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NP (힙합 크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NP는 1999년 결성된 힙합 크루로, 나우누리 동호회 Dope Soundz에서 파생되었다. 데프콘이 초대 시삽을 맡았으며, Show N Prove의 줄임말인 SNP라는 명칭으로 활동했다. Tragic Temple의 앨범을 시작으로 음반을 자체 제작했으며, 2000년에는 조PD와 DJ Uzi를 디스하는 곡 "노자"를 발표하여 한국 힙합씬에 영향을 미쳤다. 2002년 이후 PC 통신의 쇠퇴와 함께 활동이 중단되었지만, 멤버들 간의 콜라보 활동은 지속되고 있다.

2. 창립과 해체

SNP는 Tragic Temple의 앨범을 시작으로 다수의 앨범을 자체 제작하여 소량 판매하기도 하였다. 2000년에는 4WD와 Verbal Jint가 조PDDJ Uzi를 디스한 "노자"란 곡을 발표하여 파문이 일었는데, 이때 그들이 선보인 다음절 라임은 한국 힙합씬에 신선한 충격이 되었다. 이후 Verbal Jint의 EP '''Modern Rhymes'''와 Defconn의 EP "Straight from tha Streetz" 등을 발표했고, Masterplan을 디스하기도 하였다. 이들의 음악은 라임을 화려하게 꾸미고 가벼운 내용으로 가사를 써내려갔으며, 이후의 힙합씬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후 SNP는 PC 통신의 쇠퇴와 함께 자연스레 모이던 사람들이 흩어져 2002년 이후에는 이들의 이름을 앞세운 활동이 없어졌다.

2. 1. Dope Soundz

SNP의 모태는 나우누리 동호회 '''Dope Soundz'''이다. 1990년대 중반 댄스 동호회 Kick It Up에서 파생된 이 동호회는 래퍼와 칼럼니스트 등을 배출하였으며, BLEX와 함께 대표적인 PC 통신 흑인 음악 동호회였다. BLEX가 자체 앨범을 발매하면서 창작 욕구가 생긴 Dope Soundz의 멤버들 몇몇이 1999년에 따로 나와 자신들만의 창작 및 감상 동호회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SNP이다. 초대 시삽은 Defconn이었으며, 정식 명칭은 '''Show N Prove'''였고, SNP라는 줄임말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2. 2. SNP 결성

SNP의 뿌리는 나우누리 동호회 '''Dope Soundz'''에 있다. 1990년대 중반 댄스 동호회 Kick It Up에서 파생되어 생긴 이 동호회는 많은 래퍼들과 칼럼니스트 등을 배출하였으며, 매니아적인 성격으로 당시의 BLEX와 함께 대표적인 PC 통신 흑인 음악 동호회였다. BLEX가 자체 앨범을 발매하면서 창작에 대한 욕구가 생긴 Dope Soundz의 멤버들 몇몇이 1999년에 따로 나와 자신들만의 창작 및 감상 동호회를 만들었는데, 그것이 SNP이다. 초대 시삽은 Defconn이었으며, 정식 명칭은 '''Show N Prove'''이고 SNP라는 줄임말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2. 3. 활동과 영향

SNP는 나우누리 동호회 '''Dope Soundz'''에서 시작되었다. 1990년대 중반 댄스 동호회 Kick It Up에서 파생된 이 동호회는 래퍼들과 칼럼니스트를 배출하였으며, BLEX와 함께 대표적인 PC 통신 흑인 음악 동호회였다. BLEX가 자체 앨범을 발매하면서 창작에 대한 욕구가 생긴 Dope Soundz의 멤버들 몇몇이 1999년에 따로 나와 자신들만의 창작 및 감상 동호회를 만들었는데, 그것이 SNP이다. 초대 시삽은 Defconn이었으며, 정식 명칭은 '''Show N Prove'''였다.

SNP는 Tragic Temple의 앨범을 시작으로 다수의 앨범을 자체 제작하여 소량 판매하였다. 2000년에는 4WD와 Verbal Jint가 조PDDJ Uzi를 디스한 "노자"란 곡을 발표하였는데, 이때 그들이 선보인 다음절 라임은 한국 힙합씬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이후 Verbal Jint의 EP '''Modern Rhymes''', Defconn의 EP "Straight from tha Streetz" 등을 발표했고, 당시 언더씬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Masterplan을 디스하기도 하였다. 이들의 음악은 당시 한두 글자에 그치던 라임을 좀 더 화려하게 꾸미고 좀 더 가벼운 내용으로 가사를 써내려갔으며, 이후의 힙합씬에도 크게 영향을 주었다.

이후 SNP는 PC 통신의 쇠퇴와 함께 자연스레 모이던 사람들이 흩어져 2002년 이후에는 이들의 이름을 앞세운 활동이 없어졌다. 하지만 당시 회원들의 친분은 아직도 남아 그들 간의 잦은 콜라보가 여전히 보이고 있다.

2. 4. 해체와 현재

PC 통신의 쇠퇴와 함께 SNP는 자연스럽게 모이던 사람들이 흩어져 2002년 이후에는 이들의 이름을 앞세운 활동이 없어졌다. 하지만 당시 회원들의 친분은 아직도 남아 그들 간의 잦은 콜라보가 여전히 보이고 있다.

3. 멤버

SNP는 나우누리 동호회였으므로, 넓게 보면 가입했던 회원 전원을 포함하나, 당시 그리고 현재 음악 활동을 하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다.

'''주요 멤버'''



'''그 외 멤버'''

  • Steady B
  • 절정신운 한아
  • 12 Life
  • 거미
  • Mazik
  • The Illest I.L.L.S.
  • Westylez (G-Ball, Hustla)
  • IX Gotti
  • Da Real G
  • ㅈ_hyun
  • Lil'Shit
  • Luna
  • MMM
  • Invisible Poet
  • A.U.
  • B-east
  • C.Posse (Consciousnesse Posse) (DJ Rugged D, Dirty Mack, Lyrikwalitie)
  • Phat Assembler (Aquinaz, Dadaist, Sentimental Wolf)
  • Heroin

3. 1. 주요 멤버


  • Defconn
  • Verbal Jint
  • 휘성
  • 정인
  • 4WD
  • P-Type
  • 결정
  • Trish Park
  • B-Soap
  • Krucifix Kricc
  • Tafka Buddah
  • Tragic Temple - Tafka Buddah, Hustla, Mark1, A.U, Mazik, B-Soap
  • Dirty Mack
  • Truly Unique
  • Steady B
  • 절정신운 한아
  • 12 Life
  • 거미
  • Mazik
  • The Illest I.L.L.S.
  • Westylez - G-Ball, Hustla
  • IX Gotti
  • Da Real G
  • ㅈ_hyun
  • Lil'Shit
  • Luna
  • MMM
  • Invisible Poet
  • A.U.
  • B-east
  • C.Posse (Consciousnesse Posse) - DJ Rugged D, Dirty Mack, Lyrikwalitie
  • Phat Assembler - Aquinaz, Dadaist, Sentimental Wolf
  • Heroin

3. 2. 그 외 멤버


  • Steady B
  • 절정신운 한아
  • 12 Life
  • 거미
  • Mazik
  • The Illest I.L.L.S.
  • Westylez (G-Ball, Hustla)
  • IX Gotti
  • Da Real G
  • ㅈ_hyun
  • Lil'Shit
  • Luna
  • MMM
  • Invisible Poet
  • A.U.
  • B-east
  • C.Posse (Consciousnesse Posse) (DJ Rugged D, Dirty Mack, Lyrikwalitie)
  • Phat Assembler (Aquinaz, Dadaist, Sentimental Wolf)
  • Heroin

4. 음반

SNP 멤버들이 발매한 앨범은 다음과 같다.

발매일앨범명
1999년 6월Babie Luth LP
2000년 2월Tragic Temple "Chapter.1"
2000년 3월Trish Park "So Bad"
2000년 3월Krucifix Kricc "The Untouchable Rebellion"
2000년 7월Verbal Jint "Sex Drive"
2000년 7월4WD "노자"
2001년 7월Defconn "Straight from tha Streetz"
2001년 7월Verbal Jint "Modern Rhymes"


4. 1. 정규/EP 앨범


  • 1999년 6월 - Babie Luth LP
  • 2000년 2월 - Tragic Temple "Chapter.1"
  • 2000년 3월 - Trish Park "So Bad"
  • 2000년 3월 - Krucifix Kricc "The Untouchable Rebellion"
  • 2000년 7월 - Verbal Jint "Sex Drive"
  • 2000년 7월 - 4WD "노자"
  • 2001년 7월 - Defconn "Straight from tha Streetz"
  • 2001년 7월 - Verbal Jint "Modern Rhymes"

4. 2. 싱글

발매일앨범명
2000년 7월4WD - 노자


5. 디스 사건

SNP는 2000년에 4WD가 조PDDJ Uzi를 비판(디스)한 곡인 "노자"로 파문을 일으켰다. 이 곡에서 Verbal Jint 등이 선보인 다음절 라임은 한국 힙합씬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또한, SNP는 당시 언더씬의 대표격이었던 클럽 Masterplan을 비판(디스)하기도 하였다.

5. 1. 조PD & DJ Uzi 디스

4WD의 싱글 "노자"는 Verbal Jint와 Lucy가 함께 한 곡으로, 2000년에 발표되어 조PDDJ Uzi를 비판(디스)하였다.

"노자"의 가사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스타의식의 DJ uzi의 의지 없어보이는 rappin'이 요새 나의 귀를 건드리지"
  • "간드러지는 uzi's mind 음성 변조 목소리가 나오는 곳이 너의 주둥아린가"
  • "미국가서 욕만 배운 미친 조PD 그게 좋아 꼬붕이 된 DJ Uzi"


이는 DJ Uzi가 "Uzi's Mind"라는 조PD 비판곡(디스곡)을 발표한 후에 조PD의 레이블 스타덤에 들어가게 되자, 인기에 편승하기 위해 비판곡(디스곡)을 부른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대한 비판을 담은 곡이었다. 이에 대해 DJ Uzi, 현상, Deze는 함께 "불이강병천하"라는 곡으로 반격하였다. Verbal Jint는 최근 인터뷰에서 DJ Uzi에 대한 감정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음을 암시하는 발언을 하였다.

5. 2. Masterplan 디스

Defconn의 EP "Straight from tha Streetz"에 수록된 "No Joke"는 Verbal Jint와 함께 클럽 MP를 디스하는 곡이다. 이 곡의 가사 일부는 다음과 같다.

''니가 쓴 한자 가사를 한참 봤다''


''대체 이게 뭔소리야 혹시 넌 감 잡았냐?''


''난 잘 몰라 난감 혼란 주는 글자를 몽땅''


''적고 지랄하는 먹통 힙합'' - Defconn "No Joke"

아이러니하게도 이 곡은 Defconn이 Masterplan에 알려지는 계기가 되어, 클럽 MP 무대에 서게 되었고, 나아가 레이블 계약까지 맺고 활동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Verbal Jint는 클럽 MP 무대에 서지는 않았지만, MP HIPHOP 앨범과 B-Boy Maximum 앨범에 참여하는 등 Masterplan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6. 의의 및 평가

SNP는 1990년대 PC 통신 나우누리의 흑인 음악 동호회 'Dope Soundz'에서 비롯되었다. Dope Soundz는 댄스 동호회 'Kick It Up'에서 파생되었으며, 래퍼와 칼럼니스트 등을 배출하며 당시 BLEX와 함께 대표적인 PC 통신 흑인 음악 동호회였다. 창작에 대한 욕구를 가진 Dope Soundz 멤버들은 1999년 독립하여 SNP ('''Show N Prove''')를 결성했다. 초대 시삽은 Defconn이었다.

SNP는 Tragic Temple 앨범을 시작으로 다수의 앨범을 자체 제작하여 소량 판매하였다. 2000년에는 4WD와 Verbal Jint가 조PDDJ Uzi를 비판하는 곡 "노자"를 발표했는데, 이 곡에서 선보인 다음절 라임은 한국 힙합씬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이후 SNP는 Verbal Jint의 EP '''Modern Rhymes''', Defconn의 EP "Straight from tha Streetz" 등을 발표하며 활동 범위를 넓혔고, 당시 언더씬의 대표였던 Masterplan을 비판하기도 하였다. SNP의 음악은 당시 한두 글자에 그치던 라임을 화려하게 발전시키고, 가벼운 내용의 가사를 사용함으로써 이후 힙합씬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후 SNP는 PC 통신의 쇠퇴와 함께 자연스럽게 해체되었지만, 당시 회원들은 여전히 친분을 유지하며 잦은 콜라보를 통해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