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Illustra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llustra는 마이클 스톤브레이커와 폴라 호손이 객체 관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인 Postgres를 상업화하기 위해 설립한 Illustra Information Technologies 사의 제품명이다. Illustra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객체 지향적으로 만들고, DataBlade라는 모듈군을 통해 웹 출판, 텍스트 검색, 지리 공간 정보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했다. 1997년 Informix 사에 인수되었으며, 기술은 Informix Dynamic Server에 통합되었다. 한편, Postgres는 오픈 소스 개발자들에 의해 PostgreSQL이라는 이름으로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유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IBM 시스템 R
  • 사유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SAP HANA
    SAP HANA는 SAP SE에서 개발한 인메모리, 컬럼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를 기반으로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와 온라인 분석 처리를 단일 플랫폼에서 지원하며, SAP S/4HANA 등 다양한 SAP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사용되고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환경에 배포 가능하다.
Illustra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DBMS, ORDBMS
개발자Illustra Information Technologies
장르DBMS, ORDBMS
최신 릴리스 버전3.3
최신 릴리스 날짜1997년 7월
단종 여부
라이선스상용 독점

2. Illustra

마이클 스톤브레이커와 폴라 호손은 객체 관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RDBMS)인 Postgres를 상업화하기 위해 Illustra Information Technologies 사를 창업했다. 상업화된 Postgres의 제품명은 '''Illustra'''였다. Illustra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객체 지향의 사고방식에 친화적으로 만드는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 Illustra의 핵심 기술은 '''DataBlade''' 모듈군으로, 웹 출판, 텍스트 검색, 지리 정보 관리, 시계열 데이터 관리,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등을 가능하게 했다. DataBlade는 여러 플랫폼에 이식될 정도로 인기를 얻었다. 1997년, Informix사는 Illustra Information Technologies사를 인수했고, 2001년에는 IBM사가 Informix사를 인수했다. Informix 사의 제품은 현재 IBM 사의 DB2 브랜드로 개발 및 판매되고 있다.[1]

2. 1. Illustra의 탄생

마이클 스톤브레이커와 폴라 호손은 객체 관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RDBMS)인 Postgres를 상업화하기 위해 Illustra Information Technologies 사를 창업했다.[1] 상업화된 Postgres의 제품명은 '''Illustra'''였다.[1] Illustra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객체 지향의 사고방식에 친화적으로 만드는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1]

2. 2. Illustra의 특징

Illustra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객체 지향적인 사고방식에 친화적으로 만드는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 Illustra 기술의 확장 가능성 모델은 '''DataBlade'''라고 하는 모듈군을 중심으로 했다. DataBlade 모듈군은 여러 타입을 정의하고, 그 타입에 관련된 인덱스 메서드군, 연산자군, 여러 목적에 맞는 함수군, 데이터의 정의역을 정의하여 Illustra에 도입할 수 있었다.

이러한 DataBlade 모듈군의 정의는 웹 출판, 텍스트 검색 및 처리, 지리 공간적 정보 관리, 시계열 데이터 관리,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등을 목표로 했다. DataBlade 모듈군을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많은 프로젝트에서 프로그래밍 시간을 크게 개선할 수 있었다. DataBlade는 주목받아 인기를 얻었고, 즉시 많은 플랫폼에 이식되었다.

2. 3. Informix 사의 인수

Informix 사는 객체 관계 데이터베이스(ORD)에 주목하여 1997년에 Illustra Information Technologies 사를 인수했다.[1] Informix는 오라클(Oracle) 사와 사이베이스(Sybase) 사와 함께 3대 데이터베이스 기업 중 하나였다.[1]

Illustra의 기술은 Informix 사가 개발하여 판매했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인 Informix 7 OnLine 제품 계열에 도입되었고, 최종적으로는 Informix 사의 객체 관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RDBMS)의 새로운 제품 계열 Informix Universal Server(IUS)에 통합되었다.[1] IUS는 그 후 제품명이 Informix Dynamic Server(IDS)로 변경되었다.[1]

3. Postgres

마이클 스톤브레이커는 Ingres의 상업화를 일단락시키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B)로 돌아가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Ingres의 후계자를 의미하는 Post-Ingres에서 유래한 '''Postgres'''로 명명되었다. Postgres는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한계를 해결하고, 타입(도메인)을 완벽하게 지원하며, 관계를 "이해"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

3. 1. Postgres 프로젝트의 목표

마이클 스톤브레이커는 자신이 개발을 주도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인 Ingres의 상업화를 마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B)로 돌아가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이 프로젝트가 바로 '''Postgres'''이다. Postgres는 Ingres의 후계자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Post-Ingres), 관계 모델을 사용한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Postgres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기존 DBMS에서 사용자가 새로운 도메인(타입)을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을 해결하는 것이었다. Postgres는 타입(도메인)을 완벽하게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을 도입했으며, 데이터베이스가 관계를 "이해"하고 "규칙"에 따라 관련된 관계(릴레이션, 표, 테이블)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사용자 정의 타입 외에도 관계를 완벽하게 기술하는 기능, 추기형 미디어(광디스크 등) 지원, 대용량 저장 장치 지원, 추론, 객체 지향형 데이터 모델 등을 도입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사이의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실험적으로 도입했다.[1]

3. 2. Postgres의 발전 과정

마이클 스톤브레이커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B)에서 시작한 Postgres 프로젝트는 관계 모델을 사용한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특히, 사용자가 새로운 도메인을 정의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Postgres는 사용자가 타입을 정의하고 관계를 기술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기능을 도입했다.[1]

1986년부터 프로젝트 팀은 Postgres 시스템의 기반을 설명하는 논문을 다수 발표했고, 1988년에는 프로토타입 버전을 공개했다. 이후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버전들을 출시했다.[1]

  • 버전 1 (1989년 6월): 소수의 사용자에게 공개되었다.[1]
  • 버전 2 (1990년 10월): 규칙 시스템을 재구현했다.[1]
  • 버전 3 (1991년): 규칙 시스템을 다시 구현하고, 복수의 저장 장치 관리 기능 및 개선된 쿼리 엔진을 추가했다.[1]
  • 버전 4.2 (1993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주로 정리된 내용을 담아 공개되었다.[1]


1993년 버전 4.2 공개 이후 Postgres 프로젝트는 종료되었지만, 사용자 주도로 유지보수가 이루어졌다. 오픈 소스 개발자들이 Postgres를 기반으로 추가 개발을 진행하여 현재의 PostgreSQL로 이어지게 되었다.[1]

3. 3. Illustra와 Postgres의 관계

마이클 스톤브레이커와 폴라 호손은 Postgres를 상업화하기 위해 Illustra Information Technologies사를 창업하여 Illustra라는 제품명으로 개발·판매했다.[1] 한편, 오픈 소스 개발자들은 Postgres의 사본을 입수하여 시스템의 추가 개발을 진행할 수 있었다.[1] 이 오픈 소스 버전은 현재 PostgreSQL이라는 명칭으로 개발이 계속되고 있으며, 오픈 소스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RDBMS)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1]

4. PostgreSQL

마이클 스톤브레이커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인 Ingres 상업화를 마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B)에서 '''Postgres'''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 이 프로젝트는 관계 모델 기반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한계, 특히 사용자가 새로운 도메인(영역, 타입)을 정의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1] Postgres는 타입(도메인)을 완벽하게 지원하기 위해 최소 기능만 도입하고, 관계를 "이해"하며 "규칙"에 따라 관련된 관계(릴레이션, 표, 테이블)에서 정보를 얻도록 했다.[1]

1986년부터 Postgres 시스템 기반 논문이 발표되었고, 1988년 프로토타입, 1989년 버전 1, 1990년 버전 2, 1991년 버전 3, 1993년 버전 4.2가 공개된 후 프로젝트는 종료되었다.[1]

4. 1. 오픈 소스 커뮤니티의 역할

오픈 소스 개발자들은 Postgres의 사본을 입수하여 추가 개발을 진행했다.[1] 이들은 Postgres 버전을 PostgreSQL이라는 명칭으로 계속 개발하고 있다.[1] PostgreSQL은 오픈 소스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RDBMS)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INFORMIX FINALIZES ILLUSTRA ACQUISITION, WILL SHIP OBJECT-RELATIONAL SERVER DATABASE BY YEAR-END https://techmonitor.[...] Tech Monitor 1996-02-16
[2] 웹사이트 Michael Stonebraker The ultimate database https://www.forbes.c[...] 1997-07-07
[3] 웹사이트 Informix History https://www.iiug.org[...] 2023-04-12
[4] 서적 Informix, with CD-ROM (Unleashed) https://dl.acm.org/d[...] Sams 1996
[5] 웹사이트 IIUG http://iiug2017.org/[...] 2017-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