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화 곤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화 곤릉은 고려 고종의 어머니인 원덕태후의 능묘이다. 1212년 왕비로 책봉되어 연덕궁주가 되었으며, 1253년에 정강의 시호가 더해졌다. 곤릉은 석물이 없어지고 봉분과 담이 무너졌으나, 1974년에 현재 모습으로 정비되었다. 역사성을 인정받아 경기도 지정문화재에서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으로 승격 지정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화군의 무덤 - 강화 가릉
    강화 가릉은 고려 시대 왕비인 순경태후의 능으로, 묘제의 가치는 낮지만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고릉, 고종홍릉과 함께 역사적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 강화군의 무덤 - 강화 석릉
    희종의 능인 강화 석릉은 최충헌에 의해 폐위된 고려 21대 왕 희종이 유배된 강화도에 위치하며,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사적으로 승격 지정되었다.
  • 고려의 왕릉 - 공민왕릉
    공민왕릉은 고려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능으로, 9년에 걸쳐 건설되었으며, 석상과 함께 일제강점기 훼손 후 북한에서 보수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고려의 왕릉 - 고려왕릉
    고려왕릉은 유교와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 조성되었으며, 석상과 석수 등이 배치된 봉분과 돌담으로 둘러싸인 장방형 능역을 갖추고 있고, 잦은 외침과 도굴로 피해를 입었으며, 2013년에는 일부 왕릉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인천광역시의 사적 - 답동성당
    답동성당은 1897년 건립되어 1937년 증축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근대 건축물 중 하나로, 벽돌조 고딕 양식이며 프랑스 선교사 코스트 신부의 설계로 시작되어 P. 시잘레 신부에 의해 증축되었고, 지역사회 기여로 1980년 사적 제287호로 지정되었다.
  • 인천광역시의 사적 - 강화 가릉
    강화 가릉은 고려 시대 왕비인 순경태후의 능으로, 묘제의 가치는 낮지만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고릉, 고종홍릉과 함께 역사적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강화 곤릉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2011년 10월 강화 곤릉
2011년 10월
기본 정보
이름강화 곤릉 (江華 坤陵)
유형사적
지정 번호371
지정일1992년 3월 10일
주소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길정리 산75번지
시대고려시대
소유산림청
면적1,091m²
추가 정보
문화재청 ID13,03710000,23
참고url=http://gwanbo.mois.go.kr/gwanbo/dailyGazetteList.gz?searchDate=20110728&tSearchDate=20110728
과거 정보
종류경기도 기념물
지정 번호 (과거)6
지정일 (과거)1972년 7월 3일
해제일 (과거)1992년 3월 10일
문화재청 ID (과거)23,00060000,31

2. 생애

원덕태후는 고종의 어머니로, 강종 1년(1212년)에 왕비가 되어 연덕궁주라 불렸다. 이후 원덕태후로 추존되었고 1253년에 정강이라는 시호가 더해졌으나, 언제 사망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

곤릉의 석물은 없어졌고 봉분과 무덤을 둘러싼 담도 무너졌던 것을 1974년에 지금의 모습으로 손질하여 고쳤다.

2. 1. 왕비 책봉과 추존

고종의 어머니인 원덕태후는 강종 1년(1212년)에 왕비로 책봉되었고 연덕궁주라 불렸다. 훗날 원덕태후로 추존되었으며, 1253년에는 정강이라는 시호가 더해졌다. 원덕태후가 언제 사망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

3. 능묘

고종의 어머니 원덕태후는 강종 1년(1212)에 왕비가 되어 연덕궁주라 불렸다. 이후 원덕태후로 추대되고 1253년에 정강이라는 시호가 더해졌으나, 언제 사망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

3. 1. 현황

석물은 없어졌고 봉분과 무덤을 둘러싼 담도 무너졌던 것을 1974년에 지금의 모습으로 손질하여 고쳤다.

3. 2. 사적 승격

이 유적들은 고려시대 왕릉 또는 왕비릉으로서 묘제상으로는 지정 가치가 없으나, 역사성이 인정되고, 고려 고양 공양왕릉(사적 제191호)과 고려 강화 홍릉(사적 제224호)이 이미 사적으로 지정된 바 있으므로, 경기도 지정문화재(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것을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으로 승격 지정하고자 한다.[1]

참조

[1] 간행물 문화재<사적>지정 http://theme.archive[...] 문화부장관 1992-03-10
[2]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명칭 변경 및 지정·해제 고시 http://gwanbo.mois.g[...] 문화재청장 2011-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