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YON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ROCYON은 2014년 12월에 발사된 일본의 소형 탐사선이다. 하야부사 2호의 부탑재체로 개발되었으며, 도쿄 대학, JAXA 등 여러 연구 기관이 참여했다. 이온 엔진을 탑재하여 궤도 변경을 시도했으나, 엔진 고장으로 인해 임무에 실패했다. PROCYON은 지구 코로나의 이미지를 포착하고, 혜성의 라이먼 알파 방출을 관측하는 등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발사한 우주선 - 창어 5호 T1
창어 5호 T1은 창어 5호 귀환 캡슐의 스킵 재진입 기술 시험을 위해 발사된 중국의 달 탐사 임무로, 최초 상업적 달 탐사 임무인 4M을 통해 탐사선 위치 파악, 방사선량 측정, 방사능 노출 실험 등을 수행했으며, 3단계 로켓은 달에 충돌했다. - 2014년 발사한 우주선 - 히마와리 8호
히마와리 8호는 일본 기상청이 운용하며 동아시아와 서태평양 지역의 기상 관측, 태풍 및 집중호우 감시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정지 기상 위성이다. - H-II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아리랑 3호
아리랑 3호는 한국항공우주산업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국제협력을 통해 개발한 70cm급 고해상도 광학장비 탑재 지구관측위성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상용화되었으며 2012년 일본에서 발사되었다. - H-II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IKAROS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개발한 IKAROS는 세계 최초의 태양 돛 추진 방식 탐사선으로, 태양 복사압을 이용한 우주 항해 기술 실증을 목표로 금성 플라이바이에 성공하며 행성 간 항해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 2014년 일본 - 제2차 아베 신조 내각
2012년 자유민주당의 총선 압승으로 아베 신조를 수반으로 출범한 제2차 아베 신조 내각은 아베노믹스 추진, 외교 및 안보 강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으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논란, 역사 인식 문제, TPP 협상, 소비세 인상 등 여러 논란과 과제에 직면했다. - 2014년 일본 -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아베 신조가 재선 후 출범한 제3차 아베 신조 내각은 아베노믹스 심화와 헌법 개정을 주요 목표로 정책 변화를 모색하며 경제, 외교, 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들을 추진했으나 여러 비판에 직면했다.
| PROCYON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PROCYON (프로키온) |
| 임무 유형 | 소행성 근접 통과, 기술 데모 |
| 운영 기관 | 도쿄 대학 / JAXA |
| COSPAR ID | 2014-076D |
| 웹사이트 | PROCYON (도쿄 대학 사이트) |
| 임무 기간 | 알 수 없음 |
| 이동 거리 | 알 수 없음 |
| 제조업체 | 알 수 없음 |
| 발사 질량 | 총: 약 67 kg |
| 착륙 질량 | 알 수 없음 |
| 건조 질량 | 약 64.5 kg |
| 탑재 질량 | 알 수 없음 |
| 크기 | 약 0.55 x 0.55 x 0.67 m |
| 전력 | 25 W |
| 발사 정보 | |
| 발사일 | 2014년 12월 3일, 04:22 UTC |
| 발사 로켓 | H-IIA 202 |
| 발사 장소 | LA-Y,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
| 마지막 교신 | 2015년 12월 3일 |
| 행성 간 비행 정보 (지구) | |
| 유형 | 근접 통과 |
| 천체 | 지구 |
| 도착 날짜 | 2015년 12월 3일 |
| 거리 | 알 수 없음 |
| 행성 간 비행 정보 (2000 DP107) | |
| 유형 | 근접 통과 |
| 천체 | (185851) 2000 DP107 |
| 궤도 | 알 수 없음 |
| 도착 날짜 | 예정: 2016년 |
| 출발 날짜 | 알 수 없음 |
| 근지점 | 알 수 없음 |
| 원지점 | 알 수 없음 |
| 궤도 경사 | 알 수 없음 |
| 궤도 긴반지름 | 알 수 없음 |
| 착륙 정보 | |
| 착륙 날짜 | 알 수 없음 |
| 착륙 장소 | 알 수 없음 |
| 프로그램 정보 | |
| 프로그램 | 알 수 없음 |
| 이전 임무 | Hodoyoshi 4 |
| 다음 임무 | EQUULEUS |
| 비용 | |
| 비용 | ¥5억 엔 |
| 우주선 특징 | |
| 위성 버스 | 알 수 없음 |
| 본체 크기 | 전체 길이 55 cm, 전체 폭 55 cm, 전체 높이 63 cm |
| 최대 크기 | 알 수 없음 |
| 질량 | 64.5 kg |
| 발생 전력 | 240 W 이상 |
| 주요 추진 장치 | 이온 엔진, 콜드 가스 제트 |
| 자세 제어 방식 | 반작용 휠 4개 |
| 탑재 장비 | |
| 탑재 장비 이름 1 | LAICA |
| 탑재 장비 설명 1 | 지구 코로나 관측용 라이먼-알파선 카메라 |
2. 역사와 제작 배경
2009년 하야부사 2호의 탑재체로 제안되어 일본 의회가 하야부사 2호와 함께 개발을 승인했다.[11][12] PROCYON은 대형 탐사선에 비해 무게가 한 자릿수 이상 가볍고 비용은 두 자릿수나 작은 세계 최소형 심우주 탐사선으로 개발되었다. 주요 개발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초소형 심우주 탐사선 버스 기술(전원, 통신, 자세 제어, 추진계 등) 실증
- 질화 갈륨(GaN)을 이용한 고효율 X대역 전력 증폭기 통신 기술 실증
- 심우주 초장기선 전파 간섭법(VLBI) 항행 실험
- 초근접 플라이바이 촬영 기술 등 심우주 탐사 기술 실증
개발에는 도쿄 대학, JAXA, ISAS를 비롯한 여러 연구 기관이 참여했으며, 주요 역할 분담은 다음과 같다.
| 분야 | 참여 기관 |
|---|---|
| 자세 제어계, 추진계 | 도쿄 대학, ISAS |
| 데이터 처리계 | 도쿄 이과대학 |
| 태양 전지 패들 전개 기구 | 니혼 대학, 위성 기술 협력 기구 |
| 미션계 | 도쿄 대학, 릿쿄 대학, 메이세이 대학 |
| 열 처리 | 도쿄 대학, ISAS, 홋카이도 대학 |
PROCYON은 전장 55cm, 전폭 55cm, 전고 63cm (자료에 따라 67cm), 무게 64.5kg의 소형 탐사선이다. 크기는 작지만 궤도 변경을 위한 이온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 이 이온 엔진은 설계 당시 추력이 250 µN이었으나 실제로는 이를 넘어서는 330 µN에 달했다. 하지만 2015년 3월 10일에 고장났다. 탐사선의 전원은 태양 전지 패널 (3접합 GaAs 셀)과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사용한다.
개발 완료 후 2014년 11월 30일 H-IIA로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에서 발사될 예정이었으나,[13][14][15] 악천후로 연기되었다. 2014년 12월 3일 H-IIA로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에서 발사되었다.[16][17][18][19][20][21]
PROCYON은 하야부사 2호 소행성 착륙 탐사선과 함께 부탑재체로 발사되었다.[3] 하야부사 2호가 정상 작동하는 것을 확인한 후 분리되어[9][22][23] 태양 중심 궤도에 진입했다.[3] 탐사선의 목표는 2000 DP107 소행성이었다.[9][22][23]
PROCYON은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의 전체적인 코마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라이먼 알파 방출을 관측했다.[7] 또한 지구 코로나의 첫 번째 완전한 이미지를 포착하여, 처음으로 북-남 대칭성을 확인했다.[8]
PROCYON은 초소형 심우주 탐사선 버스 기술의 궤도상 실증에 성공했다. 당초 소행성 2000 DP107에 접근하여 플라이바이 관측을 수행할 계획이었으나, 이온 엔진의 추력 문제로 인해 목표 달성에는 실패했다. 이후 과학 관측 및 지구 최접근을 위한 지구와 달 촬영 등의 운용을 지속하다가 2015년 12월 3일 통신이 두절되었다.
개발을 주도한 후나세 류 준교수(당시) 등 도쿄 대학 연구 그룹은 "세계 최초의 초소형 심우주 탐사선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헤이세이 29년(2017년)도 과학기술 분야 문부과학대신 표창 과학기술상(연구 부문)을 수상했다.
3. 구조
4. 발사
5. 임무 개요 및 실패
2015년 2월 22일, 이온 엔진이 가동되었다. 이는 2015년 12월로 예정된 지구 스윙바이를 통해 탐사선을 목표 소행성 2000 DP107으로 유도하기 위한 궤도 조정 목적이었다.[3] 초기 결과는 긍정적이어서, 엔진은 설계 추력인 250 μN을 넘어 330 μN의 추력을 냈다.[3] 그러나 2015년 3월 10일, 이온 엔진이 고장나 재시동할 수 없게 되었다.[3][24]
이온 엔진 고장으로 인해, PROCYON은 2015년 12월 3일 지구를 통과했지만 계획했던 제어된 궤도 변경, 즉 지구 스윙바이를 수행할 수 없었다.[4] 지구 스윙바이 직후 우주선과의 통신이 두절되었고,[4] 이후 통신 재개가 불가능해졌다. JAXA는 PROCYON 임무가 실패했다고 공식적으로 결론지었다.[25]
6. 과학적 성과
7. 탑재 장비
8. 의의
PROCYON은 대형 탐사선보다 무게는 한 자릿수 이상 가볍고 비용은 두 자릿수 이상 적게 드는 세계 최소형 심우주 탐사선으로 개발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초소형 탐사선 버스 기술(전원, 통신, 자세 제어, 추진계 등)의 우주 실증과 더불어, 질화 갈륨(GaN) 기반 고효율 통신, 초장기선 전파 간섭법(VLBI) 항행, 초근접 플라이바이 촬영 등 새로운 심우주 탐사 기술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가장 큰 의의는 초소형 심우주 탐사선의 핵심인 버스 기술을 실제 궤도에서 성공적으로 실증했다는 점이다. 이온 엔진 문제로 소행성 2000 DP107 플라이바이 관측 목표는 달성하지 못했지만, 저비용 초소형 탐사선을 활용한 심우주 탐사의 기술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도쿄 대학 후나세 류 준교수가 이끄는 연구 그룹은 '세계 최초의 초소형 심우주 탐사선 연구' 업적으로 2017년(헤이세이 29년) 과학기술 분야 문부과학대신 표창 과학기술상(연구 부문)을 수상했다. 이는 PROCYON 프로젝트가 초소형 탐사선 기술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이다.
참조
[1]
웹사이트
プロキオン:小惑星への接近観測断念
http://mainichi.jp/s[...]
2015-05-08
[2]
웹사이트
Very Small Probe PROCYON Cruising Toward a Binary Asteroid
http://senews.jp/sat[...]
2015-04-07
[3]
웹사이트
Low-thrust trajectory design and operations of PROCYON, the first deep-space micro spacecraft
http://issfd.org/201[...]
[4]
웹사이트
On the situation of ultra small deep space explorer "PROCYON (Proquion)"
http://www.isas.jaxa[...]
2018-03-23
[5]
웹사이트
50kg- class Deep Space Exploration Technology Demonstration Micro-spacecraft PROCYON
http://digitalcommon[...]
digitalcommons.edu
[6]
웹사이트
超小型深宇宙探査機 PROCYON(プロキオン)
http://www.space.t.u[...]
2015-05-14
[7]
웹사이트
Micro spacecraft investigates cometary water mystery
http://www.nao.ac.jp[...]
National Astronomical Observatory of Japan
2017-01-26
[8]
논문
Ecliptic North-South Symmetry of Hydrogen Geocorona
2017-11-09
[9]
웹인용
プロキオン:小惑星への接近観測断念
http://mainichi.jp/s[...]
2015-05-08
[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enews.jp/sat[...]
2015-04-07
[11]
웹인용
Hayabusa2 will seek the origins of life in space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10-11-17
[12]
뉴스
Asteroid probe, rocket get nod from Japanese panel
http://www.spaceflig[...]
Spaceflight Now
2012-10-29
[13]
문서
JAXA Report on Hayabusa2, May 21st, 2014
https://science.nasa[...]
[14]
저널
Spectral characteristics of Hayabusa 2 near-Earth asteroid targets 162173 1999 JU3 AND 2001 QC34
http://iopscience.io[...]
2008-02-25
[15]
웹인용
http://ae86.eng.isas[...]
2011-02-20
[16]
웹인용
Hayabusa2: Japan's 2nd Asteroid Sample Mission
https://www.space.co[...]
2018-09-13
[17]
뉴스
Hayabusa2 launches on audacious asteroid adventure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now
2014-12-03
[18]
웹인용
JAXA - Launch of "Hayabusa2" by H-IIA Launch Vehicle No. 26
http://global.jaxa.j[...]
[19]
웹인용
JAXA Launches Hayabusa 2 Asteroid Probe
https://www.nec.com/[...]
2018-09-12
[20]
웹인용
JAXA - Hayabusa2 Earth Swing-by Result
http://global.jaxa.j[...]
[21]
뉴스
Hayabusa2 launches on audacious asteroid adventure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now
2014-12-03
[2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enews.jp/sat[...]
2015-04-07
[23]
웹인용
Low-thrust trajectory design and operations of PROCYON, the first deep-space micro spacecraft
http://issfd.org/201[...]
[24]
웹인용
On the situation of ultra small deep space explorer "PROCYON (Proquion)"
http://www.isas.jaxa[...]
2018-03-23
[25]
웹인용
On the situation of ultra small deep space explorer "PROCYON (Proquion)"
http://www.isas.jaxa[...]
2018-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