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WASP-6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ASP-6은 Wide Angle Search for Planets 프로젝트에 의해 행성을 가진 것으로 발견된 별이다. 2019년 국제천문연맹(IAU)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진행된 대중 투표를 통해 WASP-6과 행성 WASP-6b에 공식 명칭을 부여했으며, WASP-6는 Márohu, WASP-6b는 Boinayel로 명명되었다. WASP-6b는 2008년 슈퍼WASP 프로젝트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통과법을 통해 검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성 통과 변광성 -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 게자리 55 A와 적색 왜성 게자리 55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55 A는 중원소 함량이 높고 최소 5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안쪽 행성인 게자리 55 e는 슈퍼 지구로 분류된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HD 209458
    HD 209458은 태양과 유사한 F형 주계열성으로, 최초로 통과 현상이 관측된 외계 행성인 오시리스(HD 209458 b)를 거느리고 있어 행성의 크기와 대기 성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물병자리 - 물병자리 에타 유성군
  • 물병자리 - 물병자리 이오타
  • G형 주계열성 - 뱀자리 람다
    뱀자리 람다는 태양 질량의 약 2.7배인 분광형 A2V 주계열성으로, 외계 행성 람다 뱀자리 b를 거느리고 있으며 과거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있었으나 현재는 외계 행성계로 확인되었다.
  • G형 주계열성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계인 삼중성계로, 태양과 유사한 황색 왜성 A(리길 켄타우루스)와 A보다 작고 어두운 오렌지색 왜성 B(톨리만), 그리고 멀리 떨어져 중력적으로 연결된 적색 왜성 C(프록시마 센타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위를 도는 두 개의 행성이 확인되었다.
WASP-6
기본 정보
별자리물병자리
겉보기 등급11.9
식별 정보
명칭Márohu
다른 명칭2MASS J23123773-2240261
DENIS J231237.7-224025
TIC 204376737
TOI 231
TYC 6972-75-1
WASP 6
UCAC2 22823425
위치 정보
고유 운동 (적경)-23.264 (15)
고유 운동 (적위)-37.143 (14)
시차5.0073
시차 오차0.0130
특징
분광형G8V
B 밴드 겉보기 등급~12.9
R 밴드 겉보기 등급~11.9
J 밴드 겉보기 등급10.769 ±0.026
H 밴드 겉보기 등급10.445 ±0.025
K 밴드 겉보기 등급10.325 ±0.025
운동 정보
물리적 특징
질량태양질량
반지름태양반경
표면 온도K
자전 주기
자전 속도km/s
나이십억 년
데이터베이스 링크
SIMBADhttp://simbad.u-strasbg.fr/simbad/sim-basic?Ident=WASP-6
EPEhttp://exoplanet.eu/catalog/wasp-6_b/

2. 명칭

WASP-6이라는 명칭은 이 별이 광시야 행성 탐색(Wide Angle Search for Planets)에 의해 행성을 가진 것으로 발견된 여섯 번째 별임을 나타낸다.

2. 1. IAU NameExoWorlds 프로젝트

국제천문연맹(IAU)은 2019년 NameExoWorlds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WASP-6과 그 행성 WASP-6b에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진행된 국가 캠페인에서 수집된 제안들 중에서 대중이 선택한 공식 이름을 부여한다고 발표했다.

2. 1. 1. 마로후와 보이나옐

2019년 국제천문연맹(IAU)은 NameExoWorlds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WASP-6과 그 행성 WASP-6b에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진행된 국가 캠페인에서 수집된 제안들 중에서 대중이 선택한 공식 이름을 부여한다고 발표했다. 이후 마빈 델 시드가 제안한 이름으로, WASP-6 별은 '''마로후'''로, 행성은 '''보이나옐'''로 명명되었다. 마로후는 가뭄의 세미로서 태양의 수호신이다.[1][2]

"IAU100 Name ExoWorlds 프로젝트"는 전 세계 모든 국가 또는 지역에 하나의 외계 행성계를 명명할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젝트로, WASP-6는 도미니카 공화국에 할당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국제 천문 연맹 100주년 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되었으며, 도미니카 공화국 내에서의 선정, 국제 천문 연맹(IAU)에 대한 제안을 거쳐 태양계 외 행성과 그 주성에 고유 명칭이 승인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019년 12월 17일, IAU는 최종 결과를 발표했고, WASP-6는 '''Márohu''', WASP-6b는 '''Boinayel'''로 명명되었다. 두 이름 모두 카리브해 주변의 섬에 거주하는 타이노족의 신화에 등장하는 신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으로, Márohu는 태양의 수호신이기도 한 가뭄의 신, Boinayel은 땅을 비옥하게 하는 비의 신 이름이다.

3. 행성계

슈퍼WASP 프로젝트를 통해 2008년 이 별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 WASP-6b가 발견되었다. 행성 발견에는 항성 앞을 행성이 지나가면서 항성의 빛을 가리는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천문학적 통과 현상)이 사용되었다.[5]

'''WASP-6 행성계'''
동반천체질량궤도 평균 반지름공전 주기궤도이심률궤도 경사각반지름
WASP-6b0.503 (+0.019-0.038) MJ0.0421 (−0.0013+0.0008)3.3610060 (+0.0000022-0.0000035)0.054 (−0.015+0.018)


3. 1. WASP-6b (보이나옐)

WASP-6b는 2008년 슈퍼WASP 프로젝트에서 발견한 외계 행성으로, 항성 앞을 지나가면서 빛을 가리는 현상을 이용하는 통과법으로 발견되었다.[5] WASP-6b는 보이나옐(Boinayel)이라고도 불린다.

3. 1. 1. 행성계 정보

슈퍼WASP 프로젝트를 통해 2008년 이 별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 WASP-6b가 발견되었다. 행성 발견에는 항성 앞을 행성이 지나가면서 항성의 빛을 가리는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천문학적 통과 현상)이 사용되었다.[5]

'''WASP-6 행성계'''
동반천체질량궤도 평균 반지름공전 주기궤도이심률궤도 경사각반지름
WASP-6b0.503 (+0.019-0.038) MJ0.0421 (−0.0013+0.0008)3.3610060 (+0.0000022-0.0000035)0.054 (−0.015+0.018)


참조

[1] 웹사이트 Approved names http://www.nameexowo[...] 2020-01-02
[2] 웹사이트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 IAU https://www.iau.org/[...] 2020-01-02
[3] 웹인용 Exoplanet Transit Database http://var2.astro.cz[...]
[4] 웹사이트 DENIS-P J231237.7-224025 -- Star http://simbad.u-stra[...]
[5] 간행물 Gillon; Anderson, D. R.; Triaud, A. H. M. J.; Hellier, C.; Maxted, P. F. L.; Pollaco, D.; Queloz, D.; Smalley, B. et al.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