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J/FPS-4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FPS-4는 일본 항공자위대가 운용하는 차세대 방공 레이더 시스템이다. J/FPS-4는 노후화된 J/FPS-3의 대체 및 성능 향상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2004년부터 일본 내 6개 레이더 기지에 배치되었다. 민생 기술을 활용하여 신뢰성, 소형화, 효율성을 추구했으며, J/FPS-3와 동등한 성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는다. 주요 임무는 항공기 및 탄도탄 감시이며, 일본의 방공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쓰비시 레이더 - J/FPS-5
    J/FPS-5는 일본이 북한 탄도 미사일 발사 징후 조기 탐지를 위해 개발하여 2008년부터 2011년까지 4기가 배치된, 1,800km 탐지 거리를 가진 회전 가능한 육각기둥 형태의 지대공 AESA 레이더이다.
  • 미쓰비시 레이더 - J/FPS-3
    J/FPS-3는 일본에서 개발된 방공 레이더 시스템으로, 탄도 미사일 방어 능력 향상을 위해 개량되었으며, 1992년 처음 배치되어 2020년 필리핀 공군에 수출되기도 했다.
  • 항공자위대의 레이더 - J/FPS-5
    J/FPS-5는 일본이 북한 탄도 미사일 발사 징후 조기 탐지를 위해 개발하여 2008년부터 2011년까지 4기가 배치된, 1,800km 탐지 거리를 가진 회전 가능한 육각기둥 형태의 지대공 AESA 레이더이다.
  • 항공자위대의 레이더 - J/FPS-3
    J/FPS-3는 일본에서 개발된 방공 레이더 시스템으로, 탄도 미사일 방어 능력 향상을 위해 개량되었으며, 1992년 처음 배치되어 2020년 필리핀 공군에 수출되기도 했다.
  • 조기 경보 시스템 - 페이브 포스
    페이브 포스는 미국 공군이 개발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탐지 및 경고 시스템으로, AN/FPS-115 위상 배열 레이더를 사용하여 5,555km 범위 내 목표물을 탐지 및 추적하며, 냉전 이후 고체 상태 위상 배열 레이더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 조기 경보 시스템 - 해상 기반 X-밴드 레이더
    해상 기반 X-밴드 레이더는 소형 탄도 미사일 탄두 탐지에 사용되는 X 밴드 주파수를 사용하는 해상 플랫폼으로, MW급 출력을 내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대한민국 해군이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기 위해 한반도 해역에 실전 배치하여 감시 활동을 수행한다.
J/FPS-4
개요
J/FPS-4 고정식 3차원 레이더
공중선부
J/FPS-4 레이더 레돔 (항공 자위대 다카오야마 분둔 기지)
레돔(다카오야마 분둔 기지)
J/FPS-4
종류고정식 3차원 레이더
개발일본
제원
탐지 범위450km 이상
탐지 고도30,000m
레이더 종류3차원 레이더
무게100톤 이상
소비 전력3,000kW
특징
특징고정식
3차원 레이더
장거리 탐지
다중 목표 추적
ECCM 기능
배치
배치 장소일본 각지
운용 주체항공 자위대

2. 역사

J/FPS-4는 일본의 방공 정책에 필수적인 존재로, 일본 전역은 물론 한반도중국 등 일본 바깥의 바다까지 감시할 수 있다. 주요 임무는 항공기와 탄도탄 감시이며, 해상 레이다와 비교되기도 한다. 일본은 한반도와 중국 등 인접 위협세력으로부터 미사일 공격에 대비하여 첨단 방공 레이다를 갖추고, 이를 통해 미사일을 탐지하고 요격하는 방공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2. 1. 개발 배경

일본은 차세대 방공 레이다가 필수적이었다. 안테나를 하나로 통합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했으며, 정비 및 조작성 모두 기존보다 우월했다. 전파 유도 미사일(대레이다 미사일)의 전자전에도 대비했다. 또한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원거리 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 기술은 레이다 안테나 및 운영 룸 등을 격리하고 있다. 시스템은 컬러 LCD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등을 다용하는 것으로, 시인성, 조작성, 정비성 등의 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구식화한 J/FPS-20과 J/FPS-1 등을 갱신하는 형태로 2004년부터 레이다 사이트 등지에 배치가 시작되어 6개소에 배치가 완료됐다.

항공자위대에서는 자동 경계 관제 조직 건설에 맞춰 레이더 기지에 국산 3차원 레이더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먼저 1972년부터 J/FPS-1을, 1980년부터는 더 소형화된 J/FPS-2를 도입했다. 그러나 모든 레이더 기지에 보급되지 못했고, 여전히 미국제 AN/FPS-20|앤/에프피에스-20영어 수색 레이더 (혹은 그 파생형) 및 AN/FPS-6 측고 레이더를 개수하여 계속 사용하는 기지도 많았다. 기술적 진부화를 피하기 위해, 1개 기종의 개발이 끝나면 즉시 다음 기종의 개발에 착수할 필요가 있었던 점도 있어, 1981년에는 차기 경계 관제 레이더 장치의 운용 요구서가 작성되었고, 이를 토대로 J/FPS-20 및 J/FPS-6의 후속 레이더로서 J/FPS-3가 개발되어 1992년부터 운용을 시작했다.

그러나 J/FPS-3도 도입 후 10년 이상이 지나면서 노후화와 부품 부족으로 유지 및 지속적인 정비가 어려워졌다. 게다가 국가의 재정 상황 악화로 인해, 해당 기종의 지속적인 획득이 어려워졌다. 이러한 정세에 따라, 경계 관제 기능의 현대화를 도모하기 위해, 높은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더 저렴한 신형 경계 관제 레이더 장치가 요구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개발된 것이 본 기종이다.

1997년 2월, 공막은 본 기종의 장비화에 필요한 운용 구상, 운용 요구, 요구 성능을 책정하고, 같은 해 12월 9일에 각의 결정된 08중방의 재검토에서 도입이 결정되었다. 1998년에 3개사로부터 제안을 받아, 도시바의 제안이 채택되었으며, 1999년 8월의 기술 심사에서 설계를 결정했다.

2. 2. 개발 과정

일본은 차세대 방공 레이다가 필수적이었다. 안테나를 하나로 통합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했으며, 정비, 조작성 모두 기존보다 우월했다. 전파 유도 미사일(대레이다 미사일)의 전자전에도 대비했다. 또한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원거리 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 기술은 레이다 안테나 및 운영 룸 등을 격리하고 있다. 시스템은 컬러 LCD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등을 다용하는 것으로, 시인성, 조작성, 정비성 등의 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J/FPS-20과 J/FPS-1등을 갱신하는 형태로 2004년부터 레이다 사이트 등지에 배치가 시작되어 6개소에 배치가 완료됐다.

항공자위대에서는 자동 경계 관제 조직 건설에 맞춰 레이더 기지에 국산 3차원 레이더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먼저 1972년부터 J/FPS-1을, 1980년부터는 더 소형화된 J/FPS-2를 도입했다. 그러나 모든 레이더 기지에 보급되지 못했고, 여전히 미국제 AN/FPS-20|Bendix AN/FPS-20 Radar영어 수색 레이더 (혹은 그 파생형) 및 AN/FPS-6 측고 레이더를 개수하여 계속 사용하는 기지도 많았다. 기술적 진부화를 피하기 위해, 1개 기종의 개발이 끝나면 즉시 다음 기종의 개발에 착수할 필요가 있었던 점도 있어, 1981년에는 차기 경계 관제 레이더 장치의 운용 요구서가 작성되었고, 이를 토대로 J/FPS-20 및 J/FPS-6의 후속 레이더로서 J/FPS-3가 개발되어 1992년부터 운용을 시작했다.

그러나 J/FPS-3도 도입 후 10년 이상이 지나면서 노후화와 부품 부족으로 유지 및 지속적인 정비가 어려워졌다. 게다가 국가의 재정 상황 악화로 인해, 해당 기종의 지속적인 획득이 어려워졌다. 이러한 정세에 따라, 경계 관제 기능의 현대화를 도모하기 위해, 높은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더 저렴한 신형 경계 관제 레이더 장치가 요구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개발된 것이 본 기종이다.

1997년 2월, 공막은 본 기종의 장비화에 필요한 운용 구상, 운용 요구, 요구 성능을 책정하고, 같은 해 12월 9일에 각의 결정된 08중방의 재검토에서 도입이 결정되었다. 1998년 3개사로부터 제안을 받아, 도시바의 제안이 채택되었으며, 1999년 8월의 기술 심사에서 설계를 결정했다.

3. 기술적 특징

J/FPS-4는 일본의 방공 레이다로, 기존 레이다를 대체하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었다. 특히, 민간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자동화를 통해 효율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주요 기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통합 안테나: 비용 절감을 위해 J/FPS-3에서 2개였던 안테나를 1개로 통합했다. 대형 반사판 2개를 마주 보게 배치하고 회전하는 구조를 채택했으며, 최신 디지털 기술을 통해 여러 방향의 전파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 성능 유지: 규모와 비용은 축소되었지만, 성능은 J/FPS-3와 거의 동등한 수준을 유지한다.
  •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대형 컬러 디스플레이와 콘솔을 사용하며, J/FPS-3의 조작 방식을 유지하여 조작 훈련을 용이하게 했다.
  • 자동화 및 원격 제어: 시스템은 산 측(안테나 설치 장소)과 마을 측(운용 지구)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태 감시(System Performance Monitor|시스템 퍼포먼스 모니터영어) 콘솔을 통해 고장 상황을 파악하고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 전자전 대응: J/FPS-3와 마찬가지로 디코이를 장착하여 대 레이더 미사일을 방해하는 전자전에 대응할 수 있다.

3. 1. 설계 특징

일본은 차세대 방공 레이다를 개발하면서 비용 절감을 위해 안테나를 하나로 통합했지만, 정비성과 조작성은 기존보다 우수하게 만들었다. 전파 유도 미사일(대레이다 미사일)의 전자전에 대비했으며,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원거리 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 기술을 적용하여 레이다 안테나와 운영 룸을 격리했다. 시스템은 컬러 LCD 디스플레이와 터치 패널 등을 통해 시인성, 조작성, 정비성을 높였다.

J/FPS-20과 J/FPS-1 등을 대체하기 위해 2004년부터 레이다 기지 등에 배치되기 시작하여 6곳에 배치가 완료되었다.

J/FPS-4는 통신 전자 및 전산 처리 분야에서 발전한 민간 기술을 활용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소형화 및 효율성을 추구하는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비용 절감을 위해 J/FPS-3에서 2개였던 안테나는 1개로 통합되었다. 대형 반사판 2개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여 회전하는 구조이며, 최신 디지털 기술을 채용하여 여러 방향에서 오는 전파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규모와 비용은 줄었지만, 성능은 J/FPS-3와 거의 동등한 수준이다.

조작 방식은 대형 컬러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콘솔을 통해 이루어지며, J/FPS-3의 조작 방법과 유사하게 설계하여 숙련 훈련을 쉽게 했다. 또한, J/FPS-3와 마찬가지로 가짜 전파 발생 장치(디코이)를 갖추고 있어, 전파 호밍 미사일(대 레이더 미사일)을 방해하는 전자전에 대응한다.

시스템은 산 측(안테나 설치 장소)과 마을 측(운용 지구)으로 분리 배치되어 있다. 마을 측의 상태 감시(System Performance Monitor|시스템 퍼포먼스 모니터영어) 콘솔을 통해 각 부분의 고장 상황, 고장 부위, 고장 기록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장 부위 전환 등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자동화했다.

3. 2. 성능

일본은 차세대 방공 레이다가 필수적이었다. 안테나를 하나로 통합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했으며, 정비 및 조작성 모두 기존보다 우월했다. 대 레이더 미사일의 전자전에도 대비했다. 또한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원거리 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 기술은 레이다 안테나 및 운영 룸 등을 격리하고 있다. 시스템은 컬러 LCD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등을 다용하는 것으로, 시인성, 조작성, 정비성 등의 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비용 절감 차원에서 J/FPS-3에서 2개였던 공중선은 1개로 통합되었다. 대형 반사판 2개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여 회전하는 구조이며, 최신 디지털 기술을 채용하여 다방향에서 오는 전파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처럼 규모 및 경비적인 면에서는 축소되었지만, 성능은 J/FPS-3와 거의 동등한 수준을 확보하고 있다.

조작성에 관해서도 대형 컬러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콘솔에서의 조작은 J/FPS-3의 조작 방법과 유사성을 갖도록 하여, 숙련 훈련을 용이하게 하는 배려가 이루어졌다. 또한, J/FPS-3와 마찬가지로 가짜 전파 발생 장치(디코이)를 장비하고 있어, 전파 호밍 미사일(대 레이더 미사일)을 방해하는 전자전에도 대응하고 있다.

시스템 구성은 산 측(공중선 장치 설치 장소)과 마을 측(운용 지구)으로 분리하여 배치되어 있다. 마을 측의 상태 감시(System Performance Monitor, SPM영어) 콘솔로 각 부위의 고장 상황, 고장 부위, 고장 기록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고장 부위의 전환 등을 원격 조작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화를 도모했다.

3. 3. 전자전 대응

J/FPS-3와 마찬가지로 가짜 전파 발생 장치(디코이)를 갖추고 있어, 전파 호밍 미사일(대 레이더 미사일)을 이용한 전자전에 대응하고 있다.

3. 4. 시스템 구성

일본은 차세대 방공 레이다를 개발하면서 안테나를 하나로 통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정비성과 조작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전파 유도 미사일(대레이다 미사일)의 전자전에 대비하고,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원거리 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 기술을 적용했다. 시스템은 컬러 LCD 디스플레이와 터치 패널 등을 활용하여 시인성, 조작성, 정비성을 높였다.

J/FPS-4는 구형화된 J/FPS-20과 J/FPS-1 등을 대체하기 위해 2004년부터 레이다 기지 등에 배치되기 시작하여 6곳에 배치가 완료되었다.

J/FPS-4는 통신, 전자 및 전산 처리 분야의 발전된 민간 기술을 활용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소형화 및 효율성을 추구하는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비용 절감을 위해 J/FPS-3에서 2개였던 안테나는 1개로 통합되었다. 대형 반사판 2개를 서로 마주 보게 배치하여 회전하는 구조이며, 최신 디지털 기술을 채용하여 다방향에서 오는 전파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규모와 비용은 축소되었지만, 성능은 J/FPS-3와 거의 동등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조작 방식은 대형 컬러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콘솔을 통해 이루어지며, J/FPS-3의 조작 방법과 유사하게 설계하여 숙련 훈련을 쉽게 했다. 또한, J/FPS-3와 같이 가짜 전파 발생 장치(디코이)를 갖추고 있어, 전파 호밍 미사일(대 레이더 미사일)을 방해하는 전자전에 대응한다.

시스템 구성은 산 측(안테나 설치 장소)과 마을 측(운용 지구)으로 분리되어 있다. 마을 측의 상태 감시(System Performance Monitor, SPM영어) 콘솔을 통해 각 부분의 고장 상황, 고장 부위, 고장 기록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장 부위 전환 등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자동화했다.

4. 운용

일본은 차세대 방공 레이다가 필수적이었다. 안테나를 하나로 통합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했으며, 정비 및 조작성이 기존보다 우월했다. 전파 유도 미사일(대레이다 미사일)의 전자전에도 대비했다. 또한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원거리 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 기술로 레이다 안테나와 운영 룸 등을 격리하고 있다. 시스템은 컬러 LCD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등을 다용하여 시인성, 조작성, 정비성 등을 확보하고 있다.

4. 1. 배치 현황

J/FPS-4는 구형화된 J/FPS-20과 J/FPS-1 등을 대체하기 위해 2004년부터 레이다 기지 등에 배치되기 시작하여 6곳에 배치가 완료되었다.

기지명부대운용 개시일
아바시리 분둔기지제28경계대2004년
오쿠시리섬 분둔기지제29경계대
미네오카 분둔기지제44경계대
다카오산 분둔기지제7경계대2003년
후쿠에지마 분둔기지제15경계대
구메지마 분둔기지제54경계대2008년


4. 2. 역할 및 중요성

방공 레이더는 일본 전역은 물론이고 일본 바깥의 바다와 한반도, 중국까지 감시할 수 있어, 일본의 방공 정책에 필수적인 존재다. 해상 레이더와 비교되기도 한다. 주요 임무는 항공기, 탄도탄 감시 등이다. 일본의 방공 전략은 인접 위협 세력인 한반도와 중국 등에서 미사일이 날아오는 것을 대비하여 첨단 방공 레이더를 갖추어, 미리 보고 요격한다는 개념이다.

초호기는 1999년(헤이세이 11년)에 다카오산 분둔 기지에 배치되었으며, 2002년 4월부터 12월까지 전자 개발 실험군에 의한 실용 시험이 진행되었다. 시험에서는 기능 및 성능(영역, 정밀도, 분해능, 추적, 정비성·신뢰성 등) 및 예비 기술 지령서(TO)의 심사를 실시하여, 2003년 1월, 부대의 사용에 제공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항공총대는 같은 해부터 3월까지, 해당 지역에서 편성과 부대 운용·교육 훈련 및 후방 지원 등에 관한 기초적 제원 및 운용 능력 데이터를 수집했다.

2004년부터 레이더 사이트에 배치가 시작되어, 6개소에서 배치가 종료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