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E 1은 1998년에 기획되어 2001년 11월 2일에 발매된 애니메이션 주제가 앨범이다. IMF 외환 위기로 음반 시장이 축소된 상황에서 발매되었으며, 기존 아동 대상 OST와 달리 성인 팬을 대상으로 제작되었다. 앨범에는 다양한 애니메이션의 주제곡과 삽입곡이 수록되었으며, 일부 곡은 방송용 분량으로 짧게 수록되거나, 기존 모노 곡이 스테레오로 재발매되었다. 또한,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환상게임》의 방송 버전 오프닝 곡이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니버스가 발매한 음반 - WE 2
WE 2는 2000년대 초 발매된 애니메이션 주제가 컴필레이션 앨범으로, CD 1에는 다양한 애니메이션 주제가가, CD 2에는 VCD 형태의 영상 콘텐츠가 수록되어 있다. - 투니버스가 발매한 음반 - WE 3
WE 3는 2000년대 초반 발매된 애니메이션 주제가 컴필레이션 앨범 시리즈로, 《나루토》, 《정글은 언제나 맑은 뒤 흐림》, 《파워레인저 다이노썬더》, 《달빛천사》, 《쾌걸 근육맨 2세》 등 인기 애니메이션 주제가와 민경훈, 박혜경, 이용신, 유정석 등 다양한 가수의 참여, 그리고 일본 문화 개방 이후 일부 곡 미수록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2000년대 초반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추억할 수 있는 앨범으로 평가받는다.
| WE 1 - [음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장르 | 사운드트랙 |
| 발매일 | 2001년 11월 1일 |
| 이전 앨범 | 없음 |
| 다음 앨범 | 투니버스 만화영화 주제가 Best We 2(2003년) |
2. 앨범 개요
1998년 초 기획되었으나, IMF 외환 위기로 음반 시장이 축소되어 2001년 11월 2일에 발매되었다. 기존 한국 애니메이션 주제가 OST와는 달리 성인 팬들을 대상으로 제작되었다.
2. 1. 앨범의 특징
1998년 초 기획되었으나, IMF의 여파로 인한 음반시장 축소로 인해 결국 2001년 11월 2일 발매되었다. 이 앨범의 특징은 기존 한국에서 발매되던 애니메이션 주제가 OST와는 다르게 아동을 대상으로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기획과 발매가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관계로 일부 곡은 방송용 1분 30초 가량의 짧은 노래가 수록되었는데, 그 노래는 다음과 같다.- Loving you 시간을 넘어서
- 도시의 꿈
- 우주의 연인
- Rush
- I love you
또한, 기존 모노로 제작된 곡을 스테레오화해서 발매한 곡도 있는데, 다음과 같다.
- 언제까지나
- 전설의 사랑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여는 노래와 환상게임 닫는 노래는 기존 방송용 버전을 리메이크해 발매되었고, 원곡을 마지막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하였다.
3. 수록곡
WE 1 앨범에는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카우보이 비밥, 그 남자 그 여자, 선계전 봉신연의 등 여러 인기 애니메이션의 오프닝/엔딩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창희, 박완규, 김현아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참여하였다.
'야야야'는 그 남자 그 여자 두 번째 닫는 노래로, 함춘호, 신현권, 강수호 등 유명 세션들이 참여했다. '도와줘'는 로도스도 전기 OVA 닫는 노래로 함춘호가 기타 연주를 맡았다. '봉인'은 마스터 키튼 닫는 노래로, 최태완이 피아노 연주를 맡았다.
3. 1. 정규 트랙
| 곡명 | 작품명 | 작사 | 작곡 | 편곡 | 노래 |
|---|---|---|---|---|---|
| 푸른 꿈을 함께 |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 이창희, 신동식 | 이창희 | 이창희 | 이창희, 이창희 |
| Alone | 카우보이 비밥 | 송재원 | 이창희 | 이창희, 김준범 | 박완규 |
| 야야야 | 그 남자 그 여자 | 송재원 | 이창희 | 이창희 | BK 프로젝터 (천하 엔터테인먼트) |
| 너의 이름으로 | 선계전 봉신연의 | 일본판 Will 개사 | 이창희 | 이창희 | 강성호 |
| 도와줘 | 로도스도 전기 OVA | 송재원 | 이창희 | 이창희 | 류승희 |
| 사랑하는 사람을 위하여 | 환상게임 | 신동식, 이창희 외 | 이창희 | 이창희 | 김현아 |
| 봉인 | 마스터 키튼 | 송재원 | 이창희 | 이창희 | 김환 |
| 전설의 사랑 | 웨딩피치 | 이은정 | 김헌준 | 김헌준 | 최용준 |
| Loving You 시간을 넘어서 | 신의 괴도 잔느 | 김정배 | 김정배 | 김정배 | 김연정 |
| 도시의 꿈 | 바이스 크로이츠 | 류승원 | 박정식 | 박정식 | 김국찬 |
| 우주의 연인 | 우주에서 온 모자코 | 소은영, 신동식 | 이창희 | 이창희 | 김현아, 이창희 |
| Rush | 기갑전사 걸키버 | 이창희 | 이창희 | 이창희 | 송봉조 |
| I love you | 버블검 크라이시스 | 이창희 | 이창희 | 이창희 | 김혜진 |
| 언제까지나 |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스폐셜 | 김성수 | 조동현 | 조동현 | 조동현 |
| 내가 선택한 길 | 도전자 허리케인 | 이은정 | 김헌준 | 김헌준 | 이경선 |
| 나만의 동화 | 멀크와 스웽크의 뮤직쇼 | 이은정 | 김헌준 | 김헌준 | 우동훈 |
|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OP (방송 버전 / 보너스) | 이창희 | 이창희 | 이창희 | ||
| 환상게임 OP (방송 버전 / 보너스) | 이창희 | 이창희 | 김현아 |
3. 2. 보너스 트랙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OP (방송 버전)과 환상게임 OP (방송 버전)이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제목 | 작사 | 작곡 | 편곡 | 노래 |
|---|---|---|---|---|
|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OP (방송 버전) | 이창희 | 이창희 | 이창희 | |
| 환상게임 OP (방송 버전) | 이창희 | 이창희 | 김현아 |
4. 기타
1998년 초 기획되었으나, IMF의 여파로 인한 음반시장 축소로 인해 결국 2001년 11월 2일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기존 한국에서 발매되던 애니메이션 주제가 OST와는 다르게 아동을 대상으로 하지 않았다는 특징이 있다. 기획과 발매 시기 차이로 인해 일부 곡은 방송용(1분 30초)으로 짧게 수록되었다.
- Loving you 시간을 넘어서
- 도시의 꿈
- 우주의 연인
- Rush
- I love you
다음은 기존 모노로 제작된 곡을 스테레오화하여 발매한 곡들이다.
- 언제까지나
- 전설의 사랑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여는 노래와 환상게임 닫는 노래는 기존 방송용 버전을 리메이크해 발매되었고, 원곡을 마지막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