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오락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족오락관은 1984년 4월 3일 KBS 2TV에서 첫 방송을 시작하여 2009년 4월 18일 종영된 예능 프로그램이다. 남성팀과 여성팀으로 나뉘어 다양한 게임을 통해 대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시청자들에게 웃음과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중장년층 위주의 프로그램으로 변화하면서 젊은 층의 관심 감소와 경쟁 프로그램의 등장으로 시청률이 하락하여 종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YG 엔터테인먼트 텔레비전 프로그램 - Dr. 브레인 (드라마)
김지운 감독의 Apple TV+ 한국어 드라마 《Dr. 브레인》은 천재 뇌과학자가 뇌 동기화 기술로 가족의 죽음에 얽힌 미스터리를 풀어가는 이야기로, 이선균, 이유영 등이 출연하고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시즌 2 제작이 확정되었다. - YG 엔터테인먼트 텔레비전 프로그램 - 나는 길에서 연예인을 주웠다
하루살이 싱글녀 이연서가 월드스타 강준혁을 줍게 되면서 벌어지는 코미디 감금 로맨스를 그린 tvN 드라마 《나는 길에서 연예인을 주웠다》는 직장 상사의 갑질에 시달리던 이연서가 술김에 강준혁을 납치 감금하며 벌어지는 예측 불허의 사건들을 다룬다. - 1984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그리워
그리워는 1980년대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갈등, 화해, 사랑과 이별을 겪는 다양한 인간 군상을 그린 드라마이다. - 1984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설중매 (드라마)
《설중매》는 1984년부터 1985년까지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인수대비와 한명회를 중심으로 계유정난, 사육신 사건 등 역사적 사건들을 다루었으나 역사 왜곡 논란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게임 쇼 - 무한도전
《무한도전》은 2005년부터 2018년까지 MBC에서 방영된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으로, 유재석을 중심으로 다양한 멤버들이 미션과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높은 인기를 얻었으나 여러 논란과 주요 제작진 및 멤버들의 탈퇴로 종영되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게임 쇼 - 남자의 자격
《남자의 자격》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예능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미션과 도전을 통해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었으며, 2013년 MBC의 《아빠! 어디가?》에 밀려 종영되었다.
가족오락관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프로그램 명칭 | 가족오락관 |
원제 | Family Entertainment |
장르 | 예능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역대 방송 채널 참조 |
방송 시간 | 역대 방송 시간 참조 |
방송 기간 | 1984년 4월 3일 ~ 2009년 4월 18일 |
방송 횟수 | 1237부작 |
시청 등급 | [[파일:Republic Of Korea Broadcasting-TV Rating System(ALL).svg|20px|모든 연령 시청가|link=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 모든 연령 시청가 |
제작사 | 해오름프로덕션 |
기획 | KBS 예능국 |
연출 | 한동규 |
각본 | 오경석, 박미경, 김여진, 최미림 |
책임 프로듀서 | 박정미 |
진행자 | 역대 진행자 참조 |
고화질 방송 여부 | SD 제작 · 방송 (1회 ~ 1165회) HD 제작 · 방송 (1166회 ~ 1237회) |
후속 프로그램 | 상상오락관 |
비고 | 여는 곡이 각각 쓰인 기간은 아래 본문 역대 여는 곡 참조. |
관련 정보 |
2. 역사
1984년 4월 3일 KBS 2TV에서 첫 방송을 시작했다.[1] 2000년 KBS 봄 개편으로 일일시트콤과 2TV 일일드라마가 부활하면서 2000년 5월 4일부터 매주 수요일 저녁 8시 55분에서 목요일 저녁 7시로 시간대가 변경되었다. SBS TV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일이》에 시청률이 밀리자 2000년 10월 14일 KBS 가을 개편에 따라 KBS 2TV에서 KBS 1TV로 채널이 변경되었다.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10분에 방송된 《동물의 왕국》이 2003년 가을 개편 때 잠시 중단되었다가[2] 2004년 가을 개편 때 부활하고,[3] 2008년 가을 개편 때 토요일과 일요일 주 2회 방송으로 확대 편성되면서, 가족오락관은 토요일 저녁 7시 10분으로 변경되었다.
시청자들이 부담 없이 웃고 즐길 수 있는 건전한 오락과 게임을 제공하여 생활의 활력소가 되게 한 예능 프로그램이다.
참가자들은 남성팀과 여성팀(일부 회차는 예외)으로 나뉘어 미니 게임을 통해 경쟁한다. 회차마다 다양한 게임이 주어지며, 게임을 통해 더 많은 점수를 얻은 팀이 승리한다.
家族娛樂館중국어에서는 다양한 게임들이 진행되었다.
2000년대 중반부터 중장년층 위주의 프로그램으로 변모하면서 젊은 층의 관심을 잃고, 《무한도전》, 《일요일이 좋다》 등 새로운 예능 프로그램에 밀려 시청률이 하락했다. 2009년 2월 28일 방송분 말미에 "다음 주 토요일 저녁 7시 10분"이라고 자막을 내보냈으나, 한 주 결방된 후 시청자들에게 알리지 않고 2009년 3월 14일부터 토요일 오후 5시 10분으로 시간대가 변경되었다.
방송 시작 시간이 가족이 볼 수 없는 시간으로 갑자기 변경되었기 때문에 시청률이 3.6%까지 급격히 하락하였다. 또한 폐지 2개월 전에 PD를 바꾸었던 것도 이 프로그램이 석연치 않게 폐지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4] 결국 2009년 4월 18일, 25년의 역사를 마감하고 종영되었다.
3. 기획 의도
4. 진행 방식
2003년 5월 31일(947회)까지는 4대 4 대결이 기본 체제였으며, 5대 5 대결은 특별 에피소드에 한정되었다. 2003년 6월 7일(948회)부터는 5대 5 대결이 기본 체제가 되었다.
5. 역대 게임
5. 1. 폭탄 게임
"출발! 40초 공방전", "말 조심해! 폭발!", "폭탄 선언 60초" 등 다양한 이름으로 폭탄 게임이 진행되었으며, 제한 시간 안에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폭탄이 폭발한다.[1]
5. 2. 스피드 게임
제한 시간 동안 한 팀원이 문제를 설명하고, 다른 팀원들이 문제를 맞히는 게임이다. 일부 회차에서는 지폐 세기, 진동 벨트 등의 규칙도 적용되었다.[1]
5. 3. 노래방
주어진 힌트를 보고 노래 제목을 맞혀 그 노래를 부르는 게임이다. 도중에 틀리면 상대 팀에게 기회가 넘어간다.[1] 일부 회차에서는 정해진 시간 안에 특정 곡에 도전하는 규칙도 적용되었다.[1] 이 경우 도중에 틀리거나 "꽝"이 나오면 도전이 종료된다.[1]
5. 4. 고요 속의 외침
큰 소리가 나는 헤드폰을 착용하고, 옆 팀원이 말한 단어를 전달하는 게임이다.
5. 5. 넷이서 한마음 (1999–2003년) → 퀴즈 5인 5답 (2003–2009년)
팀원들이 계단 세트에 서서 객관식 문제를 푸는 게임이다. 먼저 부저를 누른 팀에게 우선권이 주어지며, 답이 틀리거나 중복되거나 예시에 나온 경우, 또는 제한 시간을 초과하면 상대 팀에게 기회가 넘어간다.[1]
5. 6. 가문의 왕발
OX 퀴즈 문제를 듣고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쪽으로 달려가는 게임이다. 한쪽에 한 팀의 전원이 포함되어야 하며, 양 팀 팀원이 섞일 수 없다. 정답이 공개되면 틀린 쪽에 왕발이 떨어진다.[1]
6. 역대 진행자
《'''가족오락관'''》은 남녀 MC 각각 1명씩, 총 2명이 진행했다. 남성 MC는 허참이 첫 회부터 마지막 회까지 고정으로 진행했고, 여성 MC는 총 21명이 허참과 함께 진행했다. 이 중에서 KBS의 여자 아나운서는 총 11명(전직 5명, 현직 6명)이다.[1]
6. 1. 역대 여성 MC
《'''가족오락관'''》은 남성 MC와 여성 MC 각각 1명, 총 2명이 진행했다. 남성 MC는 故 허참이 첫 회부터 마지막 회까지 고정으로 맡았다. 故 허참과 함께 호흡을 맞춘 역대 여성 MC는 21명이며, 이 중에서 KBS의 여자 아나운서는 총 11명(전직 5명, 현직 6명)이다.대수 | 진행자 | 기간 | 비고 |
---|---|---|---|
1대 | 오유경 | 1984년 4월 3일 ~ 1985년 1월 22일 | [1] |
2대 | 정소녀 | 1985년 1월 29일 ~ 1987년 9월 29일 | [2] [3] |
3대 | 장혜영 | 1987년 10월 6일 ~ 1988년 10월 25일 | |
4대 | 최영미 | 1988년 11월 1일 ~ 1989년 5월 30일 | |
5대 | 김경희 | 1989년 6월 6일 ~ 1989년 10월 24일 | |
6대 | 김자영 | 1989년 10월 31일 ~ 1991년 10월 1일 | [4] |
7대 | 김혜영 | 1991년 10월 8일 ~ 1992년 10월 4일 | |
8대 | 전혜진 | 1992년 10월 9일 ~ 1994년 10월 7일 | |
9대 | 이유리 | 1994년 10월 14일 ~ 1995년 4월 27일 | |
10대 | 장서희 | 1995년 5월 4일 ~ 1995년 9월 6일 | |
11대 | 오현정 | 1995년 9월 13일 ~ 1996년 2월 28일 1997년 3월 5일 ~ 1997년 5월 14일 | |
12대 | 오영실 | 1996년 3월 6일 ~ 1997년 2월 26일 1999년 7월 21일 ~ 1999년 7월 28일 | |
13대 | 손미나 | 1997년 5월 21일 ~ 2001년 11월 3일 | |
14대 | 변우영 | 2001년 11월 17일 ~ 2002년 3월 30일 | |
15대 | 윤지영 | 2002년 4월 6일 ~ 2003년 6월 21일 | |
16대 | 박주아 | 2003년 6월 28일 ~ 2005년 10월 22일 | |
17대 | 박사임 | 2005년 11월 5일 ~ 2006년 3월 11일 | |
18대 | 이정민 | 2006년 3월 18일 ~ 2006년 11월 18일 | |
19대 | 김새롬 | 2006년 11월 25일 ~ 2007년 11월 3일 | |
20대 | 김보민 | 2007년 11월 10일 ~ 2008년 3월 29일 | |
21대 | 이선영 | 2008년 4월 5일 ~ 2009년 4월 18일 | |
7. 방송 시간
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방송 분량 |
---|---|---|---|
KBS 2TV | 1984년 4월 3일 ~ 1985년 2월 19일 | 매주 화요일 저녁 7:00 ~ 8:20 | 80분 |
1985년 2월 26일 ~ 1985년 4월 16일 | 매주 화요일 저녁 7:20 ~ 8:40 | 80분 | |
1985년 4월 23일 ~ 1985년 7월 2일 | 매주 화요일 저녁 7:20 ~ 8:30 | 70분 | |
1985년 7월 9일 ~ 1985년 10월 29일 | 매주 화요일 저녁 7:10 ~ 8:30 | 70분 | |
1985년 11월 5일 ~ 1986년 5월 20일 | 매주 화요일 저녁 7:35 ~ 8:25 | 50분 | |
1986년 5월 27일 ~ 1987년 11월 10일 | 매주 화요일 저녁 8:00 ~ 8:50 | 50분 | |
1987년 11월 17일 ~ 1990년 10월 23일 | 매주 화요일 저녁 7:05 ~ 7:55 | 50분 | |
1990년 10월 30일 ~ 1991년 5월 14일 | 매주 화요일 저녁 7:10 ~ 8:00 | 50분 | |
1991년 5월 21일 ~ 1992년 3월 31일 | 매주 화요일 저녁 8:05 ~ 8:55 | 50분 | |
1992년 4월 12일 ~ 1992년 10월 4일 | 매주 일요일 저녁 8:55 ~ 밤 9:50 | 55분 | |
1992년 10월 9일 ~ 1994년 2월 18일 | 매주 금요일 저녁 8:00 ~ 8:55 | 55분 | |
1994년 2월 25일 ~ 1994년 10월 7일 | 매주 금요일 저녁 8:35 ~ 밤 9:20 | 45분 | |
1994년 10월 14일 ~ 1995년 2월 17일 | 매주 금요일 저녁 8:30 ~ 밤 9:20 | 50분 | |
1995년 2월 23일 ~ 1995년 8월 31일 | 매주 목요일 저녁 8:30 ~ 밤 9:20 | 50분 | |
1995년 9월 6일 ~ 1996년 5월 8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30 ~ 밤 9:20 | 50분 | |
1996년 5월 15일 ~ 1997년 2월 26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25 ~ 밤 9:15 | 50분 | |
1997년 3월 5일 ~ 1997년 10월 15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35 ~ 밤 9:25 | 50분 | |
1997년 10월 22일 ~ 1997년 11월 19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20 ~ 밤 9:15 | 55분 | |
1997년 11월 26일 ~ 1998년 2월 11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50 ~ 밤 9:45 | 55분 | |
1998년 2월 18일 ~ 1998년 6월 10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45 ~ 밤 9:40 | 55분 | |
1998년 6월 17일 ~ 1998년 10월 7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40 ~ 밤 9:30 | 50분 | |
1998년 10월 14일 ~ 1999년 4월 28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50 ~ 밤 9:45 | 55분 | |
1999년 5월 5일 ~ 1999년 10월 13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50 ~ 밤 9:50 | 60분 | |
1999년 10월 20일 ~ 2000년 4월 26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55 ~ 밤 9:55 | 60분 | |
2000년 5월 4일 ~ 2000년 10월 5일 | 매주 목요일 저녁 7:00 ~ 8:00 | 60분 | |
KBS 1TV | 2000년 10월 14일 ~ 2008년 11월 15일 | 매주 토요일 저녁 6:00 ~ 7:00 | 60분 |
2008년 11월 22일 ~ 2009년 2월 28일 | 매주 토요일 저녁 7:10 ~ 8:10 | 60분 | |
2009년 3월 14일 ~ 2009년 4월 18일 | 매주 토요일 저녁 5:10 ~ 6:10 | 60분 |
8. 편성 변경 및 결방 사유
《가족오락관》은 1984년 4월 3일부터 2000년 10월 5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되었다. 2000년 KBS 봄 개편으로 일일시트콤과 2TV 일일드라마가 부활하면서,[1] 2000년 5월 4일부터 매주 수요일 저녁 8시 55분에서 목요일 저녁 7시로 시간대가 변경되었다. 그러나 SBS TV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일이》의 시청률을 넘지 못하자 2000년 KBS 가을 개편에 따라 KBS 1TV로 채널이 이관되어 2009년 4월 18일까지 방송되었다.
2003년 가을 개편 때 잠시 막을 내렸던[2] 《동물의 왕국》이 2004년 가을 개편 때 부활하고,[3] 2008년 가을 개편 때는 토요일과 일요일 주 2회 방송으로 확대 편성되면서, 《가족오락관》은 매주 토요일 저녁 7시 10분으로 변경되어 방송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는 《KBS 뉴스 9》와 겹치는 시간대였음에도 15~17%의 시청률을 기록했고, 2000년 가을부터 KBS 1TV로 채널이 변경되고 토요일 저녁으로 시간대가 옮겨졌음에도 10% 이상의 시청률을 꾸준히 유지했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부터 중장년층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변모하면서 젊은 층의 관심을 잃고, 《무한도전》, 《일요일이 좋다》 등에 밀려 시청률이 6~7%까지 하락했다.
2009년 봄, 《가족오락관》은 2월 28일 방송분 말미에 "다음 주 토요일 저녁 7시 10분"이라고 자막을 내보냈으나, 한 주 결방된 후 3월 14일부터 갑자기 토요일 오후 5시 10분으로 시간대가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시청률이 3.6%까지 급락했고, 결국 2009년 4월 18일을 끝으로 25년 만에 종영되었다.[4]
8. 1. 편성 변경
연도 | 날짜 | 내용 |
---|---|---|
1996년 | 12월 18일, 12월 25일 | 송년 특집 및 크리스마스 특집 (저녁 8시 20분 ~ 밤 9시 15분) |
1998년 | 4월 22일 | 700회 특집 (저녁 8시 30분 ~ 밤 9시 40분) |
1999년 | 2월 17일 | 설 특집 (저녁 8시 30분 ~ 밤 9시 45분) |
2000년 | 4월 5일 | 800회 특집 (저녁 8시 40분 ~ 밤 9시 55분) |
12월 30일 | 송년 특집 (저녁 5시 50분 조기 시작) | |
2002년 | 9월 7일 | 저녁 5시 30분 조기 시작 |
9월 21일 | 추석 특집 (저녁 5시 40분 ~ 저녁 6시 50분) | |
12월 21일 | 저녁 5시 30분 조기 시작 | |
2004년 | 6월 19일 | 1000회 특집 (저녁 5시 30분 ~ 저녁 7시) |
12월 25일 | 성탄 특집 (저녁 5시 50분 조기 시작) | |
2005년 | 9월 17일 | 추석 특집 (저녁 5시 50분 조기 시작) |
2006년 | 2월 18일 | 사랑의 리퀘스트 400회 특집으로 조기 종료 (저녁 6시 50분) |
2007년 | 2월 17일 | 설 특집 (저녁 5시 50분 ~ 저녁 7시) |
8. 2. 결방
연도 | 사유 |
---|---|
1984년 | 프로야구 중계방송 ([1]) |
1985년 | 다큐멘터리 및 특집 프로그램 편성 ([2], [3]) |
1988년 |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 여자 핸드볼 중계방송 ([4]) |
1990년 | KBS 사태 () |
1991년 | 신년 특집 프로그램 편성 () |
1994년 | KBS 가요대상 중계방송 () |
1995년 |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특보 () |
1998년 |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결승전 중계방송 () |
1999년 | KBS 코미디 대축제 중계방송 () |
2000년 | 2000년 시드니 하계 올림픽 축구 중계방송 () |
2001년 |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중계방송 () |
방송사 내부 사정 () | |
축구 친선경기 중계방송 () | |
2002년 FIFA 월드컵 조 추첨 중계방송 () | |
2002년 | 퀴즈 탐험 신비의 세계 특집 편성 () |
2002년 FIFA 월드컵 중계방송 () | |
K리그 중계방송 () | |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 () | |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대회 개막식 중계방송 () | |
2003년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추모 방송 () |
방송사 내부 사정 () | |
전국 장애인 가요제 중계방송 () | |
태풍 매미 피해 특보 () | |
2004년 |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 |
2004년 한국프로야구 올스타전 중계방송 () | |
방송사 내부 사정 () | |
2004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중계방송 () | |
2005년 | 국군 가요제 중계방송 () |
특집 프로그램 편성 () | |
APEC 대한민국-러시아 기자회견 중계방송 () | |
2006년 | 설 특집 방송사 내부 사정 () |
2006년 한국프로야구 개막전 중계 방송 () | |
방송사 내부 사정 () | |
A3 챔피언스컵 중계방송 () | |
2007년 | KBS 창사 특집 편성 () |
크리스마스 특집 방송사 내부 사정 () | |
2008년 |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중계방송 () |
2009년 | 방송사 내부 사정 (, ) |
참조
[1]
뉴스
KBS봄철개편-일일시트콤·사극 전면대치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0-04-26
[2]
뉴스
KBS, 11월 3일 가을 개편 실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3-10-20
[3]
뉴스
KBS TV, 프로그램 가을 개편 단행(종합)
https://entertain.na[...]
연합뉴스
2004-10-22
[4]
뉴스
[Interview] ‘가족오락관’ 26년 MC ‘대한민국 오락부장’ 허참
https://news.naver.c[...]
신동아
2010-03-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