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주소 공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상 주소 공간은 운영체제가 각 프로세스에 제공하는 메모리 주소 공간으로, 실제 물리 메모리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32비트 환경은 4GB의 가상 주소 공간을, 64비트 환경은 기본적으로 8GB의 사용자 모드 공간을 제공한다. 리눅스 운영체제는 x86 CPU에서 사용자 공간과 커널 공간의 주소 범위를 분할하여 사용한다. 가상 주소 공간은 프로세스 실행 파일, DLL 파일, 페이지 파일 등을 매핑하여 사용하며, 윈도우에서는 /LARGEADDRESSAWARE 옵션을 통해 접근 가능한 가상 주소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간 - 우주 공간
우주 공간은 지구 대기권 바깥의 극한 환경을 가진 공간으로, 국제항공연맹은 카르만 선을 기준으로 대기권과 구분하며 우주 탐사 및 다양한 위성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 공간 - 위상 공간 (물리학)
위상 공간은 역학계의 모든 가능한 상태를 모아 시스템의 상태 변수를 좌표로 나타낸 공간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궤적을 그리며 시스템의 동역학적 거동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 가상 메모리 - 메모리 관리 장치
메모리 관리 장치(MMU)는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하여 메모리 접근을 관리하고 보호하는 하드웨어 장치로서,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 독립적인 가상 주소 공간을 제공하고 불법적인 메모리 접근을 차단하며, 페이지 테이블을 통해 외부 단편화 문제를 완화하고 트랜슬레이션 룩어사이드 버퍼(TLB)로 주소 변환 속도를 향상시킨다. - 가상 메모리 - 페이지 테이블
페이지 테이블은 가상 메모리 환경에서 프로세스의 가상 주소를 실제 물리 주소로 변환하는 핵심 자료 구조로서, 운영체제가 매핑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메모리 관리 장치가 캐싱하여 주소 변환 속도를 향상시키며, 다단계, 가상화, 역, 중첩 페이지 테이블 등 다양한 구조가 존재한다. - 운영체제 기술 - 프로세스
프로세스는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인스턴스로, 운영 체제가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독립적인 실행 흐름을 유지한다. - 운영체제 기술 - 커널 (컴퓨팅)
커널은 운영 체제의 핵심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 상호 작용을 관리하며 시스템 보안, 자원 관리, 하드웨어 추상화, 프로세스 스케줄링, 프로세스 간 통신, 다중 작업 환경 지원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모놀리식, 마이크로, 혼합형 커널 등으로 구현되며 가상화 및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가상 주소 공간 | |
---|---|
일반 정보 | |
정의 | 컴퓨터의 주 기억 장치를 사용하는 모든 프로세스에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주소 범위의 집합 |
설명 |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스가 접근할 수 있는 모든 주소 공간 |
특성 | 각 프로세스는 자신만의 주소 공간을 가짐 주소 공간의 크기는 실제 물리 메모리보다 클 수 있음 가상 주소는 메모리 관리 장치(MMU)에 의해 물리 주소로 변환됨 |
메모리 관리 | |
사용 목적 | 메모리 보호 메모리 공유 물리 메모리 제약 극복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가상 메모리 물리 주소 메모리 관리 장치(MMU) 페이징 세그멘테이션 |
2. 윈도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운영체제는 가상 주소 공간을 사용하여 각 프로세스에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제공한다.
32비트 윈도우와 64비트 윈도우는 가상 주소 공간 크기와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32비트 윈도우에서는 응용 프로그램에 기본적으로 4GB의 가상 주소 공간이 주어지지만, 운영체제가 2GB를 사용하고, 사용자 모드 공간은 2GB로 제한된다. '/3GB' 옵션을 사용하면 사용자 모드 공간을 3GB까지 확장할 수 있다. 64비트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8GB의 사용자 모드 공간이 제공되며, 특정 옵션을 통해 2GB로 제한하거나 32비트 프로그램의 경우 4GB까지 확장할 수 있다.
윈도우에서 가상 주소 공간이 사용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새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스는 4 GiB의 가상 주소 공간(VAS)을 갖는다.
-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과 필요한 DLL 파일들이 VAS에 매핑된다.
- 프로세스는 페이지 파일을 통해 가상 주소 공간의 값을 사용하거나 설정한다.
C (프로그래밍 언어)의 `malloc`을 통해 메모리를 할당하면 페이지 파일이 새로운 가상 주소 공간의 백킹 저장소(backing store)로 설정된다. 그러나 프로세스는 파일 바이트를 명시적으로 매핑할 수도 있다.
''다음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는 Windows NT 운영 체제에 특정한 것이지만, 개념은 다른 가상 메모리 운영 체제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2. 1. 32비트 윈도우
32비트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에 4GB의 가상 주소 공간이 주어진다. 이 중 2GB (0x00000000 ~ 0x7FFFFFFF)는 사용자 모드 공간으로, 응용 프로그램마다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나머지 2GB (0x80000000 ~ 0xFFFFFFFF)는 운영 체제가 사용하는 커널 가상 주소 공간이다.[10]`boot.ini`에 '/3GB' 옵션을 추가하여 윈도우를 시작하면 개별 응용 프로그램에서 최대 3GB까지 사용자 모드 가상 주소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IMAGE_FILE_LARGE_ADDRESS_AWARE` 옵션을 주어야 한다.[11]
2. 2. 64비트 윈도우
64비트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8GB의 사용자 모드 공간이 주어진다. 단, `/LARGEADDRESSAWARE:NO` 옵션을 주어 링크하면 인위적으로 2GB로 제한할 수 있다.[12][13] 64비트 윈도우에서 32비트 프로그램을 구동할 때 `/LARGEADDRESSAWARE:YES` 옵션을 주면 사용자 모드 공간을 4GB까지 사용할 수 있다.[14]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64비트에서는 `/LARGEADDRESSAWARE:NO`로 링크된 실행 파일을 실행하는 프로세스의 경우, 운영 체제가 프로세스의 가상 주소 공간의 사용자 모드 부분을 인위적으로 2 GiB로 제한한다. 이는 32비트 및 64비트 실행 파일 모두에 적용된다.[4][5] `/LARGEADDRESSAWARE:YES` 옵션으로 링크된 실행 파일을 실행하는 프로세스는 2 GiB 이상의 가상 주소 공간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 옵션은 64비트 Visual Studio 2010 이상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된다.[6] 32비트 실행 파일의 경우 최대 4 GiB, 윈도우 8까지의 64비트 실행 파일의 경우 최대 8 TiB, 윈도우 8.1 이상에서의 64비트 실행 파일의 경우 최대 128 TiB까지 가상 주소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7][8]
3. 리눅스
x86 CPU의 리눅스 32비트 환경에서 사용자 공간과 커널 공간은 3G/1G (사용자/커널, 기본값), 1G/3G 또는 2G/2G 비율로 나눌 수 있다.[9]
3. 1. x86 CPU의 32비트 리눅스
x86 CPU를 사용하는 32비트 리눅스 환경에서는 사용자 공간과 커널 공간의 주소 범위를 ''3G/1G 사용자/커널''(기본값), ''1G/3G 사용자/커널'', 또는 ''2G/2G 사용자/커널''과 같이 나눌 수 있다.[9]4. 가상 주소 공간의 예시 (윈도우)
32비트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에 4GB의 가상 주소 공간이 주어진다. 이 중 2GB(0x00000000 ~ 0x7FFFFFFF)는 사용자 모드 공간으로, 각 응용 프로그램이 독립적으로 사용한다. 나머지 2GB(0x80000000 ~ 0xFFFFFFFF)는 운영 체제가 사용하는 커널 가상 주소 공간이다.[10]
boot.ini 파일에 '/3GB' 옵션을 추가하여 윈도우를 시작하면, 개별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 모드 가상 주소 공간을 3GB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IMAGE_FILE_LARGE_ADDRESS_AWARE 옵션을 지정해야 한다.[11]
64비트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8TB의 사용자 모드 공간이 제공된다. 그러나 /LARGEADDRESSAWARE:NO 옵션을 사용하여 링크하면 사용자 모드 공간을 2GB로 제한할 수 있다.[12][13] 64비트 윈도우에서 32비트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LARGEADDRESSAWARE:YES 옵션을 주면 사용자 모드 공간을 4GB까지 확장할 수 있다.[14]
4. 1. 프로세스 실행 및 메모리 매핑
32비트 운영 체제(OS)에서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스는 4 GiB의 가상 주소 공간(VAS)을 할당받는다.[2] 이 공간의 각 메모리 주소(0부터 232 − 1까지)는 하나의 바이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초기에는 이 공간에 아무런 값도 할당되지 않으며('-'로 표시), 값을 사용하거나 설정하려고 하면 페이지 부재가 발생한다.0 | 4 GiB |
VAS | ----------------------------------------------| |
이후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exe)이 VAS에 매핑된다. 즉, 프로세스 VAS의 주소가 exe 파일의 바이트에 대응된다. 이 매핑은 운영 체제가 관리한다.
0 | 4 GiB | ||
VAS | ---vvv----------------------------------------| | ||
매핑 | |||
파일 바이트 | 앱 |
여기서 'v'는 매핑된 파일의 바이트 값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필요한 DLL 파일들(kernel32.dll, user32.dll 등)이 VAS에 매핑된다.
0 | 4 GiB | ||||||||||
VAS | ---vvv--------vvvvvv---vvvv-------------------| | ||||||||||
매핑 | |||||||||||
파일 바이트 | 앱 커널 사용자 |
이제 프로세스는 EXE 파일의 바이트 실행을 시작한다. 프로세스가 VAS에서 '-' 값을 사용하거나 설정하려면, 운영 체제에 해당 값을 파일의 바이트에 매핑하도록 요청해야 한다. VAS 메모리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페이지 파일에 매핑하는 것이다. 페이지 파일은 단일 파일이지만, 여러 개의 연속적인 바이트 세트를 VAS에 매핑할 수 있다.
0 | 4 GiB | |||||||||||||
VAS | ---vvv--------vvvvvv---vvvv----vv---v----vvv--| | |||||||||||||
매핑 | | | |||||||||||||
파일 바이트 | 앱 커널 사용자 시스템_페이지_파일 |
페이지 파일의 다른 부분들은 다른 프로세스의 VAS에 매핑될 수 있다.
0 | 4 GiB | ||||||||||||||
VAS 1 | ---vvvv-------vvvvvv---vvvv----vv---v----vvv--| | ||||||||||||||
매핑 | | | ||||||||||||||
파일 바이트 | 앱1 앱2 커널 사용자 시스템_페이지_파일 | ||||||||||||||
매핑 | | | ||||||||||||||
VAS 2 | --------vvvv--vvvvvv---vvvv-------vv---v------|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32비트에서는 기본적으로 프로세스 당 2 GiB만 자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2] 나머지 2 GiB는 운영 체제에서 사용한다. 이후 32비트 버전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는 프로그램을 IMAGE_FILE_LARGE_ADDRESS_AWARE로 표시하고 boot.ini 파일에서 /3GB 스위치를 활성화하여 사용자 모드 가상 주소 공간을 3 GiB로 확장하고, 커널 모드 가상 주소 공간은 1 GiB만 남겨둘 수 있다.[3][7]
C (프로그래밍 언어)의 malloc 함수를 통해 메모리를 할당하면, 페이지 파일이 새로운 가상 주소 공간의 백킹 저장소(backing store)로 설정된다. 그러나 프로세스는 파일 바이트를 명시적으로 매핑할 수도 있다.
4. 2. 실행 파일 및 DLL 매핑
32비트 운영 체제(OS)에서 새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해당 프로세스는 4 GiB의 가상 주소 공간(VAS)을 갖는다. 이 공간의 각 메모리 주소는 0부터 232 − 1까지이며, 각 주소는 단일 바이트를 값으로 가질 수 있다. 처음에는 아무것도 값을 갖지 않으며('-'로 표시), 이러한 VAS에서 값을 사용하거나 설정하면 페이지 부재가 발생한다.그런 다음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exe)이 VAS에 매핑된다. 프로세스 VAS의 주소는 exe 파일의 바이트에 매핑되며, OS가 이 매핑을 관리한다.
```
0 4 GiB
VAS |---vvv----------------------------------------|
매핑 |||
파일 바이트 앱
```
여기서 'v'는 매핑된 파일의 바이트 값을 나타낸다.
이후 필요한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DLL) 파일이 매핑된다. 여기에는 사용자 지정 라이브러리뿐만 아니라 `kernel32.dll` 및 `user32.dll`과 같은 시스템 라이브러리도 포함된다.
```
0 4 GiB
VAS |---vvv--------vvvvvv---vvvv-------------------|
매핑 ||| |||||| ||||
파일 바이트 앱 커널 사용자
```
프로세스는 EXE 파일의 바이트 실행을 시작한다. 그러나 프로세스가 VAS에서 '-' 값을 사용하거나 설정하려면 OS에 해당 값을 파일의 바이트에 매핑하도록 요청해야 한다. VAS 메모리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페이지 파일에 매핑하는 것이다. 페이지 파일은 단일 파일이지만, 여러 개의 별개의 연속적인 바이트 세트를 VAS에 매핑할 수 있다.
```
0 4 GiB
VAS |---vvv--------vvvvvv---vvvv----vv---v----vvv--|
매핑 ||| |||||| |||| || | |||
파일 바이트 앱 커널 사용자 시스템_페이지_파일
```
페이지 파일의 다른 부분은 다른 프로세스의 VAS에 매핑될 수 있다.
```
0 4 GiB
VAS 1 |---vvvv-------vvvvvv---vvvv----vv---v----vvv--|
매핑 |||| |||||| |||| || | |||
파일 바이트 앱1 앱2 커널 사용자 시스템_페이지_파일
매핑 |||| |||||| |||| || |
VAS 2 |--------vvvv--vvvvvv---vvvv-------vv---v------|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32비트에서는 기본적으로 2 GiB만 프로세스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2] 나머지 2 GiB는 운영 체제에서 사용한다. 이후 32비트 버전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는 프로그램을 IMAGE_FILE_LARGE_ADDRESS_AWARE로 표시하고 boot.ini 파일에서 /3GB 스위치를 활성화하여 사용자 모드 가상 주소 공간을 3 GiB로 확장하고 커널 모드 가상 주소 공간은 1 GiB만 남겨둘 수 있다.[3][7]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64비트에서는 /LARGEADDRESSAWARE:NO로 링크된 실행 파일을 실행하는 프로세스의 경우, 운영 체제는 프로세스의 가상 주소 공간의 사용자 모드 부분을 인위적으로 2 GiB로 제한한다. 이는 32비트 및 64비트 실행 파일 모두에 적용된다.[4][5] /LARGEADDRESSAWARE:YES 옵션으로 링크된 실행 파일을 실행하는 프로세스는 2 GiB 이상의 가상 주소 공간에 접근할 수 있다. 이 옵션은 64비트 Visual Studio 2010 이상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된다.[6] 32비트 실행 파일의 경우 최대 4 GiB, Windows 8까지의 64비트 실행 파일의 경우 최대 8 TiB, Windows 8.1 이상에서의 64비트 실행 파일의 경우 최대 128 TiB까지 가능하다.[7][8]
C (프로그래밍 언어)의 malloc을 통해 메모리를 할당하면 페이지 파일이 새로운 가상 주소 공간의 백킹 저장소로 설정된다. 그러나 프로세스는 파일 바이트를 명시적으로 매핑할 수도 있다.
4. 3. 페이지 파일 매핑
Windows NT영어 운영 체제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이 개념은 다른 가상 메모리 운영 체제에도 적용될 수 있다.32비트 운영 체제에서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해당 프로세스는 4 GiB의 가상 주소 공간(VAS)을 갖는다. 이 공간의 각 메모리 주소는 0부터 232 − 1까지이며, 각 주소는 하나의 바이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초기에는 아무 값도 가지지 않으며('-'로 표시), 이러한 VAS에서 값을 사용하거나 설정하면 페이지 부재가 발생한다.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은 VAS에 매핑된다. 프로세스 VAS의 주소는 실행 파일(exe)의 바이트에 매핑되며, 운영 체제가 이 매핑을 관리한다.
이후 필요한 DLL 파일들(
kernel32.dll
, user32.dll
같은 시스템 라이브러리와 사용자 지정 라이브러리 포함)이 매핑된다.프로세스는 EXE 파일의 바이트 실행을 시작한다. 프로세스가 VAS에서 '-' 값을 사용하거나 설정하는 유일한 방법은 운영 체제에 해당 값을 파일의 바이트에 매핑하도록 요청하는 것이다. VAS 메모리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페이지 파일에 매핑하는 것이다. 페이지 파일은 단일 파일이지만, 여러 개의 연속적인 바이트 세트를 VAS에 매핑할 수 있다.
페이지 파일의 다른 부분은 다른 프로세스의 VAS에 매핑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32비트에서는 기본적으로 2 GiB만 프로세스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2] 나머지는 운영 체제에서 사용한다. 이후 32비트 버전의 윈도우에서는 프로그램을 IMAGE_FILE_LARGE_ADDRESS_AWARE로 표시하고 boot.ini 파일에서 스위치를 활성화하여 사용자 모드 가상 주소 공간을 3 GiB로 확장하고, 커널 모드 가상 주소 공간은 1 GiB만 남겨둘 수 있다.[3][7]
64비트 윈도우에서는 CODE /LARGEADDRESSAWARE:NO 로 링크된 실행 파일을 실행하는 프로세스의 경우, 운영 체제가 프로세스의 가상 주소 공간 중 사용자 모드 부분을 2 GiB로 제한한다. 이는 32비트 및 64비트 실행 파일 모두에 적용된다.[4][5] CODE /LARGEADDRESSAWARE:YES 옵션으로 링크된 실행 파일을 실행하는 프로세스는 2 GiB 이상의 가상 주소 공간에 접근할 수 있다. 이 옵션은 64비트 Visual Studio 2010 이상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된다.[6] 32비트 실행 파일의 경우 최대 4 GiB, Windows 8까지의 64비트 실행 파일의 경우 최대 8 TiB, Windows 8.1 이상에서의 64비트 실행 파일의 경우 최대 128 TiB까지 가능하다.[7][8]
C (프로그래밍 언어)의 malloc을 통해 메모리를 할당하면 페이지 파일이 새로운 가상 주소 공간의 백킹 저장소(backing store)로 설정된다. 그러나 프로세스는 파일 바이트를 명시적으로 매핑할 수도 있다.
4. 4. 사용자 모드 및 커널 모드 공간
32비트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에 4GB의 가상 주소 공간이 주어진다. 이 중에서 2GB(0x00000000 ~ 0x7FFFFFFF)는 사용자 모드 공간(응용 프로그램마다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공간)이고, 나머지 2GB(0x80000000 ~ 0xFFFFFFFF)는 운영 체제에서 사용하는 커널 가상 주소 공간이다.[10] boot.ini에 '/3GB' 옵션을 붙여 윈도를 시작하면 개별 응용 프로그램에서 3GB까지 사용자 모드 가상 주소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IMAGE_FILE_LARGE_ADDRESS_AWARE 옵션을 주어야 한다.[11]64비트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8GB의 사용자 모드 공간이 주어진다. 단, /LARGEADDRESSAWARE:NO 옵션을 주어 링크하면 인위적으로 2GB로 제한할 수 있다.[12][13] 64비트 윈도우에서 32비트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LARGEADDRESSAWARE:YES 옵션을 주면 사용자 모드 공간을 4GB까지 사용할 수 있다.[14]
4. 5. 메모리 할당
C (프로그래밍 언어)의 malloc 함수를 통해 메모리를 할당하면, 페이지 파일이 새로운 가상 주소 공간의 백킹 저장소(backing store)로 설정된다.[2] 이는 할당된 메모리 영역이 페이지 파일의 특정 부분과 매핑되어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함을 의미한다.프로세스는 파일 바이트를 메모리에 명시적으로 매핑할 수도 있다.[2] 이는 `malloc`을 통한 간접적인 방식이 아니라, 운영체제의 API를 사용하여 파일의 특정 부분을 프로세스의 가상 주소 공간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을 통해 프로세스는 파일의 내용을 메모리처럼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an address space?
https://www.ibm.com/[...]
2024-05-05
[2]
웹사이트
Virtual Address Space
https://msdn.microso[...]
Microsoft
[3]
웹사이트
LOADED_IMAGE structure
https://msdn.microso[...]
Microsoft
[4]
웹사이트
/LARGEADDRESSAWARE (Handle Large Addresses)
https://msdn.microso[...]
Microsoft
[5]
웹사이트
Virtual Address Space
https://msdn.microso[...]
Microsoft
[6]
웹사이트
/LARGEADDRESSAWARE (Handle Large Addresses)
https://msdn.microso[...]
Microsoft
[7]
웹사이트
4-Gigabyte Tuning: BCDEdit and Boot.ini
https://msdn.microso[...]
Microsoft
[8]
웹사이트
/LARGEADDRESSAWARE (Handle Large Addresses)
https://msdn.microso[...]
Microsoft
[9]
웹사이트
Linux kernel - x86: Memory split
https://git.kernel.o[...]
[10]
링크
http://msdn.microsof[...]
[11]
링크
http://msdn.microsof[...]
[12]
링크
http://msdn.microsof[...]
[13]
링크
http://msdn.microsof[...]
[14]
링크
http://msdn.microso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