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DNKh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VDNKh역은 러시아 박람회장을 의미하는 국민 경제 성과 전람회장의 약자를 따서 명명되었으며, 1958년 5월 1일 모스크바 지하철 6호선의 일부로 개통되었다. 전러시아 농업 박람회에서 소련 국민 경제 성과 박람회로 명칭이 변경됨에 따라 1959년 12월 12일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1992년부터 2014년까지는 전러시아 박람회 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나, 역명은 유지되었다. 하얀 대리석으로 된 플라논과 원형 환기 그릴로 장식되어 있으며, 전러시아 전시 센터 남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2009년 기준 하루 평균 10만 명 이상이 이용한다. 모스크바 모노레일의 비스타보츠니 첸트르 역으로 환승이 가능하며, 소설 메트로 2033의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8년 개업한 철도역 - 채운역
채운역은 호남선에 개업한 보통역이었으나 현재는 무인 신호장으로 운영 중이며 논산역과 강경역 사이에 위치하여 과거 호남선과 강경선을 연결하는 역할을 했고 현재는 경부고속선의 통과 지점으로 기능한다. - 1958년 개업한 철도역 - 에도가와다이역
에도가와다이역은 사이타마현 오미야역과 지바현 후나바시역을 잇는 도부 철도 노다 선의 지상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교상역사를 갖추고 있으며, 도쿄 대학 가시와 캠퍼스 등 교육 시설과 상업 시설이 주변에 위치한다. - 모스크바 지하철역 - 마야콥스카야역 (모스크바 지하철)
마야콥스카야역은 모스크바 지하철 자모스크보레츠카야 선의 역으로, 1930년대 소련 건축 기술을 대표하며 뉴욕 세계 박람회 그랑프리 수상, 공습 대피소 활용, 예술적인 디자인 요소, 그리고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를 기리는 명칭으로 특징지어진다. - 모스크바 지하철역 - 스호드넨스카야역
스호드넨스카야역은 1975년에 개장하여 하루 평균 78,750명이 이용하는 모스크바 지하철 타간스코-크라스노프레스넨스카야 선의 역이다.
VDNKh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 브이데엔하 역 |
로마자 표기 | VDNKh |
다른 이름 | VSKhV (1958—1959) |
역 종류 | 모스크바 지하철 역 |
도시 | 모스크바 |
국가 | 러시아 |
소유 | 모스콥스키 메트로폴리텐 |
승강장 형태 | 1개의 섬식 승강장 |
선로 수 | 2개 |
환승 | 모노레일: at 비스타보치니 첸트르 버스: м9, 15, 33, 56, 76, 85, 93, 136, 154, 172, 195, 244, 286, 375, 378, 379, 533, 544, 803, 834, 903, т13, т14, т76 트램: 11, 17, 25 |
구조 | 지하 |
깊이 | (칼루시스코-리시스카야 선에서 가장 깊음) |
층 수 | 1 |
주차장 | 없음 |
접근성 | 알 수 없음 |
코드 | 090, VS |
구역 | 알 수 없음 |
폐쇄일 | 알 수 없음 |
재건축 | 알 수 없음 |
월간 승객수 | 알 수 없음 |
승객수 | 알 수 없음 |
승객 시스템 | 알 수 없음 |
승객 연도 | 알 수 없음 |
승객 비율 | 알 수 없음 |
노선도 | |
![]() | |
인접 정거장 |
2. 역명
역명은 국민 경제 성과 전람회장(Выставка Достижений Народного Хозяйства СССР)의 약자로, 러시아 박람회장을 의미한다. 1958년 5월 1일 6호선의 첫 번째 구간의 일부로 완공되어 모스크바 지하철의 47번째 역이 되었다. 역명의 유래는 인근에 있던 전러시아 농업 박람회의 약칭인 ВСХВ이다. 그러나 같은 달 1958년 5월 28일 소비에트 연방 각료 회의는 농업, 공업, 건설 전시회를 소련 국민 경제 성과 박람회(ВДНХ)로 통합하는 정령을 발표했다. 그 결과, 1956년 6월 16일 소련 국민 경제 성과 박람회는 전러시아 농업 박람회가 있던 장소에서 일반 공개되었다. 박람회 명칭 변경에 따라 역명도 변경할 필요가 생겨 1959년 12월 12일 변경되었다.[2]
VDNKh 역은 1958년 5월 1일에 개장하였다. 6호선의 첫 번째 구간의 일부로 완공되어 모스크바 지하철의 47번째 역이 되었다. 역명의 유래는 인근에 있던 전러시아 농업 박람회의 약칭인 ВСХВ이다. 그러나 같은 달, 1958년 5월 28일에 소비에트 연방 각료 회의는 농업, 공업, 건설 전시회를 소련 국민 경제 성과 박람회(ВДНХ)로 통합하는 정령을 발표했다. 그 결과, 1956년 6월 16일, 소련 국민 경제 성과 박람회는 전러시아 농업 박람회가 있던 장소에서 일반 공개되었다. 박람회 명칭 변경에 따라 역명도 변경할 필요가 생겨, 1959년 12월 12일에 변경되었다.
VDNKh 역은 하얀 대리석으로 된 기둥과 원형 환기 그릴로 장식되어 있다.
1992년부터 2014년까지 소련 국민 경제 성과 박람회(ВДНХ)는 전러시아 박람회 센터(ВВЦ)로 명칭이 변경되었지만, 역명은 VDNKh역으로 유지되었다.[2]
1991년 "비스타보치나야역", 1992년 "로스토키노역"으로 변경하려는 계획이 나왔지만 실행되지 않았다. 2008년 인터넷상에서 역명이 인근에 우주를 테마로 한 시설이 있다는 이유로 "코스미체스카야역"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는 정보가 흘러나왔으나[2], 뒷받침되는 정보는 없었다.[2]
3. 역사
1992년부터 2014년까지 소련 국민 경제 성과 박람회(ВДНХ)는 전러시아 박람회 센터(ВВЦ)로 명칭이 변경되었지만, 역명은 VDNKh역으로 유지되었다.
1991년에 "비스타보치나야역"으로, 1992년에는 "로스토키노역"으로 변경하려는 계획이 나왔지만, 실행되지 않았다. 2008년에는 인터넷상에서 역명이, 인근에 우주를 테마로 한 시설이 있다는 이유로, "코스미체스카야역"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는 정보가 흘러나왔[2]다. 그러나 그 정보의 뒷받침은 얻을 수 없었다.
4. 역 구조 및 디자인
4. 1. 설계
VDNKh역은 하얀 대리석으로 된 기둥과 원형 환기구가 장식되어 있다.
4. 2. 지리
VDNKh는 전러시아 전시 센터의 남동쪽에 있는 약칭이다.[1] 역 출입구를 나오면 우주박물관이 위치한다.[1]
5. 이용객
2009년을 기준으로 1일 평균 이용객은 107,377명이었다.
6. 환승
VDNKh 역에서는 모스크바 모노레일의 비스타보츠니 첸트르 역(Выставочный центрru)으로 역 지상부로 나가서 환승이 가능하다. VDNKh역과 직접 연결되지는 않지만, 모스크바 모노레일의 비스타보치니 센터역이 도보 거리에 있다.[1]
7. 대중 문화
VDNKh 역은 소설이자 비디오 게임인 메트로 2033에서 주인공의 집으로 등장한다. 이 역은 "어메이징 레이스 13"의 10번째 장면에도 출연했다.[1] 소설에서 VDNKh역은 메트로 2033의 주인공 아르티옴의 집으로 등장한다.[2]
참조
[1]
웹사이트
ru:Пассажиропотоки 2009 год
http://olimp-m.ru/ef[...]
2010-06-18
[2]
뉴스
Станция «ВДНХ» станет «Космической»?
https://archive.is/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