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강희언(姜熙彦, 1710년 ~ 1784년)은 조선 후기의 화가입니다. 본관은 진주(晋州)이며, 자는 경운(景運), 호는 담졸(澹拙)입니다.
생애 및 활동:
- 1710년(숙종 36년)에 태어났으며, 만호(萬戶)를 지낸 강태복(姜泰復)의 아들이며, 정내교(鄭來橋)의 외손자입니다.
- 1754년(영조 30년) 운과(雲科: 음양과)에 급제하여 감목관(監牧官)을 지냈습니다.
- 서울 삼청동에서 진경산수화가인 정선(鄭敾)과 이웃하여 살면서 그림을 배웠습니다.
- 강세황(姜世晃)과 교유가 깊었고, 김홍도(金弘道)와도 친분이 두터웠습니다. 김홍도는 1778년 강희언의 집에서 풍속도 병풍을 그리기도 했습니다.
- 1781년까지 생존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작품:
- 대표작으로는 「인왕산도(仁王山圖)」, 「석공도(石工圖)」, 「사인삼경도(士人三景圖)」 등이 있습니다.
- 「인왕산도」는 정선의 실경산수화풍을 따랐으며, 미점과 부벽준 등을 혼용하여 바위표현을 하고 수지법 등에서 정선의 영향을 볼 수 있습니다.
- 「석공도」등의 풍속화는 윤두서, 조영석 등의 사인파 풍속화의 전통을 계승하고 김홍도의 풍속화풍 형성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평가:
- 정선의 영향을 받은 진경산수화와 더불어, 풍속화에도 뛰어났던 화가로 평가받습니다.
- 그의 풍속화는 김홍도에게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의의가 있습니다.
강희언 | |
---|---|
강희언 | |
![]() | |
본관 | 진주(晉州) |
자 | 사철(士哲) |
호 | 담졸(澹拙), 긍재(肯齋) |
시대 | 조선 |
활동 분야 | 화가 |
생애 | |
출생 | 1710년 |
사망 | 1784년 |
가족 관계 | 할아버지: 강현(姜鋧) 아버지: 강세황(姜世晃) 아들: 강이오(姜彛五) 손자: 강진(姜진) 증손자: 강시영(姜始永) |
작품 | |
대표 작품 | 《사인사도(士人射圖)》 《산수도(山水圖)》 《계정도(溪程圖)》 《하경산수도(夏景山水圖)》 《설경산수도(雪景山水圖)》 《추경산수도(秋景山水圖)》 《춘경산수도(春景山水圖)》 《추강만흥도(秋江晩興圖)》 《고사탁족도(高士濯足圖)》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