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55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55는 대한민국 육군이 운용하는 자주포 및 관련 지원 차량을 통칭하는 명칭이다. K-55A1은 K-55 자주포를 개량한 모델로, 사거리 연장 및 사격 자동화가 이루어졌다. K-55 계열에는 K-55 차체를 기반으로 개발된 K-56 탄약보급장갑차, K-77 사격지휘장갑차, K66 탄약운반장갑차 등이 있으며, K-56은 K-55와 K-9 자주포 모두에 탄약을 보급할 수 있다. K-77은 포병사격지휘체계(BTCS)를 갖춘 지휘 차량이며, K66은 비리 의혹으로 인해 사업이 취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성테크윈 - K9 자주포
K9 자주포는 대한민국 국방과학연구소와 한화디펜스가 개발한 155mm 자주포로, 북한 포병 전력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긴 사거리, 빠른 발사 속도, 높은 기동성을 특징으로 대한민국 육군과 해병대 및 여러 국가에 수출되어 군 현대화에 기여하고 있다. - 삼성테크윈 - K-55A1 자주포
- 대한민국의 자주포 - K9 자주포
K9 자주포는 대한민국 국방과학연구소와 한화디펜스가 개발한 155mm 자주포로, 북한 포병 전력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긴 사거리, 빠른 발사 속도, 높은 기동성을 특징으로 대한민국 육군과 해병대 및 여러 국가에 수출되어 군 현대화에 기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자주포 - K-55A1 자주포
- 155 mm 포 - K9 자주포
K9 자주포는 대한민국 국방과학연구소와 한화디펜스가 개발한 155mm 자주포로, 북한 포병 전력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긴 사거리, 빠른 발사 속도, 높은 기동성을 특징으로 대한민국 육군과 해병대 및 여러 국가에 수출되어 군 현대화에 기여하고 있다. - 155 mm 포 - M114 155mm 곡사포
M114 155mm 곡사포는 제2차 세계 대전 시기부터 사용된 견인식 곡사포로, 제1차 세계 대전 시대의 M-1918 155 mm 곡사포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다양한 파생형과 자주포 모델로 발전했으며, 현재도 일부 국가에서 사용 중이다.
K-55 | |
---|---|
무기 정보 | |
이름 | K-55 자주포 |
![]() | |
종류 | 자주포 |
사용 년도 | 1986년 ~ 현재 |
생산 | 삼성테크윈 |
가격 | 약 10억원 |
원형 | M109 |
파생형 | K-55A1 자주포 |
제원 | |
중량 | 26t |
길이 | 9.12m |
총열 길이 | 8.06m |
폭 | 3.15m |
높이 | 3.28m |
인원 | 6명 |
성능 | |
구경 | 155mm |
연사 속도 | 최대 발사: 분당 4발 지속 발사: 분당 1발 |
사거리 | 18km ~ 24km(K55) 32km(K55A1) |
장갑 및 무장 | |
장갑 | 5083 알루미늄 |
무장 | 155mm 39구경장 곡사포 |
부무장 | K6 중기관총 1정 |
기동 | |
엔진 | 가스터빈 엔진 |
엔진 출력 | 440hp |
항속 거리 | 360 km |
최고 속도 | 56 km/h |
2. K-55A1
K-55 자주포의 성능 개량형으로, K-9 자주포의 기술이 대거 적용되었다. 사거리는 최대 32km까지 늘어났고, 초탄 발사 시간은 기존 2~11분에서 45~75초까지 단축되었다. 관성항법장치, 위성항법장치, 속도보정장치 등의 성능 개량을 통해 자동화된 사격 체계와 야전 운용성, 사격 정확도가 개선되었다.[1][2]
K-55 자주포의 차체를 기반으로 개발된 지원 차량으로는 K-56 탄약보급장갑차, K-77 사격지휘장갑차, K-66 탄약운반장갑차 등이 있다. K-56은 K-55와 K-9 자주포에 탄약을 보급할 수 있으며, K-77은 포병 사격 지휘를 위한 차량이다. K-66은 개발 도중 비리 의혹으로 취소되었다.
3. K-55 계열
3. 1. K-56 탄약보급장갑차
K-56 탄약보급장갑차는 K-55의 차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탄약보급장갑차이다. K-10 탄약보급장갑차와 비슷한 역할을 하며, 취소된 K66을 대체하는 차량이다. K-10의 기술을 도입하여 K-55A1에 적용될 예정이다.
K-56은 차체 앞의 큰 막대 모양 구조물을 K-55 자주포 후미에 연결하여 직접 탄약을 보급하는 방식으로 효율성을 높였다. K-56은 K-55와 K-9 자주포 모두에 탄약을 보급할 수 있지만, K-10은 K-9 전용으로만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점 때문에 K-10 대신 K-56을 양산하자는 의견도 제기되었다.
2011년 개발이 완료되었으나, 감사원에서 노후화되는 K-55의 지원 차량을 만드는 것이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적절한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여 도입 결정이 2013년 상반기까지 보류되었다. 이후 2013년 7월 25일, 6500억원을 투입하여 2015년까지 1차 양산을 하기로 결정되었다.
3. 2. K-77 사격지휘장갑차
K-77 사격지휘장갑차는 K-55의 차체에 서서 근무할 수 있는 높은 구조물을 설치하고 내부에 포병사격지휘체계(BTCS)와 각종 VHF대역 통신장비, 화생방 대비 내부 승무원 보호장비를 장착한 차량이다.[1] K-55 및 K-9 자주포 6문으로 이루어진 1개 자주포 포대에 1대가 편제되며, 대대 지휘용 1대와 연대/여단 지휘용 1대가 추가로 편제되어 있다.[1]
BTCS는 표적 획득부터 포탄 발사까지 과정을 전산화한 것이다.[1] 포병대대의 사격지휘소와 연계된 관측자, 포대의 사격지휘소, 인접 포병대대와의 연동 운용으로 사격제원 산출과 필요한 전술적 판단을 빠르고 용이하게 해 준다.[1] BTCS는 1994년 4월 18일부터 개발되어 운용되기 시작했다.[1] 제원상으로는 박격포부터 견인포, K-55, K-9 자주포, 그리고 MLRS까지 관제할 수 있다고 한다.[1]
3. 3. K-66 탄약운반장갑차
K-55의 차체를 이용하여 만들어졌으나, 사업 도중 비리 의혹으로 취소되었다. K-55와 직접 연결되어 탄약을 공급하는 차량은 아니었고 단순히 장갑화된 탄약 운반 차량이었다. 형상은 K-77과 유사하다.[1]
참조
[1]
뉴스
K-55 자주포 26년 만에 성능개선… 사거리 8.5km 늘어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6-20
[2]
뉴스
전투장비 100% 성능발휘 보장
https://web.archive.[...]
국방일보
2013-1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