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룡마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룡마을은 1925년 입주를 시작하여 1980년대 서울 올림픽을 전후하여 도시 빈민층이 유입되면서 형성된 서울 강남구의 판자촌이다. 1988년 올림픽을 앞두고 철거민들이 유입되면서 규모가 커졌으며, 한때 8,000명 이상이 거주하기도 했다. 2008년부터 재개발을 추진했으나, 토지 소유주와 주민 간의 의견 불일치, 행정 절차 등으로 인해 사업이 지연되었다. 안전 기준 미흡으로 잦은 화재가 발생했으며, 2014년과 2023년에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2020년 서울시는 2025년까지 재개발을 완료하는 계획을 승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판자촌 - 후버빌
    후버빌은 대공황 시대에 실업자들이 판잣집을 짓고 모여 살던 빈민촌으로, 당시 대통령 허버트 후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자치 조직을 구성하려 했던 대공황 시대의 상징이자 현대 사회의 사회 안전망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역사적 사례이다.
  • 대한민국의 마을 - 서래마을
    서래마을은 1985년 서울프랑스학교의 이전, 1990년대 프랑스계 기업들의 한국 진출로 형성되었고, 프랑스어 간판, 국기를 상징하는 색상의 블록 포장 도로 등 특징을 가지며, 서울프랑스학교, 다양한 프랑스 음식점, 카페 등이 위치해 있으며, 다양한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 대한민국의 마을 - 북촌 한옥마을
    북촌 한옥마을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조선시대 양반들의 주거지였으며, 1930년대 한옥 골목길이 형성되었고, 한옥 보존을 위한 노력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문화유산과 관광 명소를 갖춘 곳이다.
  • 서울 강남구 - 개포도서관
    개포도서관은 1984년 개관한 서울시립도서관으로 도서 대출 및 반납, 전자책 이용 등 다양한 서비스와 자료실, 택배 대출 서비스, 순회 문고 서비스, 주차시설, 매점, 평생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 서울 강남구 - 강남도서관
    강남도서관은 다양한 자료와 시설을 갖춘 공공 도서관으로, 종합자료실, 디지털자료실, 어린이열람실, 일반열람실 등의 시설을 운영하며, 대출 및 반납 서비스 외에도 디지털 콘텐츠 이용, 어린이 및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 코딩 교육 및 3D 프린팅 체험 등의 특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룡마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구룡마을
위치서울 강남구
유형달동네
정착 시기1925년 10월 14일
설립1988년
추정 인구2,500명 (2012년 기준)
로마자 표기Guryong Maeul
이미지
2013년 구룡마을
행정 구역
국가대한민국
광역 자치 단체경기도
기초 자치 단체서울특별시
행정동행정동
개발 계획
개발 계획 제안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강남구에 제안

2. 역사

구룡마을은 1925년 10월 14일에 처음 입주가 시작된 곳이다.[1] 타워팰리스 단지를 볼 수 있다.

2014년 마을에서 발생한 화재 진압 중인 소방대원들


안전 기준이 미흡하여 화재 사고가 여러 차례 발생하였다.[4] 2023년 1월에도 화재로 60채 이상의 주택이 소실되고 63명의 주민이 이재민이 되었다.[14][15] 마을에는 우체국,[12] 유치원과 교회, 경비 서비스, 상하수도, 가스, 전기 등의 공동 시설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요금은 공동으로 부담한다.[6][12]

2. 1. 형성 과정

구룡마을은 1975년 강남구가 독립하고 1980년대 중반부터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전후하여 도시 빈민층 주민들이 모여들어 형성된 판자촌이다. 특히 올림픽을 앞두고 도시 미관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철거민들이 대거 발생하면서 구룡마을의 규모가 급격히 커졌다.[1][6][7][8][9]

1991년에는 수서동 지역의 부동산 비리 사건으로 인해 토지 재개발 제안이 중단되기도 하였다.[10]

2. 2. 거주 현황

2010년 12월 기준으로 구룡마을에는 무허가 건축물 약 403동, 1,242가구(약 2,530명)가 거주하고 있었다. 기초생활수급자는 151가구였다. 토지는 361필지, 소유자 508명(사유지 94.6%)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

마을이 처음 생겼을 때는 약 2,000가구 8,000명이 거주하였다.[10] 2005년에는 약 4,000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6] 2012년에서 2014년 사이에는 인구가 2,500명으로 추산되는 등[1][9] 인구는 유동적이었다. 주민들은 주로 하루 수입이 매우 적은 저소득 고령층이다.[6][8][11] 2011년에는 주민들에게 임시 거주증이 발급되기도 했다.[12]

2. 3. 재개발 추진 과정

2008년 8월, 민간사업자가 토지주 및 거주민 동의를 받아 도시개발구역 지정 제안을 했으나, 2011년 3월 강남구는 제안자에게 보완을 지시하고 5월에 도시개발구역 지정 제안서를 반려했다.[1] 2012년 6월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는 도시개발구역 지정(안)을 가결하고 8월에 개포 구룡마을 도시개발구역 지정을 고시했다.[1] 2013년 1월에는 구룡마을 정책협의체 본회의가 출범했다. (서울시, 강남구, SH공사, 전문가, 주민대표, 토지주대표)[1]

2014년 6월~7월, 강남구청은 SH공사의 개발계획(안) 수립 제안 요청을 2차례 반려하고, 8월에는 도시개발구역을 해제 및 고시했다. 같은 해 토지주 공동으로 강남구에 도시개발구역 지정을 제안했으나, 10월 강남구는 토지주 공동제안서를 반려했다. 12월, 서울시는 사업 재추진을 발표했다.[1] 2015년에 철거가 시작되었고, 동년 2월에 주민자치회관이 철거되었다.[1] 2016년 11월,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는 수정 가결했고, 2017년 1월 개포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 사업시행자 지정을 공시했다.[1]

지난 수십 년 동안 구룡마을을 철거하고 주민들을 이주시키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지만, 어떤 방식으로 진행할지, 그리고 마을 주민들을 어떻게 다룰지에 대한 의견 불일치로 인해 진전이 더뎠다.[1][7][16][17] 2019년에는 1,107세대 중 406세대(36.7%)가 이주했다고 보도되었다.[18] 2020년 서울특별시는 2025년까지 완료될 행동 계획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이 계획의 일환으로 마을은 점진적으로 철거되고 그 자리에 아파트가 건설될 예정이다. 마을 주민들에게는 이 아파트에 거주할 수 있도록 훨씬 낮은 임대료가 제공될 것이다.[19]

3. 사건 및 사고



구룡마을은 1988년 올림픽 경기를 앞두고 도시 개발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은 저소득층 주민들이 무허가 점유자로 거주하면서 형성되었다.[1][6][7][8][9] 안전 기준이 미흡하여 화재 사고가 여러 차례 발생하였다.[4]

3. 1. 잦은 화재 발생

2014년 11월 9일 화재 소방 활동


구룡마을은 안전 기준 미흡으로 화재에 취약하여, 대형 화재가 여러 차례 발생했다.[4]

2014년 11월 9일에는 대형 화재가 발생하여 7-B지구에서 시작해 8지구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오후 3시 34분께 진화되었다. 이 화재로 70대 남성 1명이 사망하고, 구룡마을 58080m2 중 900m2와 무허가주택 16동 63세대가 불에 타 총 136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21]

2017년 3월 29일 오전 8시 52분에도 7B지구 소망교회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발생했다. 화재 발생 1시간 40분 만에 큰 불길이 잡혔고, 30여 가구의 주민들이 대피했다. 70대 남성이 연기를 흡입해 병원으로 옮겨졌다.[22]

2023년 1월 20일에는 구룡마을 4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주민 500여 명이 긴급 대피하였다.[23] 이 화재로 주택 60채가 전소되었고 44가구에서 62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다.[14][15][24]

4. 시설 현황

마을에는 우체국,[12] 유치원, 교회, 경비 서비스와 상하수도, 가스, 전기 등의 공동 시설이 있으며, 요금은 공동으로 부담한다.[6][12]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Gangnam, shanty-style: life in Seoul's Guryong Village slum – in pictures https://www.theguard[...] 2014-07-14
[2] 서적 Achieving Environmental Justice: A Cross-National Analysis https://books.google[...] Policy Press
[3] 웹사이트 Go inside the last surviving slum of Seoul's glitzy Gangnam district before South Korea demolishes it http://www.businessi[...] Reuters 2015-05-04
[4] 웹사이트 Seoul to develop shanty town in Gangnam https://www.koreatim[...] 2014-12-05
[5] 뉴스 Counting down Seoul's last moon villages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22-06-18
[6] 웹사이트 A Village the City Ignores https://web.archive.[...] 2005-02-12
[7] 웹사이트 Redevelopment of a Gangnam slum languishes http://koreajoongang[...] 2014-07-21
[8] 웹사이트 Seoul to Demolish the Last Surviving Slum Near the Ritzy Gangnam District https://web.archive.[...] 2015-05-04
[9] 웹사이트 Coals to keep Guryong shantytown warm http://www.koreahera[...] 2012-02-08
[10] 웹사이트 첫삽도 못뜬채 멈춰 버린 '구룡마을'…개발 30년史 살펴보니 https://biz.newdaily[...] 2022-10-19
[11] 뉴스 The Slum Next Door to Gangnam Exposes South Korea's Wealth Gap https://www.bloomber[...] 2021-02-14
[12] 웹사이트 South Korean shanty town on sought-after real estate https://www.bbc.co.u[...] 2012-03-22
[13] 웹사이트 Fire exacerbates split in Guryong http://koreajoongang[...] 2013-11-13
[14] 웹사이트 500 evacuated as massive fire breaks out in one of Seoul's last slums https://www.cnn.com/[...] 2023-01-20
[15] 뉴스 Hundreds evacuated as blaze erupts in slum next to Seoul's posh Gangnam district https://www.reuters.[...] 2023-01-20
[16] 웹사이트 Clash looms over developing shanty town in Seoul https://www.koreatim[...] 2014-06-18
[17] 웹사이트 Guryong Village turns into battle zone https://www.koreatim[...] 2015-02-06
[18] 웹사이트 개포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 https://www.gangnam.[...] 강남구청
[19] 웹사이트 서울시, 개포동 구룡마을 실시계획 인가… 사업추진 속도 https://biz.chosun.c[...] 2020-06-07
[20] 뉴스 SH공사,「구룡마을 개발계획(안)」강남구에 제안 https://web.archive.[...] 2015-10-18
[21] 뉴스 '강남 판자촌' 구룡마을 또 화재 "다른 데 불 났으면 난리 났을 것"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5-10-18
[22] 뉴스 [종합]강남 구룡마을 불 2시간만에 진화…70대 연기흡입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7-04-21
[23] 뉴스 강남구 구룡마을서 큰 불…500명 대피(종합2보)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23-01-20
[24] 뉴스 강남 구룡마을 판자촌 화재…주택 60채 불타 이재민 62명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23-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