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HIGH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OADHIGH는 IBM PC의 설계로 인해 도스가 겪었던 640KB 메모리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는 기본 메모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우스 드라이버나 스마트드라이브와 같은 TSR(Terminate and Stay Resident) 프로그램을 상위 메모리로 로드하는 데 사용되었다. CONFIG.SYS에서는 INSTALLHIGH 또는 DEVICEHIGH 지시어를 사용했다. 현대 운영체제에서는 640KB 제약이 없어졌고, 플랫 메모리 모델과 보호 모드를 지원하므로 LOADHIGH는 구식이 되었다. LOADHIGH는 MS-DOS 및 MS OS/2 버전 1.x와의 호환성을 위해 윈도우 XP의 MS-DOS 하위 시스템에 존재했지만, 윈도우 XP 64비트 에디션과 이후 버전의 윈도우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스 메모리 관리 - QEMM
QEMM은 쿼터덱 사에서 출시한 메모리 관리 소프트웨어로, 인텔 80286 이상의 CPU를 위한 다양한 도구와 드라이버를 제공하며, DOS 환경에서 메모리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도스 메모리 관리 - HIMEM.SYS
HIMEM.SYS는 MS-DOS 및 윈도우 환경에서 확장 메모리를 관리하는 장치 드라이버로, A20 라인 제어, HMA 할당, 인터럽트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스위치 옵션을 통해 메모리 관리 방식 등을 설정할 수 있다. - 내부 도스 명령어 - TYPE (도스 명령어)
TYPE은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이며, MS-DOS, 윈도우 등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지원된다. - 내부 도스 명령어 - Echo (명령어)
echo 명령어는 다양한 운영체제 및 셸 환경에서 입력받은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하는 명령어로, POSIX 표준의 부재로 시스템에 따라 동작 방식에 차이가 있어 이식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 LOADHIGH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프로그램 정보 | |
| 이름 | LOADHIGH / LH / HILOAD |
| 개발자 | 디지털 리서치 노벨 마이크로소프트 IBM 칼데라 |
| 출시일 | 1991년 6월 11일 |
| 운영 체제 | 도스 |
| 장르 | 명령어 |
2. LOADHIGH 명령어의 등장 배경
IBM PC의 설계상 이유로 도스는 640KB 장벽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기본 메모리는 크기가 고정되어 있었고, 실제 설치된 시스템 메모리 크기와는 상관없었다. 추가 메모리 지원을 위해 EMS, XMS, 도스 확장자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호환성 문제로 기본 메모리는 여전히 사용되었다.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이 실행될 때 기본 메모리의 상당 부분을 사용하면서 자원 부족 현상이 발생했다.
이 때문에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에 마우스 드라이버나 디스크 캐시 드라이버 같은 TSR 프로그램들을 상위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시켜야 했다. 이는 프로그램 이름을 매개변수로 지정하여 `LOADHIGH`를 호출하면 가능했다.
CONFIG.SYS에서 TSR을 로드하려면 `LOADHIGH` 명령어 대신 INSTALLHIGH 지시어를 사용해야 했다. 장치 드라이버의 경우 `LOADHIGH`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은 DEVICEHIGH였다 (일반적으로 CONFIG.SYS 안에서만 사용 가능). DR-DOS 6.0 이상에서는 이러한 기능들이 지원되었고, DR-DOS 5.0 이상에서는 HIINSTALL, HIDEVICE도 지원되었다.
하지만 현대의 많은 운영 체제들은 보호 모드로 동작하며 플랫 메모리 모델을 지원하여 640KB 제약이 없어졌다. 따라서 `LOADHIGH`와 같은 기본 메모리 확보 방식은 대부분 구식이 되었다.
`LOADHIGH`는 MS-DOS 및 MS OS/2 버전 1.x 호환성을 위해 윈도우 XP MS-DOS 하위 시스템에 일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윈도우 XP 64비트 에디션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2] 최신 윈도우 운영 체제의 명령 인터프리터에서도 사용할 수 없다.[3]
2. 1. 640KB 기본 메모리 제약
IBM PC의 설계상 이유로 도스는 640 KiB 장벽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기본 메모리로 알려진 이 메모리 영역의 크기는 고정된 값이며, 실제로 설치된 시스템 메모리의 크기와는 관계가 없었다. 추가 메모리 지원을 위해 다양한 방식(EMS, XMS 참고)과 도스 확장자가 개발되었으나, 기본 메모리는 호환성 문제 때문에 여전히 사용되었다. 런타임 시에 수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이 기본 메모리의 상당 부분을 사용하면서 자원 부족 현상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에 마우스 드라이버나 디스크 캐시 드라이버(예: 스마트드라이브) 등 일부 TSR 프로그램들을 상위 메모리로 이동시켜야 했다.2. 2. 상위 메모리 영역 (UMA) 활용
IBM PC의 설계상 이유로 도스(DOS)는 640 KiB 장벽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기본 메모리는 크기가 고정되어 있었고, 실제 설치된 시스템 메모리 크기와는 상관없었다. 추가 메모리 지원을 위해 EMS, XMS, 도스 확장자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호환성 문제로 기본 메모리는 여전히 사용되었다.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이 실행될 때 기본 메모리의 상당 부분을 사용하면서 자원 부족 현상이 발생했다.이 때문에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에 마우스 드라이버나 스마트드라이브 같은 TSR 프로그램들을 상위 메모리 영역(UMA)으로 이동시켜야 했다. 이는 `LOADHIGH` 명령어를 사용해 프로그램 이름을 매개변수로 지정하면 가능했다.
CONFIG.SYS에서 TSR을 로드하려면 `LOADHIGH` 명령어 대신 INSTALLHIGH 지시어를 사용해야 했다. 장치 드라이버의 경우 `LOADHIGH`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은 DEVICEHIGH였다. DR-DOS 6.0 이상에서는 이러한 기능들이 지원되었고, DR-DOS 5.0 이상에서는 HIINSTALL, HIDEVICE도 지원되었다.
하지만 현대의 많은 운영 체제들은 보호 모드로 동작하며 플랫 메모리 모델을 지원하여 640KB 제약이 없어졌다. 따라서 `LOADHIGH`와 같은 기본 메모리 확보 방식은 대부분 구식 기술이 되었다.
`LOADHIGH`는 MS-DOS 및 MS OS/2 버전 1.x 호환성을 위해 윈도우 XP MS-DOS 하위 시스템에 일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윈도우 XP 64비트 에디션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2] 최신 윈도우 운영 체제의 명령 인터프리터에서도 사용할 수 없다.[3]
3. LOADHIGH 명령어의 기능 및 사용법
IBM PC의 설계상 이유로 도스는 640KiB 장벽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기본 메모리 영역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었고, 실제로 설치된 시스템 메모리 크기와는 관계가 없었다. 추가 메모리 지원을 위해 다양한 방법(EMS, XMS 참고)과 도스 확장자가 개발되었으나, 호환성 문제로 기본 메모리는 여전히 사용되었다. 런타임 시에 기본 메모리 중 상당 부분을 수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면서 자원 부족 현상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에 마우스 드라이버나 디스크 캐시 드라이버(예: 스마트드라이브) 등 일부 TSR 프로그램들을 상위 메모리로 이동시켜야 했다.
현대의 수많은 운영 체제들은 보호 모드에서 동작하며 플랫 메모리 모델을 지원하여 640KB 제약이 없어졌다. 따라서 `LOADHIGH` 및 기타 기본 메모리 해제 방식은 대부분 구식으로 되었다.
`LOADHIGH`는 MS-DOS와 MS OS/2 버전 1.x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윈도우 XP MS-DOS 하위 시스템의 일부분으로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윈도우 XP 64비트 에디션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2] 더 새로운 윈도우 운영 체제의 명령 인터프리터에서도 사용할 수 없다.[3]
3. 1. 기본 사용법
IBM PC의 설계상 이유로 도스는 640KiB 장벽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기본 메모리 영역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었고, 실제로 설치된 시스템 메모리 크기와는 관계가 없었다. 추가 메모리 지원을 위해 다양한 방법(EMS, XMS 참고)과 도스 확장자가 개발되었으나, 호환성 문제로 기본 메모리는 여전히 사용되었다. 런타임 시에 기본 메모리 중 상당 부분을 수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면서 자원 부족 현상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에 마우스 드라이버나 디스크 캐시 드라이버(예: 스마트드라이브) 등 일부 TSR 프로그램들을 상위 메모리로 이동시켜야 했다. 이는 프로그램 이름을 매개변수로 지정하여 `LOADHIGH`를 호출하면 가능했다.CONFIG.SYS에서 TSR을 로드하려면 `LOADHIGH` 명령어 대신 INSTALLHIGH 지시어를 사용해야 했다. 장치 드라이버의 경우 `LOADHIGH`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은 DEVICEHIGH이며, 일반적으로 CONFIG.SYS 안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DR-DOS 6.0 이상에서도 이러한 기능들이 지원된다. DR-DOS 5.0 이상에서는 각각 HIINSTALL, HIDEVICE를 지원한다.
3. 2. DR-DOS에서의 확장
DR-DOS 5.0 이상은 HIINSTALL, HIDEVICE 명령어를 지원한다. 이 명령어들은 DR-DOS 6.0 이상에서 지원되는 `INSTALLHIGH`, `DEVICEHIGH`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메모리 관리 방식에 차이가 있다.4. LOADHIGH 명령어의 한계와 현대적 의의
IBM PC의 설계상 이유로 도스는 640 KiB 장벽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기본 메모리 영역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었고, 실제 설치된 메모리 크기와는 독립적이었다. 추가 메모리 지원을 위해 EMS, XMS, 도스 확장자 등이 개발되었으나 호환성 문제로 기본 메모리는 계속 사용되었다. 런타임 시에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이 기본 메모리의 상당 부분을 사용하면서 자원 부족 현상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LOADHIGH 명령어는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 마우스 드라이버나 스마트드라이브 같은 TSR 프로그램들을 상위 메모리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했다.
4. 1. 보호 모드와 플랫 메모리 모델
현대의 수많은 운영 체제들은 플랫 메모리 모델을 지원하며 보호 모드로 동작하여 640KB 제약이 없다. LOADHIGH영어 및 기타 기본 메모리 해제 방식은 대부분 구식으로 되었다.[2][3]4. 2. 호환성 유지
`LOADHIGH`는 MS-DOS 및 MS OS/2 버전 1.x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윈도우 XP MS-DOS 하위 시스템의 일부분으로 남아있다.[2] 그러나 윈도우 XP 64비트 에디션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3] 더 새로운 윈도우 운영 체제의 명령 인터프리터에서도 사용할 수 없다.참조
[1]
서적
Running MS-DOS Version 6.22 (20th Anniversary Edition), 6th Revised edition
Microsoft Press
2003
[2]
문서
MS-DOS subsystem commands
https://docs.microso[...]
[3]
문서
Windows Commands | Microsoft Docs
https://docs.micros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