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Cit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ebCite는 1997년 군터 아이젠바흐가 고안한 웹 페이지 아카이빙 서비스이다. HTML, PDF 파일 등 다양한 웹 콘텐츠를 보존하며, 출판사 및 개인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되었다. 2019년 새로운 아카이빙 요청을 중단했고,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아카이브된 콘텐츠를 사용할 수 없었다. WebCite는 저작권 문제에 대해 공정 사용 및 묵시적 허가를 주장하며, DMCA 요청에 따라 보관된 페이지를 삭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라인 서비스 -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는 초기 텍스트 기반에서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발전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인터넷 상업화 이후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와 인터넷 포털 서비스로 변화했고, 사용자 콘텐츠에 대한 책임을 갖는다. - 온라인 서비스 - 링크트리
링크트리는 소셜 미디어 프로필에서 여러 링크를 공유하도록 2016년에 개발된 링크 관리 플랫폼으로, 하이퍼링크 제한에 대한 사용자 불만에서 시작되어 성장과 투자를 거듭하며 다양한 기능과 구독 서비스를 제공한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WebCite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서비스 정보 | |
이름 | WebCite |
로고 | WebCite.svg |
URL | WebCitation.org |
상업 여부 | 아니오 |
유형 | 웹 아카이브 |
언어 | 한국어 |
등록 | 해당사항 없음 |
소유자 | 토론토 대학교 |
저자 | 군터 아이젠바흐 |
출시일 | 1997년 |
현재 상태 | 온라인, 과거 아카이브 제공만 가능 |
수익 | 해당사항 없음 |
2. 역사
1997년 군터 아이젠바흐가 WebCite를 고안했으며, 1998년 인터넷 품질 관리에 대한 기사에서 이 서비스가 웹 페이지의 인용 영향력도 측정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처음 공개되었다.[1]
WebCite는 국제 인터넷 보존 컨소시엄의 회원이었다.[4] 2012년 아이젠바흐는 트위터에서 "WebCite는 자금 지원을 받지 못하고, IIPC는 연간 회원 자격 비용으로 4000EUR를 청구한다"라고 언급했다.[5]
WebCite는 인터넷 아카이브를 포함한 다른 디지털 보존 프로젝트에 "콘텐츠를 제공"한다.[4] 로렌스 레식은 저작권 및 기술에 대해 광범위하게 글을 쓰는 미국의 학자로, 미국 대법원 사건인 ''MGM Studios, Inc. v. Grokster, Ltd.''에서 amicus brief에 WebCite를 사용했다.[6]
2019년 7월 9일부터 17일 사이에 WebCite는 새로운 아카이빙 요청을 받는 것을 중단했다.[7][8] 2021년 10월 29일경부터 2023년 6월 24일까지는 아카이브된 콘텐츠를 사용할 수 없었고, 메인 페이지만 작동했다.
2. 1. 설립과 초기 활동
1997년 군터 아이젠바흐가 WebCite를 고안했다. 1998년 'webcite.net'에서 시험 운영을 시작했다.[1] WebCite는 학술지와의 협력을 통해 인용 링크 자동화 도구를 제공했으며, 2008년까지 200개 이상의 출판 단체에서 이 도구를 사용했다.[3]2. 2. 운영 중단
WebCite는 국제 인터넷 보존 컨소시엄(IIPC)의 회원사였으나, 2012년 창립자인 아이젠바흐는 트위터에서 "연간 4000EUR의 지출 부담이 너무 컸다"고 설명하며 탈퇴했다.[4][5]WebCite는 2013년 1월부터 FundRazr를 사용하여 22500USD를 목표로 하는 모금 캠페인을 진행했으며, 운영진은 이 금액이 2013년 말 이후에도 서비스를 유지하고 현대화하는 데 필요하다고 밝혔다.[9]
2019년 7월 9일에서 17일 사이에 WebCite는 새로운 아카이빙 요청을 받는 것을 중단했다.[7][8] 2021년 10월 29일경부터 2023년 6월 24일까지는 아카이브된 콘텐츠를 사용할 수 없었고, 메인 페이지만 작동했다.
3. 서비스 특징
WebCite는 HTML 웹 페이지, PDF 파일, 스타일 시트, 자바스크립트, 디지털 이미지 등 모든 유형의 웹 콘텐츠 보존을 허용했다. 또한 접근 시간, MIME 유형, 내용 길이 등 수집된 리소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보관했다.
WebCite는 주문형 페이지 보관 기능을 제공하는 최초의 서비스 중 하나였으며, 이 기능은 나중에 archive.today 및 Wayback Machine과 같은 다른 많은 보관 서비스에서 채택되었다. 웹 페이지 크롤링은 수행하지 않았다.[1]
4. 비즈니스 모델
"WebCite"는 등록 상표였다.[15] WebCite는 개인 사용자, 기자, 출판사에게[16] 서비스 이용에 어떠한 요금도 부과하지 않았다.[12] WebCite는 출판물을 분석하고 아카이브된 웹 참조를 인용하려는 출판사로부터 수익을 얻었다.[4] 초기 지원은 토론토 대학교에서 받았다.[4]
5. 저작권 문제
WebCite는 아카이브 행위가 공정이용 및 "암묵적 라이선스"에 의해 합법이라고 주장했다.[4] 2006년 검색 엔진에 의한 하이퍼링크 표시가 공정이용에 해당한다는 필드 대 구글 사건 판결문을 인용하여 "암묵적 라이선스"의 적법성을 주장하기도 했다. WebCite는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에 따른 테이크다운 요청 정책도 명확히 밝혔다.
5. 1. WebCite의 입장
WebCite는 자체적인 아카이빙 활동[3]이 공정 사용 및 묵시적 허가라는 저작권 원칙에 따라 허용된다는 법적 입장을 유지했다.[4] WebCite는 자체 보관된 사본이 변형적이며 학술 연구에 사회적으로 가치 있고 저작권이 있는 작품의 시장 가치를 해치지 않기 때문에 공정 사용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4]WebCite는 웹 페이지를 캐싱하고 보관하는 것은 아카이버가 저작권 소유자에게 아카이브 시스템에서 "옵트 아웃"할 기회를 제공하여 묵시적 허가를 생성할 경우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4] 이를 위해 WebCite는 웹 사이트의 "do-not-cache" 및 "no-archive" 메타데이터, 그리고 로봇 배제 표준을 위반하여 아카이브하지 않았으며, 이러한 규정이 없는 경우 웹 아카이브 서비스가 콘텐츠를 보존할 수 있는 "묵시적 허가"가 발생한다고 보았다.[4]
네바다주 연방 지방 법원은 2006년 1월 19일 ''Field v. Google'' 사건에서 이 주장에 동의하며, 공정 사용과 "묵시적 허가"는 Google의 웹 페이지 캐싱이 저작권 침해가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4]
5. 2. DMCA 요청 대응
WebCite는 저작권 소유자로부터 정당한 DMCA 요청을 받으면 보관된 페이지를 공개 접근에서 삭제하고 '다크 아카이브'로 이동했다. 이 페이지들은 법적 분쟁이나 증거 요청 시 유료로 열람할 수 있었는데, 가격은 5개 스냅샷까지 200USD, 추가 10개 스냅샷당 100USD였다.[13] WebCite는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에 따른 테이크다운 요청 정책을 명확히 밝혔다.테이크다운 요청이 적법하면, 해당 아카이브는 공개 접근이 불가능한 '다크 아카이브'로 이전되었다. 법적으로 아카이브가 필요할 경우 유료로 접근을 제공했으며, 가격은 위와 동일하다.
5. 3. 관련 판례
WebCite는 자체적인 아카이빙 활동이[3] 공정 사용 및 묵시적 허가라는 저작권 원칙에 따라 허용된다는 법적 입장을 유지했다.[4]2006년 1월 19일, 네바다주 연방 지방 법원은 ''Field v. Google''(CV-S-04-0413-RCJ-LRL) 사건에서 구글의 웹 페이지 캐싱이 공정 사용과 "묵시적 허가"에 해당하여 저작권 침해가 아니라고 판결했다.[4] 여기서 "묵시적 허가"는 일반적인 인터넷 표준을 의미했다.[4] WebCite는 이 판례를 근거로 제시했다.
참조
[1]
논문
Towards quality management of medica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evaluation, labelling, and filtering of information
1998-11-28
[2]
웹사이트
Fixing Broken Links on the Internet
http://blog.archive.[...]
2013-10-25
[3]
논문
Going, Going, Still There: Using the WebCite Service to Permanently Archive Cited Web Pages
[4]
웹사이트
WebCite Consortium FAQ
http://www.webcitati[...]
WebCite
2018-05-15
[5]
tweet
"@ReaderMeter @sennoma WebCite has no funding, and IIPC charges 4000 Euro/yr in membership fees"
[6]
뉴스
Courts Turn to Wikipedia, but Selectively
https://www.nytimes.[...]
2007-01-29
[7]
웹사이트
WebCite 17th July 2019
https://webcitation.[...]
2021-01-17
[8]
웹사이트
Where did the archive go? Part 4: WebCite
https://ws-dl.blogsp[...]
Old Dominion University
2024-11-25
[9]
웹사이트
Fund WebCite
http://meta.wikimedi[...]
Wikimedia Foundation
2013-12-06
[10]
웹사이트
Conversation between GiveWell and WebCite on 4/10/13
http://www.givewell.[...]
GiveWell
2009-10-18
[11]
웹사이트
WebCite Legal and Copyright Information
http://webcitation.o[...]
WebCite
2009-06-16
[12]
웹사이트
WebCite Member List
http://webcitation.o[...]
WebCite Consortium
2009-06-16
[13]
웹사이트
WebCite takedown requests policy
https://www.webcitat[...]
WebCite
2017-05-14
[14]
웹사이트
WebCite 17th July 2019
https://webcitation.[...]
2021-01-17
[15]
웹인용
WebCite Legal and Copyright Information
http://webcitation.o[...]
WebCite
2009-06-16
[16]
웹인용
WebCite Member List
http://webcitation.o[...]
WebCite Consortium
2009-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