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tardust@hom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tardust@home은 성간 먼지 충돌 자국을 찾기 위해 웹 기반 "가상 현미경"을 사용하는 시민 과학 프로젝트이다. 기여자는 등록 후 튜토리얼을 완료하고 시험을 통과해야 참여할 수 있었으며, 총 132개의 에어로젤 블록을 70만 개 이상의 구역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프로젝트 초기에는 먼지 입자 발견자에게 이름 지정 및 연구 논문 공동 저자 참여 기회를 제공했다. Stardust@home은 6단계로 진행되었으며, 6단계에서는 새로운 영상이 추가되고 점수 체계가 개선되었지만, 이전 단계와 같은 인센티브는 제공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 기반 연산 - 루이스 폰 안
    과테말라 출신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기업가인 루이스 폰 안은 reCAPTCHA와 Duolingo 개발로 유명하며, 인간 기반 컴퓨팅 분야의 선구적인 연구와 사회 공헌 활동으로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인물로 인정받고 있다.
  • 인간 기반 연산 - 시민과학
    시민 과학은 대중이 과학 연구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과학과 시민의 관계에서 시민의 역할과 과학 데이터 기여를 포괄하며, 기술 발전과 함께 활용이 증가하고 윤리적 문제와 데이터 신뢰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시민과학 - SETI@home
    SETI@home은 외계 지적 생명체의 신호를 찾기 위해 개인용 컴퓨터의 유휴 자원을 활용하는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로, 전파망원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공적인 전파 신호를 식별하며 분산 컴퓨팅 가능성을 입증하고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 시민과학 - DIY 생물학
    DIY 생물학은 생물학 분야의 접근성 확대를 목표로 개인이나 소규모 단체가 과학 연구에 참여하도록 장려하는 운동으로, 오픈 소스 장비와 커뮤니티 실험실을 통해 접근성을 높이며, 생물정보학, 유전 공학 등을 주요 연구 주제로 다룬다.
  • 2006년 소프트웨어 -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7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7은 리본 인터페이스와 Office Open XML 형식을 도입하고 다양한 기능 향상을 제공한 오피스 제품군으로, 여러 에디션 출시와 함께 비판, 호환성 문제, 특허 논란이 있었으며 2018년 4월에 지원이 종료되었다.
  • 2006년 소프트웨어 - TrueOS
    TrueOS는 2005년 PC-BSD로 시작하여 FreeBSD를 기반으로 사용 편의성을 강조한 운영 체제이며, 2016년 TrueOS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2020년에 개발이 중단되었다.
Stardust@home
Stardust@home 개요
Stardust@home 로고
Stardust@home 로고
유형시민 과학 프로젝트
웹사이트Stardust@home
시작일2006년
종료일2016년
기반Stardust 우주선
목표성간 먼지 입자 식별
상태완료됨
세부 정보
주최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우주과학연구소
플래너터리 소사이어티
플랫폼BOINC
프로그래밍 언어Java

2. 기여

(내용 없음)

2. 1. 참여 방법

기여자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등록하고 튜토리얼을 이수한 뒤, 시험을 통과하여 자격을 얻어야 했다. 시험을 통과한 기여자는 웹 기반의 "가상 현미경"을 이용하여 마우스 조작으로 성간 먼지의 충돌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7][8] 분석 대상인 총 132개의 에어로젤 블록은 70만 개가 넘는 구역으로 나뉘었으며, 각 구역은 40개의 이미지로 처리되어 하나의 "영상"처럼 만들어졌다.[6][9]

이 "영상"은 스타더스트 에어로젤 안의 입자 궤적이 어떻게 보이는지를 보여준다. 영상은 스타더스트 튜토리얼 "가상 망원경"에서 볼 수 있다. 튜토리얼은 러시아 우주정거장 미르에서 잡힌 외계 입자와 독일의 밴더그래프 발전기를 이용해 먼지를 가속시켜 만든 궤적을 사용한다. 실제 성간 먼지의 궤적은 튜토리얼과 다르게 더 깊거나 더 얇게, 더 넓거나 좁게 나타날 수 있다.


기여자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인센티브도 마련되었다. 프로젝트 초기 다섯 단계 동안에는, 성간 먼지 입자를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에게 해당 입자의 이름을 지을 권한을 부여했으며, 그 입자를 이용한 연구 논문에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릴 수 있도록 하였다.

2. 2. 인센티브

프로젝트 초기 5단계 동안에는 기여자에 대한 인센티브로, 성간 먼지 입자를 처음 발견한 사람이 해당 입자의 이름을 직접 지을 수 있었으며, 관련 연구 논문에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릴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3. 단계

Stardust@home 프로젝트는 총 6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10][3] 각 단계는 순차적으로 공개되었으며, 단계별로 내용과 방식에 일부 변화가 있었다.[11][4]

3. 1. 단계별 진행

Stardust@home 프로젝트는 총 6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10][3] 각 단계별 공개 시점은 다음과 같다.

단계공개 시점
1단계2006년 8월 1일
2단계2007년 8월
3단계2010년 3월
4단계2011년 7월
5단계2012년 5월
6단계2013년 6월



마지막 6단계에서는 8개의 에어로젤 타일을 재처리하여 만든 3만 개 이상의 새로운 영상("무비")이 포함되었다. 또한 점수 산정 방식이 업데이트되었으며, 이전 단계들과는 달리 최초 발견자에게 주어지던 먼지 입자 이름 명명권이나 관련 과학 논문의 공저자로 등재되는 혜택은 더 이상 보장되지 않았다.[11][4]

3. 2. 6단계

6단계는 2013년 6월에 공개되었다.[10][3] 이 단계에서는 8개의 에어로젤 타일을 재처리하여 얻은 3만 개가 넘는 새로운 영상("무비"라고도 불림)이 포함되었다.[11][4] 점수 매기는 방식 또한 업데이트되었으며, 이전 단계들과는 달리 최초 발견자가 발견한 입자에 이름을 붙이거나 관련 과학 논문의 공저자로 등재되는 혜택이 사라졌다.[11][4]

참조

[1] 웹사이트 Dust Collector Grid With Aerogel http://www.nasa.gov/[...] NASA 2006-03-08
[2] 웹사이트 Stardust@home Update : Scanning, Testing, and Calibration Movies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08-07-26
[3] 웹사이트 Timeline https://stardustatho[...] Stardust@Home 2021-09-14
[4] 웹사이트 Stardust@home Phase VI Launching in June 2013 http://stardustathom[...] Stardust@Home Blog 2013-06-20
[5] 웹인용 Dust Collector Grid With Aerogel http://www.nasa.gov/[...] NASA 2006-03-08
[6] 웹인용 Stardust@home Update : Scanning, Testing, and Calibration Movies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08-07-26
[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planetary[...] 2006-02-15
[8] 웹인용 Stardust@home: Get Started http://stardustathom[...] 2017-04-28
[9] 웹인용 Processing - Stardust@home http://stardustathom[...] 2017-04-28
[10] 웹인용 Timeline - Stardust@home http://stardustathom[...] Stardust@Home 2017-04-29
[11] 웹인용 Stardust@home Phase VI Launching in June 2013 http://stardustathom[...] Stardust@Home Blog 2013-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