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리시아의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리시아의 국가는 갈리시아의 공식 국가로, 1890년 에두아르도 폰달의 작사, 호세 베이가의 작곡으로 만들어졌다. 1923년 국가로 채택되었으나 스페인 프랑코 정권에 의해 사용이 금지되었다가, 1975년 프랑코 정권 붕괴 이후 다시 불리게 되었고, 갈리시아 자치 정부 수립 후 공식 국가로 지정되었다. 가사는 갈리시아 민족의 자긍심, 역사적 정체성, 미래에 대한 희망을 담고 있으며, 여러 차례 대중 문화에 등장하기도 했다.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폴란드 국가 대신 연주되는 해프닝이 발생하며 국제적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갈리시아의 국가인 "Os Pinos"는 1890년 작곡가 파스쿠알 베이가와 시인 에두아르도 폰달의 협업으로 탄생했다. 같은 해 라코루냐 음악 경연대회에서 처음 연주된 이후 여러 수정을 거쳐 1923년 정식 국가로 채택되었다.[6][7][8] 그러나 프랑코 정권 하에서는 금지되었다가, 1975년 정권 붕괴 이후 다시 불리게 되었다.[6][7][8]
갈리시아의 국가인 "Os Pinos"의 공식 가사(1984년 제정)와 한국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9][10][4]
2. 역사
2. 1. 기원
1890년, 작곡가 파스쿠알 베이가는 시인 에두아르도 폰달에게 국가의 가사를 써달라고 부탁하며, 채택될 경우 상금을 주겠다고 제안했다. 폰달은 이 요청에 따라 가사를 작성하여 베이가에게 보냈다. 하지만 베이가는 "가사가 리드미컬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다시 쓸 것을 요구했다.[6][7][8]
같은 해 3월 라코루냐에서 열린 음악경연대회에서 이 곡을 연주할지를 두고 찬반 논란이 있었으나, 결국 연주되었다.[6][7][8]
이후 여러 과정을 거치며 가사가 수정되었고, 1923년에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프랑코 정권 시기에는 이 노래가 법적으로 금지되는 시련을 겪기도 했다.[6][7][8]
1975년 프랑코 정권이 붕괴된 후에야 다시 자유롭게 불릴 수 있게 되었다.[6][7][8]
2. 2. 라코루냐 음악 경연대회 연주
1890년 3월 라코루냐에서 음악 경연대회가 열렸을 때, 이 국가를 연주해야 하는지에 대한 찬반 논쟁이 있었다. 하지만 여러 논의 끝에 결국 연주되었다.[6][7][8]
2. 3. 프랑코 정권 시대
여러 과정을 거쳐 수정된 후 1923년 정식으로 채택되었으나, 이후 들어선 프랑코 정권 하에서 법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었다.[6][7][8] 이는 당시 스페인 전역에 걸쳐 소수 민족의 언어와 문화를 억압했던 프랑코 정권의 정책 때문이었다. 이러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갈리시아인들에게 이 노래는 민족적 정체성을 상징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녔으며, 암암리에 불리며 저항의 상징이 되기도 했다. 1975년 프랑코 정권이 붕괴된 후에야 비로소 다시 자유롭게 불릴 수 있게 되었다.[6][7][8]
2. 4. 민주화 이후
프랑코 정권 시기에는 법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었으나,[6][7][8] 1975년 프랑코 정권이 붕괴된 이후 다시 자유롭게 불릴 수 있게 되었다.[6][7][8]
3. 가사
'''갈리시아어 (1984년 공식)'''
Que din os rumorosos
na costa verdecente,
ó raio transparente
do prácido luar?
Que din as altas copas
de escuro arume harpado
co seu ben compasado
monótono fungar?
Do teu verdor cinguido
e de benignos astros,
confín dos verdes castros
e valeroso chan,
non deas a esquecemento
da inxuria o rudo encono;
desperta do teu sono
fogar de Breogán.
Os bos e xenerosos
a nosa voz entenden,
e con arroubo atenden
o noso rouco son,
mais só os iñorantes,
e féridos e duros,
imbéciles e escuros
non nos entenden, non.
Os tempos son chegados
dos bardos das idades
que as vosas vaguidades
cumprido fin terán;
pois onde quer, xigante
a nosa voz pregoa
a redenzón da boa
nazón de Breogán.
'''한국어 번역'''
무성한 소문들이 무엇을 말하는가
푸르른 해안에서,
고요한 달빛의
투명한 광선에 비추어?
높은 나무 꼭대기들은 무엇을 말하는가
어두운 잎새가 켜낸
그들의 잘 조율된
단조로운 윙윙거림으로?
너의 푸르름으로 둘러싸이고
자애로운 별들로,
푸르른 언덕 요새의 경계
그리고 용감한 땅,
잊지 말아라
모욕의 거친 원한을;
너의 잠에서 깨어나라
브레오간의 고향.
선하고 관대한 자들은
우리의 목소리를 이해하고,
황홀경에 빠져 우리의
거친 소리에 귀 기울인다,
그러나 무지한 자들만이,
야만적이고 냉혹한 자들,
바보 같고 어두운 자들은
우리를 이해하지 못한다, 못한다.
때가 왔네
시대의 음유시인들이
너희의 방황이
완전한 종말을 맞이할 때가;
어디든, 거대한
우리의 목소리가 외친다
선한
브레오간 민족의 구원을.
가사의 원본 및 다른 언어 번역과의 비교, 상세한 해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가사 비교
아래는 1984년 공식 가사와 1890년 원본 가사, 그리고 비공식 영어 및 한국어 번역을 비교한 표이다.
갈리시아어, 1984 | 원래 가사, 1890 | 비공식 영어 가사 해석 | 한국어 해석 |
---|---|---|---|
다음은 갈리시아어 원문 가사와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영어 번역을 비교한 표이다.
3. 2. 가사 해석
wikitext
4. 대중 문화 속의 "Os Pinos"
(내용 없음)
4. 1. 1982년 FIFA 월드컵 오해
1982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 경기 중 비고에서 열린 폴란드와 이탈리아의 경기에서, 폴란드의 국가인 마주레크 동브로프스키 대신 갈리시아의 국가인 Os Pinos|오스 피노스glg가 실수로 연주되는 일이 있었다. 하지만 이탈리아 국가 연주 후, 스페인 국가와 함께 마주레크 동브로프스키가 다시 연주되었다.[5]참조
[1]
웹사이트
Queixumes dos pinos
https://academia.gal[...]
[2]
간행물
La métrica de Pandal
Publicación de Cuadernos de Estudios Gallegos, fascículo XV
1960
[3]
웹사이트
Origen y sentido del himno gallego, Boletín nº 356
https://academia.gal[...]
[4]
웹사이트
Himno Gallego
http://www.himnogall[...]
[5]
Youtube
https://www-dc3.dail[...]
[6]
웹사이트
Queixumes dos pinos
https://academia.gal[...]
[7]
간행물
La métrica de Pandal
Publicación de Cuadernos de Estudios Gallegos, fascículo XV
1960
[8]
웹사이트
Origen y sentido del himno gallego
https://academia.gal[...]
Boletín nº 356
[9]
웹사이트
Himno Gallego
http://www.himnogall[...]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