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PC-704함 57용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C-704함 57용사는 6.25 전쟁 중 동해 경비 작전, 원산 전진 기지 개척 작전 등에서 활약하다가 원산 해역에서 기뢰에 접촉하여 침몰한 PC-704함의 57명의 전사자를 기리는 내용이다. 국가보훈처는 이들을 8월의 6.25 전쟁영웅으로 선정했으며, 해군 제1함대사령부는 매년 추모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잠수함전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서남쪽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 천안함이 침몰하여 46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으로, 민군 합동조사단은 북한의 어뢰 공격을 원인으로 발표했으나, 여러 의혹과 논란이 지속되며 남북한 간 군사적 긴장 고조의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되고 정부 대응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잠수함전 - 붉은 10월
    톰 클랜시의 데뷔 소설인 붉은 10월은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소련 해군 잠수함 함장의 미국 망명 계획을 그린, 군사 기술 묘사가 특징적인 작품이며, 레이건 대통령의 극찬과 대규모 마케팅으로 베스트셀러가 되어 테크노 스릴러 장르를 주류로 이끌었다.
  • 대한민국의 해군사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서남쪽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 천안함이 침몰하여 46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으로, 민군 합동조사단은 북한의 어뢰 공격을 원인으로 발표했으나, 여러 의혹과 논란이 지속되며 남북한 간 군사적 긴장 고조의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되고 정부 대응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대한민국의 해군사 - 남조선해안경비대
    남조선해안경비대는 1945년 미군정청에 의해 해방병단으로 창설되어 1946년 해안경비대로 승격된 대한민국 해군의 전신으로, 주요 해안 도시에 기지를 두고 미국과 일본 해군 잔여 함정을 운용하며 해안 방위 임무를 수행하다 1948년 대한민국 해군으로 개편되었으며 손원일이 초대 지휘관을 역임했다.
  • 백령도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서남쪽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 천안함이 침몰하여 46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으로, 민군 합동조사단은 북한의 어뢰 공격을 원인으로 발표했으나, 여러 의혹과 논란이 지속되며 남북한 간 군사적 긴장 고조의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되고 정부 대응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백령도 -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는 선캄브리아기 백령층군의 장촌층에서 발견되는 대규모 단층 및 습곡 구조로, 고생대 말에서 중생대 초 지각변동의 결과로 횡압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한반도 지각 발달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PC-704함 57용사
군함 정보
이름지리산
함종구잠함
함번PC-704
하와이안에 정박해 있는 PC-704 지리산함의 사진
하와이안에 정박해 있는 PC-704 지리산함의 사진
제작자Consolidated Iron Works, Portland, Oregon
운영자
지휘관이태영
기공1943년 11월 8일
진수1944년 1월 15일
취역1944년 7월 24일
1949년 9월 대한민국이 구입
배수량280 t(lt), 450 t(fl)
전장173 ft (53 m)
선폭23 ft (7.0 m)
흘수10 ft 10 in (3.3 m)
추진2축, 2 x 2,560bhp Hooven-Owen-Rentschler RB-99DA 디젤엔진
속력20.2 노트
정원65명
무장Mk-22 76mm/50 단장함포 x1, Mk-10 헷지호그 x1, Mk-1 40mm/56 단장포 x1, Mk-4 20mm/70 단장기괸포 x2, rocket launchers x2, 폭뢰
기타 정보
관련 정보6·25 야간경비 중 전원 전사한 지리산함 57용사, 12월 호국인물

2. 지리산함의 제원 및 건조 배경

3. 6.25 전쟁 참전 및 주요 작전

3. 1. 동해 경비 작전 (작전명: 28작전)

3. 2. 원산 전진 기지 개척 작전

1950년 10월 18일, YMS-516정은 PC-704함 및 YMS-510정과 함께 원산 전진 기지 설치와 미 10군단의 원산 상륙 지원을 위한 해로 개척 임무를 수행했다. 해군본부의 명령에 따라, YMS-516정은 장전항을 출발하기 전 육로로 원산에 가서 원산 해역 기뢰 부설에 참여했던 사람을 찾아내 안전 항해 코스를 확인한 뒤, 해안 가까운 항로를 따라 한국 함정 최초로 원산항에 무사히 도착했다. 당시 YMS-516정 정장 전철웅 소령은 "해군에 들어와서 처음으로 죽을 결심을 하였다"고 회고하며, 항로의 왼쪽은 해안, 오른쪽은 기뢰원이었던 위험한 상황 속에서 임무를 수행했음을 증언했다.

PC-704함 함장 현시학 소령은 YMS-516정 침몰 당시 상황에 대해, PC-704함이 고저(庫底)에서 수로를 잘 아는 민간인을 태워 연안을 따라 원산항에 무사히 들어갔으며, 이후 미군 95선견부대장 스미스 제독의 지시에 따라 YMS-516정, YMS-510정 등과 함께 단종진으로 이동하던 중 YMS-516정이 기뢰에 접촉하여 침몰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YMS-516정이 나가기를 꺼려해 재촉해서 나갔다고 덧붙였다.

YMS-516정 침몰 이후, 현시학 소령은 미군 기함에 가서 스미스 제독에게 소해 완료 여부에 대해 항의하고 소해 장치 장착을 강력하게 요청했으며, 손원일 제독에게도 소해 장치의 필요성을 전보로 알렸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이후 한국 해군 소해정들이 사세보에서 소해 장치를 장착하게 되었다.

4. 지리산함 침몰 사건

4. 1. 침몰 경위

4. 2. 승조원 피해 상황

4. 2. 1. 사망자 명단


  • 이태영 중령
  • 권순달 중령
  • 김하근 소령
  • 안우섭 중위
  • 박찬익 중위
  • 천세봉 준위
  • 하윤만 상사
  • 백명흠 상사
  • 최수한 상사
  • 고재돈 상사
  • 정상관 상사
  • 이봉조 상사
  • 임승두 상사
  • 강남주 중사
  • 김인제 중사
  • 윤종수 중사
  • 백윤봉 중사
  • 안복석 중사
  • 박호경 하사
  • 이태읍 하사
  • 최준우 하사
  • 임선웅 하사
  • 김찬석 하사
  • 이몽길 하사
  • 이상조 하사
  • 신조근 하사
  • 조영구 하사
  • 정학상 하사
  • 오경두 하사
  • 정태용 하사
  • 정승면 하사
  • 이판동 하사
  • 김성안 하사
  • 김석준 하사
  • 김경태 하사
  • 박근수 하사
  • 이의수 하사
  • 김태훈 하사
  • 김서용 하사
  • 김영대 하사
  • 김경옥 하사
  • 손봉수 하사
  • 이창용 하사
  • 이영두 하사
  • 김정태 하사
  • 이봉춘 상병
  • 이귀익 상병
  • 전기석 상병
  • 정휘두 상병
  • 민상기 상병
  • 박인식 상병
  • 김옥근 상병
  • 김희곤 상병
  • 노동우 상병
  • 최삼천 상병
  • 이영복 일병

5. 사건의 영향 및 교훈

5. 1. 해군 전력 강화의 계기

5. 2. 안전 의식 강화

6. 추모 및 기억

국가보훈처는 열악한 함모환경과 장비에도 불구하고 1950년 7월 전선에 투입된 이후 동·서해안 최전방에서 인천 상륙 작전, 동해경비작전, 원산전진기치 개척작전 등 수많은 작전을 수행하던 중 원산해역에서 적의 기뢰접촉으로 장렬히 모두 전사한 지리산함 57용사를 8월의 6.25전쟁영웅으로 선정하였다.[7] 해군 제1함대사령부는 57용사의 숭고한 희생과 넋을 기리는 추모 행사를 매년 12월 26일 강원도 강릉시 통일공원에 있는 지리산함 전사자 충혼탑에서 개최하고 있다.[7]

6. 1. 추모 행사

국가보훈처는 열악한 함모환경과 장비에도 불구하고 1950년 7월 전선에 투입된 이후 동·서해안 최전방에서 인천 상륙 작전, 동해경비작전, 원산전진기치 개척작전 등 수많은 작전을 수행하던 중 원산해역에서 적의 기뢰접촉으로 장렬히 모두 전사한 지리산함 57용사를 8월의 6.25전쟁영웅으로 선정하였다.[7] 해군 제1함대사령부는 57용사의 숭고한 희생과 넋을 기리는 추모 행사를 매년 12월 26일 강원도 강릉시 통일공원에 있는 지리산함 전사자 충혼탑에서 개최하고 있다.[7]

6. 2. 6.25 전쟁 영웅 선정

국가보훈처는 열악한 함모환경과 장비에도 불구하고 1950년 7월 전선에 투입된 이후 동·서해안 최전방에서 인천상륙작전, 동해경비작전, 원산전진기치 개척작전 등 수많은 작전을 수행하던 중 원산해역에서 적의 기뢰접촉으로 장렬히 모두 전사한 지리산함 57용사를 8월의 6.25전쟁영웅으로 선정하였다.[7] 해군 제1함대사령부는 57용사의 숭고한 희생과 넋을 기리는 추모 행사를 매년 12월 26일 지리산함 전사자 충혼탑(강원도 강릉시 통일공원 소재)에서 개최하고 있다.[7]

6. 3. 관련 자료

참조

[1] 웹인용 해군 최초 전투함 <백두산급 PC 초계함> https://bemil.chosun[...]
[2] 웹인용 6·25 야간경비 중 전원 전사한 지리산함 57용사, 12월 호국인물 https://www.yna.co.k[...]
[3] 웹인용 6·25 야간경비 중 전원 전사한 지리산함 57용사, 12월 호국인물 https://www.yna.co.k[...]
[4] 웹인용 대한민국 해군 https://www.navy.mil[...]
[5] 서적 6.25 전쟁과 한국해군 작전
[6] 서적 6.25전쟁과 한국해군 작전
[7] 웹인용 2020년 8월의 전쟁영웅 지리산함(PC-704함) 57용사 https://blog.naver.c[...]
[8] 서적 6.25전쟁과 한국해군 작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