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usterF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lusterFS는 클라이언트 측과 서버 측 컴포넌트로 구성된 분산 파일 시스템이다. 서버는 스토리지 브릭이라고 불리며, glusterfsd 데몬이 로컬 파일 시스템을 볼륨으로 export한다. 클라이언트는 TCP/IP 또는 InfiniBand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버에 연결하고, translators를 통해 원격 볼륨을 묶어 FUSE를 사용하여 마운트한다. GlusterFS는 미러링, 스트라이핑, 부하 분산, 페일오버, I/O 스케줄링, 디스크 쿼터 등 다양한 기능을 translators로 제공하며, 스테이트리스 클라이언트 구조를 통해 페타바이트 이상의 대용량 스토리지를 처리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눅스 파일 시스템 - 구글 파일 시스템
구글 파일 시스템(GFS)은 대용량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 및 관리를 위해 설계된 분산형 파일 시스템으로, 파일을 청크로 나누어 여러 청크 서버에 복제하여 저장하고, 마스터 노드가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며, 클라이언트는 청크 서버에 직접 접근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 분산 파일 시스템 - 아파치 하둡
아파치 하둡은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기 위한 자바 기반의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로, HDFS, 맵리듀스, YARN 등의 모듈로 구성되어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사용된다. - 분산 파일 시스템 - 제로넷
제로넷은 중앙 서버 없이 P2P 방식으로 운영되어 검열에 저항성을 가지며 사용자가 직접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분산 네트워크 플랫폼으로, 웹사이트 개발이 가능하고 제로넷-컨서번시 포크를 통해 기능 추가 및 새로운 P2P 네트워크로의 마이그레이션이 진행 중이다. -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 클라우드 스토리지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여 관리하며, 웹 또는 앱을 통해 파일 작업이 가능하고 용량 확장이 유연하며, 객체, 파일, 블록 스토리지의 세 가지 유형으로 발전했다. -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 아마존 S3
아마존 S3는 AWS에서 제공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로, 데이터 액세스 빈도 및 성능 요구 사항에 따라 다양한 스토리지 클래스를 제공하며 높은 확장성, 고가용성, 낮은 지연 시간, 높은 내구성을 제공한다.
| GlusterFS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소프트웨어 정보 | |
| 이름 | GlusterFS |
| 개발자 | 레드햇 |
| 최신 버전 | 10.0 |
| 최신 버전 출시일 | 2021년 11월 16일 |
| 운영 체제 | 리눅스 macOS FreeBSD 오픈솔라리스 |
| 종류 | 분산 파일 시스템 |
| 라이선스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v3 |
| 공식 웹사이트 | GlusterFS 공식 웹사이트 |
2. 디자인
GlusterFS는 유연한 모듈 구조를 가진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GlusterFS의 기능 대부분은 ''translator'' 모듈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GlusterFS 서버는 기존 파일 시스템을 그대로 내보내고, 그 구조 해석은 클라이언트 측의 ''translators''에 맡기는 단순한 구성을 취한다. 클라이언트는 상태를 갖지 않으며(stateless), 서로 통신하지 않는다. 각 ''translators'' 구성의 일관성을 유지해야 코히어런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이러한 설계 덕분에 일반적인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 흔히 발생하는 병목 현상을 피하고, 페타바이트급 이상의 스토리지를 일반 하드웨어로도 처리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Getting started with GlusterFS Architecture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구성 요소
GlusterFS는 클라이언트 측 컴포넌트와 서버 측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서버는 "스토리지 브릭(storage brick)"이라고 불리며, 그 위에서 `glusterfsd` 데몬이 동작하여 로컬 파일 시스템을 "볼륨"으로 내보낸다. 클라이언트 측의 `glusterfs` 프로세스는 TCP/IP (또는 InfiniBand나 SDP) 상의 독자적인 프로토콜로 서버와 연결하여, 원격 볼륨들을 ''translators''를 사용하여 더 큰 하나의 볼륨으로 묶는다. 묶인 볼륨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FUSE 기구를 사용하여 마운트한다. 대량의 파일 I/O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은 `libglusterfs`라는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서버군에 직접 접근하여 그 안에서 ''translators''를 실행할 수 있으며, 파일 시스템이나 FUSE의 오버헤드를 제거할 수 있다.GlusterFS의 기능 대부분은 ''translators''로 구현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기능을 포함한다.
GlusterFS 서버는 가능한 한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존 파일 시스템을 그대로 내보내고, 그 구조 해석은 클라이언트 측의 ''translators''에 맡긴다. 클라이언트 자체는 스테이트리스(상태를 갖지 않음)이며, 클라이언트끼리 통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 ''translators'' 구성의 일관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코히어런시 문제가 발생하지만,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 발생하기 쉬운 병목 현상이 해소되었으며, 일반적인 하드웨어만으로도 페타바이트 이상의 규모의 스토리지를 처리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Getting started with GlusterFS Architecture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2. Translators
GlusterFS의 주요 기능은 ''translators''로 구현되며, 다음과 같은 기능을 포함한다.[1]GlusterFS 서버는 가능한 한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존 파일 시스템을 그대로 에export하고, 그 구조 해석은 클라이언트 측의 ''translators''에 맡긴다. 클라이언트는 스테이트리스(상태를 갖지 않음)이며, 클라이언트끼리 통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 ''translators'' 구성의 일관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코히어런시 문제가 발생하지만,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 발생하기 쉬운 병목 현상이 해소되었으며, 일반적인 하드웨어만으로도 페타바이트 이상의 규모의 스토리지를 처리할 수 있다.
2. 3. 특징
GlusterFS 서버는 단순하게 구성되어 기존 파일 시스템을 그대로 외부에 제공하고, 구조 해석은 클라이언트 측 ''translators''에 맡긴다. 클라이언트는 상태를 가지지 않으며(stateless), 클라이언트 간 통신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일반적인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 발생하기 쉬운 병목 현상을 해소하고, 페타바이트 이상의 규모의 스토리지를 처리할 수 있다.[1]GlusterFS의 기능 대부분은 ''translators''로 구현되어 있으며, 다음 기능을 포함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