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목상어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목상어과는 7속 10종으로 구성된 상어 과이다. 다루마자메, 요로이자메 등이 한국 해역에 서식하며, 카이트핀 상어, 꼬리 빛 상어, 피그미 상어, 긴코 피그미 상어, 쿠키커터 상어, 포켓 상어, 작은눈 피그미 상어, 가시 피그미 상어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멸종된 종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검목상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Dalatiidae |
명명자 | J. E. Gray, 1851 |
모식종 | Squalus licha |
모식종 명명자 | Bonnaterre, 1788 |
분포 | 전 세계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연골어강 |
목 | 돔발상어목 |
과 정보 | |
다양성 | 8개 속, 13종 (본문 참조) |
형태 | |
시간 척도 | |
화석 범위 | 팔레오세-현생, |
2. 분류
검목상어과는 7속 10종으로 구성되어 있다.[1] 한국 해역에는 요로이자메와 다루마자메 등이 서식한다.
속 | 학명 | 명명자 | 종 | 한국어 명칭 | 비고 |
---|---|---|---|---|---|
달라티아스속 | Dalatias | 라피네스크, 1810 | 요로이자메 (Dalatias licha) †Dalatias orientalis | 요로이자메 | |
유프로토마이크로이데스속 | Euprotomicroides | 훌리 및 M. J. 페니트, 1966 | 아카리코비토자메 (Euprotomicroides zantedeschia) | 아카리코비토자메 | |
유프로토마이크루스속 | Euprotomicrus | T. N. 길, 1865 | 오키코비토자메 (Euprotomicrus bispinatus) | 오키코비토자메 | |
헤테로스킴노이데스속 | Heteroscymnoides | 파울러, 1934 | 나가하나코비토자메 (Heteroscymnoides marleyi) | 나가하나코비토자메 | |
이시스티우스속 | Isistius | T. N. 길, 1865 | 다루마자메 (Isistius brasiliensis) 코히레다루마자메 (Isistius plutodus) | 다루마자메 | |
몰리스쿠아마속 | Mollisquama | 돌가노프, 1984 | 후쿠로자메 (Mollisquama parini) Mollisquama mississippiensis | 후쿠로자메 | |
스쿠알리올루스속 | Squaliolus | H. M. 스미스 및 래드클리프, 1912 | 츠라나가코비토자메 (Squaliolus aliae) 오오메코비토자메 (Squaliolus laticaudus) | 츠라나가코비토자메 | |
†에오스쿠알리올루스속 | Eosqualiolus | Adnet, 2006 | †Eosqualiolus aturensis †Eosqualiolus skrovinai | 멸종 |
2. 1. 달라티아스속 (''Dalatias'')
'''달라티아스속'''(Dalatiasla)은 검목상어과의 한 속으로, 라피네스크가 1810년에 명명했다. 요로이자메와 멸종된 종인 ''Dalatias orientalis'' 두 종을 포함한다. 요로이자메는 최대 몸길이 1.8m까지 자라며,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한국 해역에도 서식한다.
2. 1. 1. 요로이자메 (''Dalatias licha'')
Dalatias licha|달라티아스 리차영어(Bonnaterre, 1788)는 검목상어과에 속하는 상어의 일종이다. 몸길이는 최대 1.8m이다. 등쪽은 짙은 갈색 또는 검은색이고, 배쪽은 밝은 색이다. 지느러미 가장자리가 흰색인 것이 특징이다.2. 1. 2. †''Dalatias orientalis''
Dalatias orientalisla는 멸종된 종이다.[1]2. 2. 유프로토마이크로이데스속 (''Euprotomicroides'')
훌리와 M. J. 페니트가 1966년에 유프로토마이크로이데스속(''Euprotomicroides'')을 처음 기술했다. 이 속에는 아카리코비토자메(''Euprotomicroides zantedeschia'') 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연안에서 발견된다.[1]2. 2. 1. 아카리코비토자메 (''Euprotomicroides zantedeschia'')
아카리코비토자메(''Euprotomicroides zantedeschia'')는 1966년 훌리(Hulley)와 M. J. 펜리스(M. J. Penrith)가 처음 기술하였다. Euprotomicroides영어 속에 속하며, 몸길이는 최대 26cm이다. 몸은 가늘고 길며, 꼬리지느러미 아래쪽에 발광 기관이 있다.2. 3. 유프로토마이크루스속 (''Euprotomicrus'')
T. N. 길이 1865년에 처음 기재한 유프로토마이크루스속(''Euprotomicrus'')은 오키코비토자메속이라고도 불린다. 이 속에는 유프로토마이크루스 비스피나투스(''Euprotomicrus bispinatus'')[1] 종이 있으며, 콰이와 가이마르가 1824년에 처음 발견했다. 이 종은 최대 27cm까지 자라며, 전 세계 열대 해역에 분포한다.2. 3. 1. 오키코비토자메 (''Euprotomicrus bispinatus'')
Euprotomicrus bispinatus|오키코비토자메영어는 몸길이가 최대 27cm이다. 몸은 가늘고 길며, 눈이 크고 주둥이는 짧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고, 뒷지느러미는 없다.2. 4. 헤테로스킴노이데스속 (''Heteroscymnoides'')
파울러가 1934년에 처음 기재한 헤테로스킴노이데스속은 나가하나코비토자메속이라고도 불린다. 나가하나코비토자메(''Heteroscymnoides marleyi'')[1]가 유일하게 알려진 종이며, 몸길이는 최대 37cm까지 자란다. 서인도양에서 발견된다.2. 4. 1. 나가하나코비토자메 (''Heteroscymnoides marleyi'')
나가하나코비토자메(Heteroscymnoides marleyi영어)는 몸길이가 최대 37cm이다. 주둥이가 길고 뾰족한 것이 특징이다. 1934년 파울러(Fowler)가 처음 기재했다.[1]2. 5. 이시스티우스속 (''Isistius'')
이시스티우스속(''Isistius'')은 T. N. 길이 1865년에 명명했으며, 다루마자메속이라고도 한다. 몸길이는 최대 50cm까지 자란다.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한국 해역에도 서식한다.[1] 이 속에는 다음 2종이 있다.- 다루마자메(''Isistius brasiliensis'') (콰이 & 가이마르, 1824) (쿠키커터 상어)
- 코히레다루마자메(''Isistius plutodus'') (개릭 & S. 스프링어, 1964) (대형 치 쿠키커터 상어)
2. 5. 1. 다루마자메 (''Isistius brasiliensis'')
Isistius brasiliensis영어는 몸길이가 최대 50cm이다. 몸은 원통형이고, 주둥이는 짧고 둥글다. 다른 큰 물고기나 해양 포유류에 붙어 살점을 뜯어먹는 외부 기생 생활을 한다.[1]2. 5. 2. 코히레다루마자메 (''Isistius plutodus'')
Isistius plutodus영어는 몸길이가 최대 42cm이다. 다루마자메보다 이빨이 크고 넓다.2. 6. 몰리스쿠아마속 (''Mollisquama'')
몰리스쿠아마속(''Mollisquama'')은 돌가노프가 1984년에 명명한 속으로, 후쿠로자메라고도 한다. 몸길이는 최대 40cm까지 자란다. 멕시코만과 페루 연안에서 발견된다.- ''몰리스쿠아마 파리니'' (돌가노프, 1984) (포켓 상어)
- ''몰리스쿠아마 미시시피엔시스'' (Grace, Doosey, Denton, Naylor, Bart & Maisey, 2019) (아메리카 포켓 상어)
2. 6. 1. 후쿠로자메 (''Mollisquama parini'')
Mollisquama parini영어는 검목상어과에 속하는 상어의 일종이다.[1] 몸길이는 최대 40cm이다.[2] 가슴지느러미 기부 근처에 주머니 모양의 기관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2]2. 6. 2. 아메리카 포켓 상어 (''Mollisquama mississippiensis'')
Mollisquama mississippiensis영어는 2019년에 신종으로 기재되었다.2. 7. 스쿠알리올루스속 (''Squaliolus'')
스쿠알리올루스속()은 H. M. 스미스 및 래드클리프가 1912년에 명명했으며, 츠라나가코비토자메속이라고도 한다. 몸길이는 최대 28cm까지 자란다. 서태평양과 서대서양에 분포한다.[1] 이 속에는 다음 두 종이 포함된다.- 스쿠알리올루스 알리아에(''Squaliolus aliae'') (텡, 1959) (작은눈 피그미 상어)
- 스쿠알리올루스 라티카우두스(''Squaliolus laticaudus'') (H. M. 스미스 및 래드클리프, 1912) (가시 피그미 상어)
2. 7. 1. 츠라나가코비토자메 (''Squaliolus aliae'')
Squaliolus aliae|츠라나가코비토자메영어는 몸길이가 최대 22cm이다. 눈이 작은 것이 특징이다.2. 7. 2. 오오메코비토자메 (''Squaliolus laticaudus'')
오오메코비토자메(Squaliolus laticaudus영어)는 몸길이가 최대 28cm이다.[1] 꼬리 지느러미가 넓은 것이 특징이다.[1]2. 8. †에오스쿠알리올루스속 (''Eosqualiolus'')
Eosqualiolus영어속은 멸종된 속이다.[1]참조
[1]
논문
AN EARLY CENOZOIC NEOSELACHIAN SHARK FAUNA FROM THE SOUTHWEST PACIFIC
https://onlinelibrar[...]
2008
[2]
서적
Sharks, Skates, and Rays: The Biology of Elasmobranch Fish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9
[3]
논문
Miocene Elasmobranchii from the Duho Formation, South Korea
[4]
서적
Sharks, Skates, and Rays: The Biology of Elasmobranch Fishes
JHU Press
1999
[5]
뉴스
深海の「光るサメ」を新たに発見、脊椎動物で最大
https://natgeo.nikke[...]
[6]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