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밀아재비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밀아재비속은 벼과에 속하는 식물 속이다. 이 속에는 개밀아재비, 갯그령, 수염개밀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이 있다. 자불론스키퍼나비의 애벌레는 개밀아재비속 식물을 먹이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8년 기재된 식물 - 파출리
파촐리는 동남아시아 원산의 꿀풀과 관목으로, 녹색 잎에서 추출한 오일은 향수, 향, 방충제 등으로 쓰이며, 실크로드 방충제나 히피 문화의 인기 등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1848년 기재된 식물 - 우니
우니는 칠레 남부와 뉴질랜드에서 자라는 상록수로 관상용으로도 쓰이며, 로빈슨 크루소 섬에서 외래종으로 확산되어 생태계를 교란하기도 하지만 후안 페르난데스 제도에서는 열매를 활용한 제품 개발로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잼, 주스, 리큐어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보리족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 보리족 - 개밀
개밀은 벼과 에조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들이나 길가에서 흔히 자라며 보랏빛 꽃이 피고, 푸른개밀과 유사하나 흰색을 띠며 건조 시 까끄라기가 뒤로 젖혀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개밀아재비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학명 | Leymus |
명명자 | Hochst. |
모식종 | L. arenarius (L.) Hochst. |
분류 정보 | |
계 | 식물계 |
미분류 군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군 | 외떡잎식물군 |
미분류 군 | 닭의장풀군 |
목 | 벼목 |
과 | 벼과 |
아과 | 포아풀아과 |
족 | 보리족 |
아족 | 보리아족 |
하위 분류 | |
하위 종 | 본문 참조 |
이명 |
2. 하위 종
- 개밀아재비 ''L. chinensis'' (Trin.) Tzvelev
- 갯그령 ''L. mollis'' (Trin.) Pilg.
- 수염개밀 ''L. duthiei'' (Stapf ex Hook.f.) C.Yen, J.L.Yang & B.R.Baum
- * ''L. d.'' var. ''japonicus'' (Hack.) C.Yen, J.L.Yang & B.R.Baum
- ''L. aemulans'' (Nevski) Tzvelev
- ''L. ajanensis'' (J.J.Vassil.) Tzvelev
- ''L. akmolinensis'' (Drobow) Tzvelev
- ''L. alaicus'' (Korsh.) Tzvelev
- ''L. altus'' D.F.Cui
- ''L. ambiguus'' (Vasey & Scribn.) D.R.Dewey
- ''L. angustus'' (Trin.) Pilg.
- ''L. arenarius'' (L.) Hochst.
- ''L. aristiglumis'' L.B.Cai
- ''L.'' × ''buriaticus'' Peschkova
- ''L. cappadocicus'' (Boiss. & Bal.) Melderis
- ''L. cinereus'' (Scribn. & Merr.) Á.Löve
- ''L. condensatus'' (J.Presl) Á.Löve
- ''L. crassiusculus'' L.B.Cai
- ''L. divaricatus'' (Drobow) Tzvelev
- ''L. erianthus'' (Phil.) Dubc.
- ''L.'' × ''fedtschenkoi'' Tzvelev
- ''L. flavescens'' (Scribn. & J.G.Sm.) Pilg.
- ''L. flexilis'' (Nevski) Tzvelev
- ''L. flexus'' L.B.Cai
- ''L. golmudensis'' Y.H.Wu
- ''L. innovatus'' (Beal) Pilg.
- ''L.'' × ''jenisseiensis'' (Turcz.) Tzvelev
- ''L. karelinii'' (Turcz.) Tzvelev
- ''L. komarovii'' (Roshev.) J.L.Yang & C.Yen
- ''L. kopetdaghensis'' (Roshev.) Tzvelev
- ''L. lanatus'' (Korsh.) Tzvelev
- ''L. latiglumis'' Tzvelev
- ''L. leptostachyus'' L.B.Cai & X.Su
- ''L. multicaulis'' (Kar. & Kir.) Tzvelev
- ''L.'' × ''multiflorus'' (Gould) Barkworth & R.J.Atkins
- ''L. mundus'' L.B.Cai & X.Su
- ''L. nikitinii'' (Czopanov) Tzvelev
- ''L. oblongolemmatus'' L.Zhi & L.B.Cai
- ''L. obvipodus'' L.B.Cai
- ''L. ordensis'' Peschkova
- ''L. paboanus'' (Claus) Pilg.
- ''L. pacificus'' (Gould) D.R.Dewey
- ''L. paucispiculus'' L.B.Cai
- ''L. pendulus'' L.B.Cai
- ''L. pishanicus'' S.L.Lu & Y.H.Wu
- ''L. pluriflorus'' L.B.Cai & Tong L.Zhang
- ''L. pseudoracemosus'' C.Yen & J.L.Yang
- ''L. pubens'' H.X.Xiao
- ''L. pubinodis'' (Keng) Á.Löve
- ''L. racemosus'' (Lam.) Tzvelev
- ''L.'' × ''ramosoides'' Tzvelev
- ''L. ramosus'' (K.Richt.) Tzvelev
- ''L. ruoqiangensis'' S.L.Lu & Y.H.Wu
- ''L. salina'' (M.E.Jones) Á.Löve
- ''L. secalinus'' (Georgi) Tzvelev
- ''L. shanxiensis'' G.H.Zhu & S.L.Chen
- ''L. sibiricus'' (Trautv.) J.L.Yang & C.Yen
- ''L.'' × ''sphacelatus'' Peschkova
- ''L. spiniformis'' L.B.Cai & X.Su
- ''L. tianschanicus'' (Drobow) Tzvelev
- ''L. triticoides'' (Buckley) Pilg.
- ''L.'' × ''tuvinicus'' Peschkova
- ''L.'' × ''vancouverensis'' (Macoun ex Vasey) Pilg.
- ''L. villosissimus'' (Scribn.) Tzvelev
- ''L. yiunensis'' N.R.Cui & D.F.Cui
- ''L. yiwuensis'' L.B.Cai
3. 생태적 역할
(내용 없음)
3. 1. 나비 먹이 식물
나비의 애벌레가 ''개밀아재비속''을 먹이로 하는 종으로는 자불론스키퍼나비가 있다.참조
[1]
웹사이트
Tropicos, Leymus Hochst.
http://www.tropicos.[...]
[2]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3]
간행물
Hochstetter, Christian Ferdinand Friedrich. 1848. Flora 31(7): 118, in footnote
https://www.biodiver[...]
[4]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2 Page 387 Leymus Hochstetter
http://www.efloras.o[...]
[5]
웹사이트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3 county distribution maps
http://bonap.net/NAP[...]
[6]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http://www.ipni.org/[...]
[7]
간행물
Hochstetter, Christian Ferdinand Friedrich. 1848. Flora, oder (Allgemeine) Botanischer Zeitung. Regensberg, Jena 31(7): 118.
https://www.biodi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