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IOPS 스타리그 04~05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OPS 스타리그 04~05는 2004년 12월 17일부터 2005년 3월 5일까지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개인리그이다. 이윤열이 박성준을 결승에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박태민이 3위, 이병민이 4위를 기록했다. 챌린지리그가 마지막으로 진행되었으며, 이윤열은 스타리그 2회 우승을 달성했다. 또한, 스타리그 최초로 비대칭 맵이 사용되었고, 결승전은 인천대학교에서 개최되었다.

2. 리그 정보

2. 1. 대회 개요

2. 2. 특이사항


  • 이윤열임요환, 김동수에 이어 스타리그 역사상 3번째로 2회 우승을 달성한 선수가 되었다.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조지명 상황판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 챌린지리그가 진행된 마지막 시즌이다.
  • 프로토스는 박정석 1명만 진출하여 역대 스타리그 최소 진출 기록을 세웠다.
  • 16강 조별 리그가 재경기 없이 종료되었다. D조는 3승, 2승 1패, 1승 2패, 3패로 순위가 명확히 갈렸고, 나머지 A, B, C조는 2승 1패 2명, 1승 2패 2명으로 동률이 발생했으나 승자승 원칙 등으로 재경기 없이 순위가 결정되었다.
  • 지난 대회 우승자, 준우승자에게 주어지는 시드를 배정받은 선수들이 모두 16강에서 탈락하는 이변이 발생했다. (우승자/준우승자 징크스)
  • 유일한 프로토스였던 박정석이 16강에서 탈락하면서, Panasonic배Olympus배 이후 처음으로 8강이 테란 4명, 저그 4명으로 구성되었다.
  • 8강의 모든 경기가 2:0 셧아웃으로 끝나면서 2주 만에 8강 일정이 모두 종료되었다.
  • 4강, 3·4위전, 결승전 모두 테란 대 저그의 종족 대결 구도로 진행되었다.
  • 4강 이윤열 대 박태민의 경기에서 이윤열이 2패 후 3연승을 거두며 테란이 저그를 상대로 리버스 스윕을 기록했다.
  • '네오 기요틴(Neo Guillotine)' 맵이 공식맵으로 다시 사용되었다.
  • 스타리그 최초로 비대칭 맵인 '알케미스트(Alchemist)'가 사용되었다.[1]
  • 8강 투어는 강원도 홍천군에 위치한 대명비발디파크 스키장에서 열렸다.
  • 결승전은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선인체육관에서 개최되었으며, 초대가수로는 노브레인이 공연했다.
  • 대회 오프닝 곡으로 사용된 린킨파크의 곡 'Faint'의 특정 부분("I won't be ignored")이 "아이옵스배 이윤열"처럼 들린다는 점이 화제가 되었는데, 실제로 이윤열이 우승하면서 더욱 주목받았다.
  • 16강 A조에서 맞붙었던 이윤열과 박성준이 결승전에서 다시 만나게 되었다. 이는 스타리그 역사상 최초로 같은 대회, 같은 조에 속했던 선수들이 결승에서 재대결한 사례이다.

3. 예선

wikitext

A조B조C조D조E조F조G조H조I조J조K조L조M조N조
김준영김민구조형근변형태박정길임현수윤종민조용호이재항박경락고인규정영주이현승이재훈



패자전 A조패자전 B조패자전 C조패자전 D조
박지호김현진박종수김근백


4. 챌린지리그

2004년 8월 24일부터 11월 23일까지 진행되었다. 각 조별 경기 결과와 최종 1위 결정전 결과는 하위 문서를 참고한다.

4. 1. 경기 결과

2004년 8월 24일부터 11월 23일까지 진행되었다.

Match1Match2승자전패자전최종전
A조이재훈차재욱정영주김준영정영주이재훈차재욱김준영이재훈0차재욱2
B조박정길한동욱조용호이재항조용호박정길한동욱이재항박정길2한동욱0
C조최수범박종수고인규조형근최수범고인규조형근박종수고인규1조형근2
D조송병석변형태김근백윤종민김근백송병석변형태윤종민송병석1변형태2
E조김민구전태규김현진박경락김현진김민구전태규박경락김민구2전태규0
F조한승엽임현수박지호이현승한승엽박지호임현수이현승박지호2임현수1



선수전적
정영주2승 3패
조용호5승
최수범0승 5패
김근백4승 1패
김현진2승 3패
한승엽2승 3패



결승전에서는 조용호가 김근백을 세트 스코어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4. 2. 최종 1위 결정전

결승전에서는 조용호가 김근백을 세트 스코어 '''3:2'''로 꺾고 최종 우승을 차지하였다.

5. 듀얼토너먼트


Match1Match2승자전패자전최종전
A조박태민차재욱안기효변은종박태민안기효변은종차재욱변은종안기효
B조변길섭김민구박용욱김근백변길섭박용욱김근백김민구김근백박용욱
C조박정길박성준이병민한승엽이병민박정길박성준한승엽박성준박정길
D조이윤열박지호신정민김현진이윤열신정민박지호김현진신정민박지호
E조조형근서지훈전상욱정영주전상욱조형근서지훈정영주조형근서지훈
F조홍진호변형태최수범이주영홍진호최수범이주영변형태최수범이주영


6. 16강

16강에는 테란 7명, 저그 8명, 프로토스 1명 등 총 16명의 선수가 진출하여 경쟁을 펼쳤다. 진출한 선수들은 4개의 조로 나뉘어 조별 풀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각 조에서 상위 2명씩 총 8명이 8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6. 1. 진출 선수

16강 진출 선수는 테란 7명, 저그 8명, 프로토스 1명으로 구성되었다.

종족인원선수 명단
테란7명변길섭, 최수범, 이병민, 이윤열, 임요환, 전상욱, 최연성
저그8명조용호, 박태민, 변은종, 신정민, 박성준, 홍진호, 김근백, 조형근
프로토스1명박정석


6. 2. 경기 결과

16강 조지명식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선수가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펼치게 되며, 한 조로 볼 때 총 여섯 경기를 치르게 된다.

A조B조C조D조
최연성1승 2패임요환1승 2패박정석1승 2패조용호1승 2패
조형근1승 2패최수범2승 1패변은종1승 2패이병민3승 0패
박성준2승 1패홍진호2승 1패전상욱2승 1패변길섭0승 3패
이윤열2승 1패신정민1승 2패김근백2승 1패박태민2승 1패


7. 8강 ~ 결승

'''8강전'''

선수 1스코어선수 2
이윤열2:0홍진호
최수범0:2박태민
김근백0:2박성준
이병민2:0전상욱



'''4강전'''

선수 1스코어선수 2
이윤열3:2박태민
박성준3:2이병민



'''3/4위전'''

선수 1스코어선수 2
박태민3:0이병민



'''결승전'''

선수 1스코어선수 2
이윤열3:0박성준


8. 최종 순위


  • '''우승''': 이윤열 (두 번째 우승)
  • '''준우승''': 박성준
  • '''3위''': 박태민
  • '''4위''': 이병민

9. 사용 맵

이번 대회에서는 다음 4개의 맵이 사용되었다.


  • Neo Guillotine
  • Requiem
  • Alchemist
  • Dream of Balhae_IOPS


각 맵에서의 종족별 상세 전적은 아래 표와 같다.

구분Neo GuillotineRequiemAlchemistDream of Balhae_IOPS
맵 인원수4434
프로토스 vs 저그1:00:10:00:0
저그 vs 테란4:64:35:54:3
테란 vs 프로토스0:00:01:00:0
저그 vs 저그2번1번1번2번
테란 vs 테란1번3번0번1번
프로토스 vs 프로토스0번0번0번0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