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C 17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GC 174는 윌리엄 허셜이 발견한 은하이다. 허셜은 이 은하를 "희미하고 작으며, 약간 뻗어 있으며, 몇몇 밝은 별들 사이에 있다"고 묘사했으며, 후에 존 루이스 에밀 드레이어가 신판 일반 목록(NGC)에 등록했다. 겉보기 등급이 약 14등급으로 매우 어두워 망원경으로만 관측할 수 있으며, 허블 순차를 사용하면 G형으로 분류된다. 적색편이와 허블의 법칙을 통해 태양계에서 약 1억 5,9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대나선은하 - 우리 은하
태양계가 속한 막대나선은하인 우리 은하는 은하수라고도 불리며 중심핵, 나선팔, 헤일로로 구성되어 2,000억~4,000억 개의 별을 포함하고 주변 은하를 흡수하며 성장하고, 안드로메다 은하와 충돌하여 합쳐질 가능성이 있다. - 막대나선은하 - 메시에 109
메시에 109는 큰곰자리에 있는 막대 나선 은하로, 메시에 목록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M109 그룹의 가장 밝은 은하이고, 위성 은하를 거느리고 있으며 초신성 SN 1956A가 관측되었다. - 렌즈형은하 - 센타우루스자리 A
센타우루스자리 A는 지구에서 먼지 띠가 겹쳐 보이는 특이 은하로, 전파, X선, 감마선 방출이 확인되었으며, 은하 합병으로 추정되는 기묘한 형태와 중심 블랙홀 제트가 특징적인 천문학 연구 대상이다. - 렌즈형은하 - 정상렌즈형은하
정상렌즈형은하는 렌즈형은하의 한 종류로, 나선팔이 뚜렷하지 않지만 중심 팽대부와 원반 구조를 가진 은하이다. - NGC 천체 - 마이아 (항성)
마이아는 황소자리에 위치하며 플레이아데스 자매의 이름을 딴 별로, 특정 원소 과잉과 흑점 활동에 의한 밝기 변화를 보이며 반사 성운에 둘러싸여 맨눈으로도 관측 가능한 항성이다. - NGC 천체 - 게 성운
게 성운은 1054년 초신성 SN 1054의 잔해로, 중심부의 게 성운 펄서가 에너지 방출을 통해 성운의 팽창과 싱크로트론 복사를 일으키는 황소자리의 산광성운이다.
| NGC 174 | |
|---|---|
| 기본 정보 | |
![]() | |
| 고유 식별 번호 | NGC 174 |
| 기타 명칭 | ESO 411- G 001 PGC 2206 MCG -05-02-028 2MASX J00365892-2928403 2MASXi J0036589-292840 IRAS 00345-2945 IRAS F00345-2945 ESO-LV 4110010 6dF J0036589-292840 |
| 별자리 | 조각가자리 |
| 적경 (J2000) | 00시 36분 58.9초 |
| 적위 (J2000) | -29도 28분 40초 |
| 형태 | 렌즈형은하 또는 막대나선은하 / SB0/a?(rs) |
| 겉보기 등급 | +13.62 |
| 크기 | 1.4' × 0.6' |
| 거리 정보 | |
| 적색 편이 | 0.011905 |
| 거리 | 1억 5900만 광년 |
2. 관측 역사
윌리엄 허셜은 이 은하를 발견했을 때 "희미하고 작으며, 약간 뻗어 있으며, 몇몇 밝은 별들 사이에 있다"고 기록했다. 이후 두 차례 더 관측한 뒤 PGC 2206과 일치하는 정확한 위치를 기록했고, 따라서 두 천체는 같은 것으로 간주된다.[4]
2. 1. 허셜의 관측
윌리엄 허셜은 이 은하를 발견했을 때, "희미하고 작으며, 약간 뻗어 있으며, 몇몇 밝은 별들 사이에 있다"고 기록했다. 두 번째와 세 번째 관측 후 그는 PGC 2206과 일치하는 정확한 위치를 기록했다. 따라서 두 천체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4] 이 은하는 나중에 존 루이스 에밀 드레이어에 의해 신판 일반 목록(NGC)에 등록되었으며, 허셜의 원래 기록이 거의 그대로 사용되어 "극도로 희미하고, 작으며, 매우 약간 뻗어 있으며, 밝은 별들 사이에 있다"고 묘사되었다.[3]2. 2. 신판 일반 목록 등록
존 루이스 에밀 드레이어는 신판 일반 목록(NGC)에 이 은하를 등록하면서 허셜의 기록("극도로 희미하고, 작으며, 매우 약간 뻗어 있으며, 밝은 별들 사이에 있다")을 거의 그대로 사용했다.[3]3. 특징
이 은하는 겉보기 등급이 약 14등급으로 매우 어둡게 보여 망원경으로만 관측할 수 있다. 적색편이와 허블의 법칙을 사용하면 태양계에서 약 1억 5,900만 광년 떨어져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7]
3. 1. 겉보기 등급
이 은하는 겉보기 등급이 약 14등급으로 하늘에서 매우 희미하게 보이며, 따라서 망원경으로만 관측할 수 있다.[5] 허블 시퀀스를 사용하여 G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5]3. 2. 허블 순차 분류
허블 순차를 사용하면 이 은하는 G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7][5]3. 3. 거리
적색편이와 허블의 법칙을 사용하여 태양계로부터 약 1억 5,900만 광년 떨어져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7][2]참조
[1]
웹사이트
Results for NGC 0174
http://ned.ipac.calt[...]
2016-09-02
[2]
문서
An object's distance from Earth can be determined using [[Hubble's law]]: v=Ho is Hubble's constant (70±5 (km/s)/Mpc). The relative uncertainty Δd/d divided by the distance is equal to the sum of the relative uncertainties of the velocity and v=Ho.
[3]
웹사이트
New General Catalog Objects: NGC 150 - 199
http://cseligman.com[...]
2018-02-12
[4]
웹사이트
astronomy-mall.com/Adventures.In.Deep.Space/NGC%201-7840%20complete.htm
http://www.astronomy[...]
[5]
웹사이트
Revised NGC Data for NGC 174
http://spider.seds.o[...]
2018-02-12
[6]
웹인용
New General Catalog Objects: NGC 150 - 199
http://cseligman.com[...]
2018-02-12
[7]
웹인용
Revised NGC Data for NGC 174
http://spider.seds.o[...]
2018-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