베스트니크ru, Томич|토미치ru, Сибэлектромотор|시브엘렉트로모토르ru, Торпедо|토르페도ru, Томлес|톰레스ru, Манометр|마노메트르ru, Томь|톰ru 등 창단 이후 여러 차례 구단 명칭이 변경되었다.[2][3][4] 현재 클럽 명칭은 톰스크를 흐르는 톰 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연도명칭
1957부레베스트니크 (Буревестник|Burevestnikru)
1958토미치 (Томич|Tomichru)
1959년-1960년시브엘렉트로모토르 (Сибэлектромотор|Sibelektromotorru)
1961년-1963년토미치 (Томич|Tomichru)
1964년-1967년토르페도 (Торпедо|Torpedoru)
1968년-1973년톰레스 (Томлес|Tomlesru)
1974년-1978년토르페도 (Торпедо|Torpedoru)
1979년-1987년마노메트르 (Манометр|Manometrru)
1988년-현재톰 (Томь|Tomru)


3. 역사

FC 톰 톰스크는 1957년 창단 이후 여러 차례 이름을 변경했으며, 현재 이름은 톰스크를 흐르는 톰 강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990년대에 팀은 러시아 세컨드 디비전에서 벗어나기 위해 빅토르 세벨레프, 발레리 코노발로프, 루슬란 아히자크 등 여러 선수들을 영입했다. 세르게이 아게예프, 뱌체슬라프 비슈네프스키, 드미트리 쿠디노프는 팀 전력을 강화했다. 1996년 팀은 리그 2위를 차지하며 러시아 퍼스트 디비전 승격에 실패했지만, 1997년 퍼스트 디비전으로 승격했다.

승격 후, 톰 톰스크는 세르게이 주코프,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미하일 무라쇼프 등 새로운 선수들을 영입했으나, 이스턴 오일 컴퍼니 (VNK)가 팀에서 철수하면서 재정난을 겪어 퍼스트 디비전 잔류가 우선 목표가 되었다.

이후 새로운 스폰서 등장으로 재정 지원을 받아 선수들을 영입하여 경쟁력을 강화했다. 2002년과 2003년에는 퍼스트 디비전에서 3위를 기록, 2004년 2위를 차지하며 2005 시즌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

2005년, 프리미어 리그 데뷔 시즌에서 10위를 기록, 2006년 8위로 개선되었지만, 2007년 11위로 떨어졌다.[2]

2018-19 시즌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FC 우파에게 합계 점수 1-2로 패하며 승격에 실패했다.

2020–21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에서 강등권에 머물렀지만, 다른 두 클럽이 실격되어 리그에 잔류했다.

2022-23 FNL 시즌 라이선스를 받지 못했고,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라이선스를 신청할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재정 보증 부족으로 거부되었다.[4]

'''역대 최다 득점자''': 빅토르 세벨레프 – 287경기 83골 (1989–2004)

'''한 시즌 최다 득점''': 루슬란 아히자크 – 21경기 18골 (1994), 데니스 키셀레프 – 37경기 18골 (2004)

3. 1. 초창기 (1957-1990년대)

FC 톰 톰스크는 1957년 창단 이후 여러 차례 이름을 변경했다.

연도이름
1957년부레베스트니크 (Буревестник|Burevestnikru)
1958년토미치 (Томич|Tomichru)
1959~1960년시브엘렉트로모터 (Сибэлектромотор|Sibelektromotorru)
1961~1963년토미치
1964~1967년토르페도 (Торпедо|Torpedoru)
1968~1973년톰레스 (Томлес|Tomlesru)
1974~1978년토르페도
1979~1987년마노메트르 (Манометр|Manometrru)
1988년~현재톰 (Томь|Tomru)



현재 클럽 이름은 톰스크를 흐르는 톰 강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990년대에 팀은 러시아 세컨드 디비전에서 벗어나기 위해 여러 선수들을 영입했다. 빅토르 세벨레프, 발레리 코노발로프, 루슬란 아히자크는 1990년대 초반의 핵심 선수였으며, 세르게이 아게예프, 뱌체슬라프 비슈네프스키, 드미트리 쿠디노프는 팀 전력을 강화했다. 1996년 팀은 리그 2위를 차지하며 러시아 퍼스트 디비전 승격에 아쉽게 실패했지만, 1997년 강력한 시즌 성적을 통해 마침내 퍼스트 디비전으로 승격했다.

2007년까지 사용된 이전 로고

3. 2. 성장과 발전 (1990년대-2000년대)

1990년대에 FC 톰 톰스크는 러시아 세컨드 디비전에서 벗어나기 위해 빅토르 세벨레프, 발레리 코노발로프, 루슬란 아히자크 등 여러 선수들을 영입했다. 세르게이 아게예프, 뱌체슬라프 비슈네프스키, 드미트리 쿠디노프 또한 팀 전력 강화에 기여했다. 1996년, 톰 톰스크는 세컨드 디비전에서 2위를 기록하며 러시아 퍼스트 디비전 승격에 아쉽게 실패했다.[2] 그러나 1997년, 톰스크는 세컨드 디비전에서 압도적인 성적으로 우승을 차지하며 퍼스트 디비전으로 승격했다.[2]

승격 이후, 톰 톰스크는 세르게이 주코프,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미하일 무라쇼프 등 새로운 선수들을 영입하여 전력을 보강했다. 하지만,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스폰서였던 이스턴 오일 컴퍼니 (VNK)가 팀에서 철수하면서 재정난이 심화되었다. 이로 인해 승격보다는 퍼스트 디비전 잔류가 우선 목표가 되었으며, 경기장 또한 리그 기준에 맞춰 업그레이드해야 했다.[2]

이후 몇 년 동안 톰 톰스크는 평범한 성적을 유지했다. 그러나 새로운 스폰서가 등장하면서 재정적 지원을 받게 되었고, 이를 통해 새로운 선수들을 영입하여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었다. 2002년과 2003년에는 퍼스트 디비전에서 3위를 기록하며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승격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마침내 2004년, 톰 톰스크는 퍼스트 디비전에서 2위를 차지하며 2005 시즌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하는 쾌거를 이루었다.[2]

3. 3. 프리미어 리그 시대 (2005-2017)

2004년, FC 톰 톰스크는 러시아 1부 리그에서 2위를 차지하며 역사상 처음으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2] 2005년, 프리미어 리그 데뷔 시즌에서 10위를 기록하며 잔류에 성공했고,[2] 2006년과 2010년에는 8위를 기록하며 중위권 성적을 유지했다. 2008년에는 러시아 컵 준결승에 진출하기도 했다.[2] 그러나 2011-12 시즌 15위로 강등된 후 승격과 강등을 반복하며 불안정한 시기를 보냈다.

3. 4. 재정 위기와 현재 (2017-현재)

2018-19 시즌이 끝날 때, FC 톰 톰스크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FC 우파에게 합계 점수 1-2로 패하며 승격에 실패했다.[2]

2020–21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에서 톰은 강등권에 머물렀지만, 다른 두 클럽이 별도의 이유로 실격되어 리그에 잔류했다.

톰은 2022-23 FNL 시즌 라이선스를 받지 못했고, 3부 리그인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라이선스를 신청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 그러나 재정적 보증 부족으로 FNL2 라이선스마저 거부되었다.[4]

4. 역대 성적

빅토르 세벨레프|빅토르 세벨레프ru (9골)블라디미르 유린|블라디미르 유린ru19971342653822083R32—드미트리 쿠디노프|드미트리 쿠디노프ru (13골)블라디미르 유린|블라디미르 유린ru19982부1442151116544556R16—세르게이 니콜라예비치 주코프|세르게이 니콜라예비치 주코프ru (11골)블라디미르 유린|블라디미르 유린ru1999124217718485458R16—빅토르 세벨레프|빅토르 세벨레프ru (11골)블라디미르 유린|블라디미르 유린ru
블라디미르 푸자노프|블라디미르 푸자노프ru20001038141014362852R32—세르게이 아게예프|세르게이 아게예프ru (5골)블라디미르 푸자노프|블라디미르 푸자노프ru2001734121111312847R32—세르게이 페레드냐|세르게이 페레드냐ru (10골)블라디미르 푸자노프|블라디미르 푸자노프ru
발레리 페트라코프|발레리 페트라코프ru200233417107512361R32—알렉산드르 스투진스키|알렉산드르 스투진스키ru (8골)발레리 페트라코프|발레리 페트라코프ru200334225107552385R16—알렉산드르 스투진스키|알렉산드르 스투진스키ru (9골)발레리 페트라코프|발레리 페트라코프ru200424227510703886R16—데니스 키셀레프|데니스 키셀레프ru (17골)드미트리 갈랴민|드미트리 갈랴민ru
알렉산드르 고스테닌|알렉산드르 고스테닌ru20051부103091011283337R32—알렉세이 메드베데프|알렉세이 메드베데프ru (5골)보리스 스투칼로프|보리스 스투칼로프ru
아나톨리 비쇼베츠|아나톨리 비쇼베츠ru200683011811353341R32—파벨 포그레브냑|파벨 포그레브냑ru (13골)발레리 페트라코프|발레리 페트라코프ru2007113081111373535R16—고란 마즈노프|고란 마즈노프mk (9골)발레리 페트라코프|발레리 페트라코프ru200813307815233529SF—이고르 스트렐코프|이고르 스트렐코프ru (3골)
세르게이 스코블랴코프|세르게이 스코블랴코프ru (3골)
조르제 요키치|조르제 요키치sr (3골)발레리 페트라코프|발레리 페트라코프ru
미로슬라프 로마셴코|미로슬라프 로마셴코be
발레리 네폼냐쉬|발레리 네폼냐쉬ru200993011811313941QF—세르게이 코르닐렌코|세르게이 코르닐렌코be (6골)발레리 네폼냐쉬|발레리 네폼냐쉬ru201083010713354337R32—세르게이 코르닐렌코|세르게이 코르닐렌코be (11골)발레리 네폼냐쉬|발레리 네폼냐쉬ru2011-12154481323307037R16—파벨 골리셰프|파벨 골리셰프ru (8골)발레리 네폼냐쉬|발레리 네폼냐쉬ru
세르게이 페레드냐|세르게이 페레드냐ru2012-132부2321985573465R16—알렉산드르 디미드코|알렉산드르 디미드코ru (10골)세르게이 페레드냐|세르게이 페레드냐ru2013-141부13308715233931QF—키릴 판첸코|키릴 판첸코ru (7골)아나톨리 다비도프|아나톨리 다비도프ru
바실리 바스카코프|바실리 바스카코프ru2014-152부43419106573464R64—니키타 바제노프|니키타 바제노프ru (9골)바실리 바스카코프|바실리 바스카코프ru
발레리 네폼냐쉬|발레리 네폼냐쉬ru2015-163382288583574R64—키릴 포그레브냑|키릴 포그레브냑ru (12골)발레리 네폼냐쉬|발레리 네폼냐쉬ru
발레리 페트라코프|발레리 페트라코프ru2016-171부16303522176414R32—알렉세이 푸긴|알렉세이 푸긴ru (4골)발레리 페트라코프|발레리 페트라코프ru2017-182부1538101117365641R16—안테 풀리치|안테 풀리치hr (7골)발레리 페트라코프|발레리 페트라코프ru
바실리 바스카코프|바실리 바스카코프ru2018-1933817138402564R64—일리야 쿠하르추크|일리야 쿠하르추크ru (8골)바실리 바스카코프|바실리 바스카코프ru2019-209271098322639R32—막심 카잔코프|막심 카잔코프ru (8골)바실리 바스카코프|바실리 바스카코프ru2020-211842101121325041R128—니키타 크리프초프|니키타 크리프초프ru (4골)
아르툠 시모냔|아르툠 시모냔hy (4골)
리치 엔닌|리치 엔닌영어 (4골)바실리 바스카코프|바실리 바스카코프ru
알렉산드르 케르자코프|알렉산드르 케르자코프ru2021-22143813916516048R128—알렉산드르 스타페츠|알렉산드르 스타페츠ru (17골)세르게이 주코프|세르게이 주코프ru

5. 선수

FC 톰-2는 톰 톰스크의 팜 클럽으로, 2014-15 시즌에 러시아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에서 프로 선수로 활동하다가 2015-16 시즌 이후 해체되었다.

톰 톰스크를 거쳐간 선수들 중에는 각국 국가대표로 활약한 선수들이 많다. 특히 톰 톰스크에서 활동하면서 자국 대표팀으로 출전한 선수들은 '''굵은 글씨'''로 표시하였다.

국가선수비고
니키타 바제노프 외 다수
아르템 시모냔
알렉산드르 지드코프
세르게이 아멜랸추크 외 다수막심 바르다초프, 비탈리 불리가, 이고르 필리펜코, 바실리 호무토프스키, 세르게이 코르닐렌코, 알렉산드르 쿨치, 파벨 냐하치크, 세르게이 소스노프스키, 얀 티고레프, 세르게이 야스코비치는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니콜로즈 토고니제
알렉산드르 파밀체프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발레리 치우페르커, 세르게이 코발추크발레리 카틴수스, 일리 체바누, 에우겐 시도렌코, 올레그 시시친은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일리야 블리즈뉴크 외 다수
알렉세이 폴리야코프
브라니슬라프 크루니치, 오그넨 브라네시오그넨 브라네시는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지브코 밀라노프, 플라멘 니콜로프
흐르보예 베이치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루카스 드로파, 마틴 지라넥루카스 드로파는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예브게니 노비코프, 세르게이 파레이코세르게이 파레이코는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노르베르트 네메트, 아담 핀테르아담 핀테르는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안드류스 게드가우다스, 안드류스 스케를라안드류스 게드가우다스, 안드류스 스케를라는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고란 마즈노프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믈라덴 보조비치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오비디우 더내내 외 다수에릭 빅팔비, 아드리안 로포탄은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개리 오코너
조르제 요키치
코르넬 살라타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알렉산다르 라도사블레비치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마츠이 다이스케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김남일대한민국 국가대표






대한민국 국적 선수로는 김남일과 박효상이 톰 톰스크에서 활약했다.

5. 1. 현역 선수 명단 (2023-2024)

2023-2024 시즌 FC 톰 톰스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알렉세이 솔로신Алексей Солосин|알렉세이 솔로신ru
4DF안테 풀리치Ante Puljić|안테 풀리치hr
7FW파벨 골리세프Павел Голышев|파벨 골리세프ru
10MF세르게이 쿠즈네초프Сергей Кузнецов|세르게이 쿠즈네초프ru
15MF예브게니 발리아이킨Евгений Баляйкин|예브게니 발리아이킨ru
17MF알렉세이 푸긴Алексей Пугин|알렉세이 푸긴ru
18MF아르템 포포프Артём Попов|아르템 포포프ru
42GK알렉산드르 멜리호프Александр Мелихов|알렉산드르 멜리호프ru
65MF루슬란 살라훗디노프Руслан Салахутдинов|루슬란 살라훗디노프ru
69DF마크 카리모프Марк Каримов|마크 카리모프ru
74MF안톤 마쿠린Антон Макурин|안톤 마쿠린ru
84DF안톤 미테레프Антон Митерев|안톤 미테레프ru
87FW드미트리 사신Дмитрий Сасин|드미트리 사신ru
88MF다닐 볼슈노프Данил Большунов|다닐 볼슈노프ru
89DF알렉산드르 크리보루츠코Александр Криворучко|알렉산드르 크리보루츠코ru
92MF발레리 추렌카Валерий Чуперка|발레리 추렌카ru
94MF알렉산드르 나우멘코Александр Науменко|알렉산드르 나우멘코ru
96DF알렉산드르 부카체프Александр Букачёв|알렉산드르 부카체프ru
97FW알렉산드르 소볼레프Александр Соболев|알렉산드르 소볼레프ru
98MF니키타 그비네이스키Никита Гвинейский|니키타 그비네이스키ru


5. 2. 주요 선수

FC 톰 톰스크에서 활동했던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국가이름포지션톰 톰스크 소속 기간비고
김남일미드필더2010-2011대한민국 국가대표
박효상수비수2010
니키타 바제노프공격수2011-2016러시아 국가대표
알베르트 보르젠코프수비수러시아 국가대표
데니스 보야린체프미드필더2011-2012러시아 국가대표
알렉세이 부가예프수비수2001-2002, 2006-2008러시아 국가대표
아르툠 쥬바공격수2009-2010러시아 국가대표
막심 카눈니코프공격수러시아 국가대표
니키타 크리프초프러시아 국가대표
표도르 쿠드랴쇼프수비수2010러시아 국가대표
데니스 락티오노프미드필더2011러시아/대한민국 이중국적, 러시아 국가대표
베냐민 만드르킨골키퍼2008러시아 국가대표
키릴 판첸코공격수러시아 국가대표
세르게이 페샤코프골키퍼2011러시아 국가대표
파벨 포그레브냐크공격수2006러시아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이고르 포르트냐긴공격수러시아 국가대표
알렉세이 렙코수비수2012러시아 국가대표
아르툠 레브로프러시아 국가대표
세르게이 리지코프골키퍼2007러시아 국가대표
알렉산드르 시르코공격수러시아 국가대표
알렉산드르 소볼레프공격수러시아 국가대표
드미트리 타라소프미드필더2006-2008러시아 국가대표
데니스 예브시코프수비수2007-2009러시아 국가대표
아르템 시모냔아르메니아 국가대표
알렉산드르 지드코프아제르바이잔 국가대표
세르게이 아멜랸추크벨라루스 국가대표
막심 바르다초프벨라루스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비탈리 불리가벨라루스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드미트리 예키모프벨라루스 국가대표
이고르 필리펜코수비수2009벨라루스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바실리 호무토프스키벨라루스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세르게이 코르닐렌코공격수2008-2009, 2010벨라루스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알렉산드르 쿨치미드필더2006-2007벨라루스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파벨 냐하치크벨라루스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세르게이 소스노프스키벨라루스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얀 티고레프벨라루스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세르게이 야스코비치벨라루스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니콜로즈 토고니제조지아 국가대표
알렉산드르 파밀체프카자흐스탄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발레리 카틴수스몰도바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일리 체바누몰도바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발레리 치우페르커몰도바 국가대표
세르게이 코발추크미드필더2010몰도바 국가대표
에우겐 시도렌코몰도바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올레그 시시친몰도바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일리야 블리즈뉴크우크라이나 국가대표
키릴로 코발추크우크라이나 국가대표
데니스 오니셴코우크라이나 국가대표
파블로 슈카펜코우크라이나 국가대표
알렉세이 폴리야코프골키퍼2009-2010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
브라니슬라프 크루니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가대표
오그넨 브라네시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지브코 밀라노프불가리아 국가대표
플라멘 니콜로프불가리아 국가대표
흐르보예 베이치수비수2005-2008크로아티아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루카스 드로파체코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마틴 지라넥체코 국가대표
예브게니 노비코프2005에스토니아 국가대표
세르게이 파레이코골키퍼2005-2010에스토니아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노르베르트 네메트헝가리 국가대표
아담 핀테르헝가리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안드류스 게드가우다스리투아니아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안드류스 스케를라수비수2005-2006리투아니아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고란 마즈노프공격수2007-2010북마케도니아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믈라덴 보조비치몬테네그로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에릭 빅팔비미드필더2016루마니아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오비디우 더내내루마니아 국가대표
가브리엘 무레샨루마니아 국가대표
아드리안 로포탄루마니아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폼필리우 스토이카루마니아 국가대표
개리 오코너스코틀랜드 국가대표
조르제 요키치수비수2008-2011세르비아 국가대표
코르넬 살라타슬로바키아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알렉산다르 라도사블레비치미드필더2007-2009슬로베니아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마츠이 다이스케미드필더2010일본 국가대표, 톰 톰스크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발탁
로만 콘체달로프2008
알란 가타고프2012
예브게니 사빈2004, 2011
알렉세이 메드베데프2005
블라디미르 디아둔2009
알렉산드르 푸르드니코프2010
키릴 콤바로프2016
안드레이 이바노프2009-2010, 2012






특히, 김남일과 박효상은 대한민국 국적 선수로, 김남일은 2010년부터 2011년까지, 박효상은 2010년에 톰 톰스크에서 활약했다.

5. 3. 역대 감독

감독임기
발레리 페트라코프2001-2003, 2006-2008, 2016-
아나톨리 비쇼베츠2005
발레리 네폼냐시2008-2011, 2014-2016
바실리 바스카코프 (대행)2011.9
세르게이 페레두냐 (대행)2011.9-2013
아나톨리 다비도프2013-2014
알렉산드르 케르자코프2020-


참조

[1] 웹사이트 Official Football National League Website http://1fnl.ru/teams[...]
[2] 뉴스 Siberian club Tom Tomsk could fold because of huge debts https://sports.yahoo[...] Reuters 2009-06-23
[3] 웹사이트 "Томи" отказали в лицензии РФС-2 https://fctomtomsk.r[...] FC Tom Tomsk 2022-06-03
[4] 웹사이트 "ТОМЬ" НЕ СЫГРАЕТ В НОВОМ СЕЗОНЕ НА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М УРОВНЕ https://matchtv.ru/f[...] Match TV 2022-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