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래퍼 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등래퍼 2는 2018년에 방송된 Mnet의 힙합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넉살이 MC를 맡았으며, 딥플로우, 산이, 치타, 그루비룸, 행주, 보이비가 멘토로 참여했다. 김하온이 최종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로한, 이병재, 윤진영, 조원우가 파이널에 진출했다. 프로그램은 1차 팀 대항전, 2차 팀 대항전, 세미파이널, 파이널 등의 경연을 통해 우승자를 가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등래퍼 - 고등래퍼 (시즌 1)
Mnet에서 2017년에 방영된 고등래퍼 시즌 1은 정준하, 하하 진행, 여러 멘토들의 참여, 그리고 양홍원의 우승으로 마무리된 고등학생 대상 랩 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참가자 인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예인 참여와 지역 참가자 경쟁으로 관심을 받았다. - 고등래퍼 - 고등래퍼 3
고등래퍼 3는 2019년에 엠넷에서 방영된 힙합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이영지가 우승했으며 넉살과 딘딘이 MC를, 그루비룸, 더 콰이엇 & 코드 쿤스트, 기리보이 & 키드밀리, 행주 & 보이비가 멘토로 참여했다. - 엠넷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퀸덤 (텔레비전 프로그램)
《퀸덤》은 Mnet에서 방송된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 여성 K-POP 그룹들이 경연을 펼쳐 시즌 1에서는 마마무가, 시즌 2에서는 우주소녀가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 엠넷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엠카운트다운
엠카운트다운은 2004년 7월 29일 엠넷에서 첫 방송을 시작하여 tvN 동시 생방송과 전 세계 80여 개국 송출을 통해 K-POP 세계화에 기여하며 성장해 온 종합 차트 프로그램이다. - 2018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이 시각 뉴스룸
《이 시각 뉴스룸》은 2018년 4월 16일부터 JTBC에서 방송되는 뉴스 프로그램으로, 평일과 주말에 방송되며, 현재는 주말 오전 11시 55분(토요일)과 오전 11시 45분(일요일)에 방송되고, 앵커는 JTBC 소속 기자 또는 아나운서가 격주로 진행한다. - 2018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복수가 돌아왔다
SBS에서 방영된 《복수가 돌아왔다》는 학교 폭력 누명으로 퇴학당한 강복수가 복수를 위해 학교로 돌아가 예상치 못한 사건에 휘말리는 유쾌한 힐링 학원 로맨스 드라마이다.
고등래퍼 2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프로그램 정보 | |
방송 채널 | Mnet |
방송 기간 | 2018년 2월 23일 ~ 2018년 4월 13일 |
방송 횟수 | 8부작 |
방송 시간 | 금요일 밤 11시 |
시청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
장르 | 오디션 |
이전 시즌 | 고등래퍼 1 |
다음 시즌 | 고등래퍼 3 |
언어 | 한국어 |
제작진 | |
기획 | Mnet |
2. 진행자
넉살
는 8,000명의 지원자 중 제작진이 선발한 32명의 고등학생 래퍼들이 경쟁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3. 참가자
예비 1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이예찬 박진오 김하온 윤진영 하선호 석민 배연서 김윤호 김민석 이민우 이병재 방재민 박지원 김효동 조원우 박준호 지민혁 윤병호 오담률 고준서 김근수 휘영 김은지 이승화 박영서 엘리스 이지은 김세령 송재훈 빈하늘 김성호 조은산 순위 이름 예명 소속사 소속그룹 1위 김하온 HAON, 前JUSTON H1GHR KIFF CLAN Top5(2위) 이로한, 前배연서 Rohann, 前Webster B VMC KIFF CLAN, NFL, VMC Top5(3위) 이병재 빈첸, 前Vincentius 로맨틱팩토리 KIFF CLAN, 前MTKS Top5(4위) 윤진영 애쉬 아일랜드, 前Clloud AMBITION PABLO MU2IK, 前Wayside Town Top5(5위) 조원우 Jowonu, 前H2ADIN 하이라이트 Top10
(6위)윤병호 불리 다 바스타드, 前Playboi F.T.W, 前FAME 前딕키즈, 前THE TEACHERS Top10
(7위)김윤호 옌자민 브랜뉴 KIFF CLAN Top10
(8위)방재민 a.mond PLVL, 前로맨틱팩토리, 前아메바컬쳐 KIFF CLAN, Nopo, I den ti, S.O.U.L Top10
(9위)박준호 PULLIK 그랜드라인 EUMCHA1LD Top10
(10위)김근수 근수 SHYchair, 前SPIXY Top12
(11위)이예찬 $ice Top12
(12위)오담률 김농밀, 前CHIN CHILLA 밀리언마켓 Top16
(13위)이승화 Ellick PABLO Top16
(14위)박진오 J1NO Top16
(15위)이지은 이사벨라 핫도그 Top16
(16위)하선호 Sandy 업보트, 前미스틱 前힙합걸Z Top32 휘영 휘영 FNC SF9 Top32 송재훈 JAE HUN Top32 이민우 Top32 김효동 CIAN, 前Wavy 센티넬 Top32 김민석 Top32 김성호 Top32 박영서 클라우디베이 PABLO MU2IK Top32 박지원 Top32 석민 Top32 조은산 Top32 김세령 라파엘, 前Rose, 前Bnom, 前DOGGYNOM 前딕키즈 Top32 지민혁 킹 Top32 고준서 Top32 김은지 사츠키 Top32 빈하늘 前싸이더스, 前아티스타, 前더블킥, 前샛별당 Top32 안소연 엘리스 케이플러스홀딩스
4. 경연 방식
처음에는 같은 학년 학생들끼리 프리스타일 랩 배틀을 통해 각 학년 대표를 뽑고, 학년 대표들이 팀원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4개의 팀을 구성했다.이예찬 팀 석민 팀 김하온 팀 김윤호 팀 이예찬 석민 김하온 김윤호 윤병호 배연서 이병재 조원우 김세령 오담률 하선호 방재민 지민혁 윤진영 고준서 김효동 이지은 송재훈 조은산 김근수 앨리스 이승화 박준호 빈하늘 김은지 김성호 휘영 박지원 박진오 박영서 김민석 이민우
각 팀은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가사로 프로듀서들의 심사를 받아 상위 4명만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프로듀서들은 각 학생에게 최대 50점, 팀당 최대 200점을 부여했다. 이후 각 팀은 멘토를 선정했다.
이후 시 또는 소설을 주제로 한 1차 팀 대항전, 멘토와 함께하는 공연 및 멘토 비트에 맞춘 공연으로 구성된 2차 팀 대항전을 거쳤다.
세미파이널에서는 개인 무대 후 관객 투표를 통해 상위 5명이 파이널에 진출했다. 파이널에서는 1차, 2차 투표 합산 결과로 최종 순위가 결정되었으며, 김하온이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4. 1. 1차 팀 대항전
제작진이 8,000명의 지원자 중 32명을 선발하여, 시 또는 소설 작품을 바탕으로 노래를 작사하는 1차 팀 대항전을 진행했다. 각 팀은 4명으로 구성되어 두 명씩 그룹을 나누어 다른 그룹과 경쟁했으며, 패배한 그룹에서는 한 명만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고 다른 한 명은 탈락했다.
colspan="2" | 분류 | 멘토 | colspan="2" | 그룹 | 노래 | 점수 | ||
---|---|---|---|---|---|---|---|---|
rowspan="4" | 시 | rowspan="2" | VS | 산이(San E), 치타(Cheetah) | 조원우 | 김근수 | 쓸데없는 것들을 버려 | 59 |
행주(Hangzoo), 보이비(Boi B) | 윤진영 | 이승화 | 흔들리는 꽃 | 41 | ||||
rowspan="2" | VS | 행주(Hangzoo), 보이비(Boi B) | 배연서 | 오담률 | 북 | 85 | ||
그루비룸(Groovy Room) | 이병재 | 하선호 | 타는 갈증으로 | 15 | ||||
rowspan="4" | 소설 | rowspan="2" | VS | 그루비룸(Groovy Room) | 김하온 | 박준호 | 어린 왕자 | 79 |
딥플로우(Deepflow) | 윤병호 | 박진오 | 완득이 | 21 | ||||
rowspan="2" | VS | 산이(San E), 치타(Cheetah) | 김윤호 | 방재민 | 오성과 한음 | 81 | ||
딥플로우(Deepflow) | 이예찬 | 이지은 | 동백꽃 | 19 |
4. 1. 1. 탈락자
하선호, 박진오, 이승화, 이지은은 2차 팀 대항전에서 패배하여 탈락했다.[1]분류 | 멘토 | 그룹 | 노래 | 점수 | 비고 | ||
---|---|---|---|---|---|---|---|
시 | VS | 산이(San E), 치타(Cheetah) | 조원우 | 김근수 | 쓸데없는 것들을 버려 | 59 | |
행주(Hangzoo), 보이비(Boi B) | 윤진영 | 이승화 | 흔들리는 꽃 | 41 | 이승화 탈락 | ||
VS | 행주(Hangzoo), 보이비(Boi B) | 배연서 | 오담률 | 북 | 85 | ||
그루비룸(Groovy Room) | 이병재 | 하선호 | 타는 갈증으로 | 15 | 하선호 탈락 | ||
소설 | VS | 그루비룸(Groovy Room) | 김하온 | 박준호 | 어린 왕자 | 79 | |
딥플로우(Deepflow) | 윤병호 | 박진오 | 완득이 | 21 | 박진오 탈락 | ||
VS | 산이(San E), 치타(Cheetah) | 김윤호 | 방재민 | 오성과 한음 | 81 | ||
딥플로우(Deepflow) | 이예찬 | 이지은 | 동백꽃 | 19 | 이지은 탈락 |
4. 2. 2차 팀 대항전
2차 팀 대항전은 멘토와 함께하는 합동 공연과 멘토의 비트에 맞춰 랩을 하는 공연으로 진행되었다. 각 팀은 1차 팀 대항전 경연 결과에 따라,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가사로 프로듀서들의 심사를 거쳐 상위 4명만이 2차 팀 대항전에 진출했다. 프로듀서들은 각 학생에게 최대 50점, 학생당 최대 200점을 줄 수 있었다.순위 | 학생 | 점수 | % |
---|---|---|---|
1 | 윤병호 | 171 | 85.5 |
2 | 이예찬 | 157 | 78.5 |
3 | 박진오 | 141 | 70.5 |
4 | 이지은 | 121 | 60.5 |
5 | 김세령 | 116 | 58.0 |
6 | 지민혁 | 115 | 57.5 |
- | 김은지 | - | - |
- | Alice | - | - |
김은지와 Alice의 결과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후, 딥플로우가 팀의 멘토가 되었다.
이후, 팀은 행주와 보이비를 멘토로 선택했다.
순위 | 학생 | 점수 | % |
---|---|---|---|
1 | 김하온 | 191 | 95.5 |
2 | 이병재 | 180 | 90.0 |
3 | 하선호 | 162 | 81.0 |
4 | 박준호 | 159 | 79.5 |
5 | 휘영 | 154 | 77.0 |
6 | 김민석 | 153 | 76.5 |
7 | 조은산 | 128 | 64.0 |
8 | 고준서 | 63 | 31.5 |
이후, 그루비룸이 팀의 멘토로 선택되었다.
빈하늘의 결과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후, 팀은 산이와 치타를 멘토로 선택했다.
4. 2. 1. 멘토 합동 공연
멘토와 참가자가 함께 무대를 꾸몄다. 학생들은 두 그룹으로 나뉘어 경쟁했으며, 한 그룹은 멘토와 학생들이 함께 공연했고, 다른 그룹은 학생들이 멘토가 제작한 비트에 맞춰 공연했다. 상위 3위 안에 들지 못한 학생들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할 수 없었다.[1]멘토 | 학생 | 게스트 심사위원 (200점 만점) | % | 관객 (300점 만점) | % | 총점 (500점 만점) | % |
---|---|---|---|---|---|---|---|
딥플로우 | 윤병호 | 176 | 88.0 | 262 | 87.3 | 438 | 87.6 |
그루비룸 | 박준호 | 161 | 80.5 | 242 | 80.7 | 403 | 80.6 |
산이, 치타 | 방재민, 김근수 | 124 | 62.0 | 272 | 90.7 | 396 | 79.2 |
행주, 보이비 | 오담률 | 121 | 60.5 | 234 | 78.0 | 355 | 71.0 |
멘토 | 학생 | 게스트 심사위원 (200점 만점) | % | 관객 (300점 만점) | % | 총점 (500점 만점) | % |
---|---|---|---|---|---|---|---|
그루비룸 | 김하온, 이병재 | 190 | 95.0 | 281 | 93.7 | 471 | 94.2 |
행주, 보이비 | 배연서, 윤진영 | 170 | 85.0 | 294 | 98.0 | 464 | 92.8 |
산이, 치타 | 조원우, 김윤호 | 156 | 78.0 | 266 | 88.7 | 422 | 84.4 |
딥플로우 | 이예찬 | 154 | 77.0 | 218 | 72.7 | 372 | 74.4 |
4. 2. 2. 멘토 비트 공연
멘토가 제공한 비트에 맞춰 참가자들이 랩을 선보였다.각 팀 8명의 팀원 중 지난 경연에서 결정되었으며, 자신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담은 가사로 프로듀서들의 심사를 거쳐 상위 4명만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할 수 있었다. 각 4팀의 프로듀서들은 각 학생에게 최대 50점, 학생당 최대 200점을 줄 수 있었다.
순위 | 학생 | 점수 | % |
---|---|---|---|
1 | 윤병호 | 171 | 85.5 |
2 | 이예찬 | 157 | 78.5 |
3 | 박진오 | 141 | 70.5 |
4 | 이지은 | 121 | 60.5 |
5 | 김세령 | 116 | 58.0 |
6 | 지민혁 | 115 | 57.5 |
- | 김은지 | - | - |
- | Alice | - | - |
김은지와 Alice의 결과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후, 딥플로우가 팀의 멘토가 되었다.
이후, 팀은 행주와 보이비를 멘토로 선택했다.
순위 | 학생 | 점수 | % |
---|---|---|---|
1 | 김하온 | 191 | 95.5 |
2 | 이병재 | 180 | 90.0 |
3 | 하선호 | 162 | 81.0 |
4 | 박준호 | 159 | 79.5 |
5 | 휘영 | 154 | 77.0 |
6 | 김민석 | 153 | 76.5 |
7 | 조은산 | 128 | 64.0 |
8 | 고준서 | 63 | 31.5 |
이후, 그루비룸이 팀의 멘토로 선택되었다.
순위 | 학생 | 점수 | % |
---|---|---|---|
1 | 조원우 | 178 | 89.0 |
2 | 김근수 | 176 | 88.0 |
3 | 김윤호 | 160 | 80.0 |
4 | 방재민 | 152 | 76.0 |
5 | 이민우 | 151 | 75.5 |
6 | 김효동 | 148 | 74.0 |
7 | 박지원 | 133 | 66.5 |
- | 빈하늘 | - | - |
빈하늘의 결과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후, 팀은 산이와 치타를 멘토로 선택했다.
4. 3. 세미파이널
세미파이널에서는 10명의 참가자들이 개인 무대를 선보였고, 관객 투표를 통해 5명이 파이널에 진출했다.순위 | 멘토 | 학생 | 점수 | % |
---|---|---|---|---|
1 | 그루비룸 | 김하온 | 474 | 94.6 |
2 | 그루비룸 | 이병재 | 468 | 93.6 |
3 | 산이, 치타 | 조원우 | 436 | 87.2 |
4 | 행주, 보이비 | 배연서 | 424 | 84.8 |
5 | 행주, 보이비 | 윤진영 | 402 | 80.4 |
6 | 딥플로우 | 윤병호 | 396 | 79.2 |
7 | 산이, 치타 | 김윤호 | 340 | 68.0 |
8 | 산이, 치타 | 방재민 | 332 | 66.4 |
9 | 그루비룸 | 박준호 | 298 | 59.6 |
10 | 산이, 치타 | 김근수 | 264 | 52.8 |
4. 3. 1. 파이널 진출자
경연에 남은 10명의 학생 중, 모든 참가자의 공연을 시청한 후 관객 투표를 통해 단 5명만이 결승전에 진출할 수 있었다.순위 | 멘토 | 학생 | 점수 | % |
---|---|---|---|---|
1 | 그루비룸 | 김하온 | 474 | 94.6 |
2 | 그루비룸 | 이병재 | 468 | 93.6 |
3 | 산이, 치타 | 조원우 | 436 | 87.2 |
4 | 행주, 보이비 | 배연서 | 424 | 84.8 |
5 | 행주, 보이비 | 윤진영 | 402 | 80.4 |
6 | 딥플로우 | 윤병호 | 396 | 79.2 |
7 | 산이, 치타 | 김윤호 | 340 | 68.0 |
8 | 산이, 치타 | 방재민 | 332 | 66.4 |
9 | 그루비룸 | 박준호 | 298 | 59.6 |
10 | 산이, 치타 | 김근수 | 264 | 52.8 |
4. 3. 2. 탈락자
경연에 남은 10명의 학생 중, 모든 참가자의 공연을 시청한 후 관객 투표를 통해 단 5명만이 결승전에 진출할 수 있었다. 다음은 탈락자 명단이다.
4. 4. 파이널
500명의 관객이 각 공연마다 한 번, 모든 공연이 끝난 후 한 번씩 투표를 진행하여 1차와 2차 투표를 합산해 최종 순위가 결정되었다. 1차 투표에서는 여러 명에게 투표가 가능했고, 2차 투표에서는 한 명에게만 투표할 수 있었다.[1] 김하온이 우승을 차지했다.[1]순위 | 이름 | 1차 투표 | 득표율 | 2차 투표 | 득표율 | 합계 |
---|---|---|---|---|---|---|
1 | 김하온 | 445 | 89.0% | 134 | 26.8% | 579 |
2 | 배연서 | 447 | 89.4% | 125 | 25.0% | 572 |
3 | 이병재 | 443 | 88.6% | 91 | 18.2% | 534 |
4 | 윤진영 | 379 | 75.8% | 105 | 21.0% | 484 |
5 | 조원우 | 377 | 75.4% | 45 | 9.0% | 422 |
4. 4. 1. 1차 투표 결과
500명의 관객들은 각 공연마다 한 번, 그리고 모든 공연이 끝난 후에 한 번씩 투표를 진행했다. 공연 중에 진행된 1차 투표에서 한 명의 유권자는 여러 명의 학생에게 투표할 수 있었고, 따라서 모든 학생은 최대 500점을 얻을 수 있었다. 공연 후에 진행된 2차 투표에서는 한 명의 유권자는 단 한 명의 멤버에게만 투표할 수 있었다.[1]
4. 4. 2. 최종 결과
500명의 관객들은 각 공연마다 한 번, 그리고 모든 공연이 끝난 후에 한 번씩 투표를 진행했다. 공연 중에 진행된 1차 투표에서 한 명의 유권자는 여러 명의 학생에게 투표할 수 있었고, 따라서 모든 학생은 최대 500점을 얻을 수 있었다. 공연 후에 진행된 2차 투표에서는 한 명의 유권자는 단 한 명의 멤버에게만 투표할 수 있었다.[1]김하온이 우승을 차지했다.[1]
순위 | 이름 | 1차 투표 | % | 2차 투표 | % | 합계 |
---|---|---|---|---|---|---|
1 | 김하온 | 445 | 89.0 | 134 | 26.8 | 579 |
2 | 배연서 | 447 | 89.4 | 125 | 25.0 | 572 |
3 | 이병재 | 443 | 88.6 | 91 | 18.2 | 534 |
4 | 윤진영 | 379 | 75.8 | 105 | 21.0 | 484 |
5 | 조원우 | 377 | 75.4 | 45 | 9.0 | 422 |
5. 시청률
(전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