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R B1620-2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SR B1620-26은 구상 성단 M4의 중심부에서 발견된 삼중 항성계이다. 이 시스템은 펄서 PSR B1620-26 A, 백색 왜성 PSR B1620-26 B, 그리고 외계 행성 PSR B1620-26 b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122억 년의 나이를 가지고 있다. PSR B1620-26 b는 1990년대 초 도플러 효과를 통해 발견되었으며, 질량은 목성의 약 2.5배, 궤도 긴반지름은 약 23 천문 단위, 공전 주기는 약 36,500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중성 행성계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계인 삼중성계로, 태양과 유사한 황색 왜성 A(리길 켄타우루스)와 A보다 작고 어두운 오렌지색 왜성 B(톨리만), 그리고 멀리 떨어져 중력적으로 연결된 적색 왜성 C(프록시마 센타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위를 도는 두 개의 행성이 확인되었다. - 다중성 행성계 -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 게자리 55 A와 적색 왜성 게자리 55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55 A는 중원소 함량이 높고 최소 5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안쪽 행성인 게자리 55 e는 슈퍼 지구로 분류된다. - 펄사 - 게성운 펄사
게 성운 펄서는 게 성운 중심에 있는 중성자별로, 빠른 자전과 전자기파 방출, 펄서의 본질 증명, 게 성운 구동 에너지원, 감속 한계 초월, 초고에너지 우주선 원천 가능성, 그리고 정확한 거리 측정으로 우주 거리 척도에 기여하는 천체이다. - 펄사 - 쌍성 펄사
쌍성 펄사는 두 별이 서로를 공전하는 펄사 시스템으로, 헐스-테일러 쌍성 펄서 연구를 통해 중력파 증거를 간접적으로 제공하고 일반 상대성 이론을 검증하는 데 기여하며, 중간 질량 쌍성 펄서는 다양한 효과를 나타낸다. - 백색왜성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백색왜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PSR B1620-26 | |
---|---|
기본 정보 | |
![]() | |
별자리 | 전갈자리(M4) |
거리 | 12,400 광년/(3,800 pc) |
겉보기 등급 | +24.0 |
가시광 등급 | 21.30 |
절대 등급 | 11.1 |
고유 명칭 | PSR J1623-2631 |
기타 명칭 | PSR B1620-26 A PSR J1623-2631 CX 12 16:23:38.22−23:31:53.8 J2000 16:23:38.24−26:31:53.9 ICRS 2000 |
펄서 정보 (PSR B1620-26) | |
종류 | 펄서 |
질량 | 1.35 M☉ |
반지름 | 0.00003 |
반지름 (km) | 20.85 |
표면 온도 | ≤ 30,000 |
나이 | 122억 년 |
백색 왜성 정보 (WD B1620-26) | |
종류 | DB |
질량 | 0.34 M☉ |
반지름 | 0.01 |
반지름 (km) | 6,950 |
표면 온도 | ≤ 25,200 |
나이 | 122억 년 |
2. 역사
이 쌍성계(준항성 동반성을 포함하면 '삼중')는 구상 성단의 중심부 바로 바깥에 위치해 있으며, 성단의 나이는 약 122억 년으로 추정된다.[4] 따라서 이는 행성과 두 별의 탄생 연도 추정치이다.
PSR B1620-26b는 도플러 효과를 통해 발견되었다. 1990년대 초, 도널드 배커 등은 쌍성 펄서로 생각했던 천체를 연구하던 중, 도플러 이동을 설명하기 위해 세 번째 천체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몇 년 안에 펄서와 백색 왜성을 공전하는 행성의 중력 효과가 측정되었고, 그 질량이 별로서는 너무 작은 값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세 번째 천체가 행성이라는 결론은 1993년 스테판 소셋 등에 의해 발표되었다.
2. 1. 명칭 논쟁
이 별 시스템에 사용해야 할 적절한 명명 규칙에 대해 작은 논쟁이 있다. 한쪽에서는 이중성을 명명하는 A/B 규칙이 우선한다고 보아 펄서를 PSR B1620-26 A, 백색 왜성 동반성을 PSR B1620-26 B, 행성을 PSR B1620-26 c로 명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른 쪽에서는 PSR이 펄서인 별에만 적용된다고 간주하여 펄서를 PSR B1620-26, 백색 왜성을 "WD J1623-266", 행성을 "PSR B1620-26 b"로 명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초기 논문에서는 첫 번째 표기법을 사용했지만, 별 목록에서는 두 번째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다.[5][6] 가장 최근 제안에서는 이중성계의 내부 별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괄호 안에 대문자 '''A'''와 '''B'''를 포함하고, 외부 행성 동반성을 나타내는 이탤릭체 소문자 '''b'''가 뒤따르는 '''PSR B1620-26 (AB)b'''와 같은 명명법을 제공한다.[7] 실제로는 문맥에 따라 펄서, 백색 왜성, 행성 또는 시스템 전체를 지칭하는지 명확해진다.3. 구성 천체
PSR B1620-26는 펄서 PSR B1620-26 A, 백색왜성 PSR B1620-26 B, 외계 행성 PSR B1620-26 b로 구성된 삼중성계이다. 이들은 구상 성단 M4의 중심부 바깥쪽에 위치해 있다.
이 별 시스템에 사용해야 할 명명 규칙에 대해서는 약간의 논쟁이 있다. 한쪽에서는 이중성을 명명하는 A/B 규칙을 우선하여 펄서를 PSR B1620-26 A, 백색 왜성을 PSR B1620-26 B, 행성을 PSR B1620-26 c로 명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른 쪽에서는 PSR 명칭이 펄서에만 적용된다고 보고, 백색 왜성은 WD 표기법을 사용하여 펄서를 PSR B1620-26, 백색 왜성을 WD J1623-266, 행성을 PSR B1620-26 b로 명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초기 논문에서는 전자의 표기법을 사용했지만, 별 목록에서는 후자의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다.[5][6] 가장 최근 제안에서는 이중성계의 내부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괄호 안에 대문자 A와 B를 포함하고, 외부 행성 동반성을 나타내는 이탤릭체 소문자 b를 덧붙여 PSR B1620-26 (AB)b와 같이 명명하는 방식을 제시한다.[7] 실제로는 문맥에 따라 펄서, 백색 왜성, 행성 또는 시스템 전체 중 무엇을 지칭하는지 명확해진다.
3. 1. 펄서 PSR B1620-26 A
구상 성단의 중심부 바로 바깥에 위치한 쌍성계(준항성 동반성을 포함하면 '삼중')의 나이는 약 122억 년으로 추정된다.[4] 따라서 이는 행성과 두 별의 탄생 연도 추정치이다.이 특이한 별 시스템에 사용해야 할 적절한 명명 규칙에 대한 작은 논쟁이 있다. 한쪽에서는 이중성을 명명하는 A/B 규칙이 우선한다고 보아 펄서를 PSR B1620-26 A, 백색 왜성 동반성을 PSR B1620-26 B, 행성을 PSR B1620-26 c로 명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른 쪽에서는 PSR이 펄서인 별에만 적용된다고 간주하여 백색 왜성은 WD 표기법을 사용하여 펄서를 PSR B1620-26, 백색 왜성을 "WD J1623-266", 행성을 "PSR B1620-26 b"로 명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초기 논문에서는 첫 번째 표기법을 사용했지만, 별 목록에서는 두 번째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다.[5][6] 가장 최근 제안[7]에서는 이중성계의 내부 별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괄호 안에 대문자 '''A'''와 '''B'''를 포함하고, 외부 행성 동반성을 나타내는 이탤릭체 소문자 '''b'''가 뒤따르는 '''PSR B1620-26 (AB)b'''와 같은 명명법을 제공한다. 실제로는 문맥에 따라 펄서, 백색 왜성, 행성 또는 시스템 전체를 지칭하는지 명확해진다.
3. 2. 백색왜성 PSR B1620-26 B (WD J1623-266)
쌍성계(준항성 동반성을 포함하면 '삼중')는 구상 성단의 중심부 바로 바깥에 위치해 있다. 성단의 나이는 약 122억 년으로 추정된다.[4] 따라서 이것은 행성과 두 별의 탄생 연도 추정치이다.이 특이한 별 시스템에 사용해야 할 적절한 명명 규칙에 대한 작은 논쟁이 있다. 한쪽에서는 이중성을 명명하는 A/B 규칙이 우선한다고 보아 펄서를 PSR B1620−26 A, 백색 왜성 동반성을 PSR B1620−26 B, 행성을 PSR B1620−26 c로 명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른 쪽에서는 PSR이 펄서인 별에만 적용된다고 간주하여 백색 왜성은 WD 표기법을 사용하여 펄서를 PSR B1620−26, 백색 왜성을 "WD J1623−266", 행성을 "PSR B1620−26 b"로 명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초기 논문에서는 첫 번째 표기법을 사용했지만, 별 목록에서는 두 번째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다.[5][6] 가장 최근 제안[7]에서는 이중성계의 내부 별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괄호 안에 대문자 '''A'''와 '''B'''를 포함하고, 외부 행성 동반성을 나타내는 이탤릭체 소문자 '''b'''가 뒤따르는 '''PSR B1620−26 (AB)b'''와 같은 명명법을 제공한다. 실제로는 문맥에 따라 펄서, 백색 왜성, 행성 또는 시스템 전체를 지칭하는지 명확해진다.
백색 왜성의 질량은 0.34 태양 질량이며, 펄서 동반성과 55°의 궤도 경사각으로 191일 주기로 공전한다.[8]
3. 3. 외계 행성 PSR B1620-26 b
PSR B1620-26 b는 구상 성단 M4의 중심부 바깥에 위치한 쌍성계(준항성 동반성을 포함하면 삼중성계)의 구성원이다. 이 성단의 나이는 약 122억 년으로 추정되므로,[4] 행성 및 두 별의 탄생 연도 역시 이와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이 특이한 별 시스템에 사용해야 할 명명 규칙에 대해서는 약간의 논쟁이 있었다. 한쪽에서는 쌍성계를 명명하는 A/B 규칙을 우선하여 펄서를 PSR B1620-26 A, 백색 왜성 동반성을 PSR B1620-26 B, 행성을 PSR B1620-26 c로 명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른 쪽에서는 PSR 명칭이 펄서에만 적용된다고 보고, 백색 왜성은 WD 표기법을 사용하여 펄서를 PSR B1620-26, 백색 왜성을 WD J1623-266, 행성을 PSR B1620-26 b로 명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초기 논문에서는 전자의 표기법을 사용했지만, 별 목록에서는 후자의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다.[5][6] 가장 최근 제안에서는 이중성계의 내부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괄호 안에 대문자 A와 B를 포함하고, 외부 행성 동반성을 나타내는 이탤릭체 소문자 b를 덧붙여 PSR B1620-26 (AB)b와 같이 명명하는 방식을 제시한다.[7] 실제로는 문맥에 따라 펄서, 백색 왜성, 행성, 또는 시스템 전체 중 무엇을 지칭하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다.
3. 3. 1. 발견
PSR B1620-26 b는 이 행성이 공전하는 별(이 경우, 펄서의 겉보기 맥동 주기의 변화)의 신호에 궤도가 유도하는 도플러 이동을 통해 감지되었다.
1990년대 초, 도널드 백커가 이끄는 천문학자 그룹은 이중 펄서라고 생각했던 것을 연구하다가, 관찰된 도플러 이동을 설명하기 위해 세 번째 천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몇 년 안에, 펄서와 백색 왜성의 궤도에 대한 행성의 중력 효과가 측정되었고, 세 번째 천체의 질량 추정치는 별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작았다. 세 번째 천체가 행성이라는 결론은 1993년 스티븐 소르셋과 그의 동료들에 의해 발표되었다.
3. 3. 2. 특징
백색 왜성은 0.34 태양 질량이며, 펄서 동반성과 55°의 궤도 경사각으로 191일 주기로 공전한다.[8] 나이는 대략 4억 8천만년이다.[9]PSR B1620−26 b는 이 행성이 공전하는 별(이 경우, 펄서의 겉보기 맥동 주기의 변화)의 신호에 궤도가 유도하는 도플러 효과를 통해 감지되었다.
1990년대 초, 도널드 백커가 이끄는 천문학자 그룹은 이중 펄서라고 생각했던 것을 연구하다가, 관찰된 도플러 이동을 설명하기 위해 세 번째 천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몇 년 안에, 펄서와 백색 왜성의 궤도에 대한 행성의 중력 효과가 측정되었고, 세 번째 천체의 질량 추정치는 별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작았다. 세 번째 천체가 행성이라는 결론은 1993년 스티븐 소르셋과 그의 동료들에 의해 발표되었다.
명칭 (별에 가까운 순) | 질량 | 궤도 긴반지름 ( 천문 단위) | 공전 주기 (일) | 궤도 이심률 | 궤도 경사각 | 반지름 |
---|---|---|---|---|---|---|
b | 2.5 ± 1 목성 질량 | 23 | ~36,500 | 낮음 | 55−8+14 |
4. 행성계 형성 가설
PSR B1620-26 b는 이 행성이 공전하는 별(이 경우, 펄서의 겉보기 맥동 주기의 변화)의 신호에 궤도가 유도하는 도플러 이동을 통해 감지되었다.
1990년대 초, 도널드 백커가 이끄는 천문학자 그룹은 이중 펄서라고 생각했던 것을 연구하다가, 관찰된 도플러 이동을 설명하기 위해 세 번째 천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몇 년 안에, 펄서와 백색 왜성의 궤도에 대한 행성의 중력 효과가 측정되었고, 세 번째 천체의 질량 추정치는 별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작았다. 세 번째 천체가 행성이라는 결론은 1993년 스티븐 소르셋과 그의 동료들에 의해 발표되었다.
참조
[1]
encyclopedia
Notes for star PSR B1620-26
https://web.archive.[...]
2011
[2]
journal
Orbital Parameters of the PSR B1620-26 Triple System
1999
[3]
웹사이트
Messier 4 (M4) globular cluster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09
[4]
journal
Reddening, distance modulus and age of the globular cluster NGC 6121 (M4) from the properties of RR Lyrae variables
1985-02
[5]
simbad
PSR B1620-26
[6]
encyclopedia
Notes for Planet PSR B1620−2 b
https://web.archive.[...]
2011
[7]
journal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2010
[8]
journal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PSR B1620−26 Triple System and itItslanet
1999
[9]
journal
A Young White Dwarf Companion to Pulsar B1620-26: Evidence for Early Planet Formation.
2003
[10]
웹사이트
WD J1623-266 at SIMBAD
https://simbad.u-str[...]
[11]
웹사이트
PSR B1620-26 at the Extrasolar Planets Encyclopedia
http://exoplanet.e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