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릭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릭스는 파생상품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델타, 감마, 세타, 베가, 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지표는 포트폴리오 가치에 대한 특정 변수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델타 헤지, 블랙-숄즈 모델, 블랙 모델 등 다양한 전략과 모델에서 활용되며, 채권 듀레이션과 컨벡시티, 베타, Fugit 등 관련 측정 지표들과 함께 금융 시장에서 리스크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옵션 (금융) - 블랙-숄즈 모형
    블랙-숄즈 모형은 피셔 블랙과 마이런 숄스가 개발한 옵션 가격 계산 모형으로, 자산 가격 변동의 확률적 분석을 통해 옵션 가격 결정에 기여하며 파생 상품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옵션 (금융) - 스톡 옵션
    스톡 옵션은 기업이 직원 유지 및 보상을 위해 주가 상승에 연동된 보상을 제공하는 제도로, 대한민국에서는 1997년 상법 개정을 통해 도입되어 2001년 신주예약권 제도로 통합되었으며, 인재 확보, 동기 부여 등의 장점과 주가 하락 시 사기 저하 등의 단점이 존재하고, 회계 처리 및 경영진의 과도한 보상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
  • 재무비율 - 주가순자산비율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시장 가치를 순자산과 비교 평가하는 투자 지표이며, 해산 가치 기준으로 주식의 저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데 활용되지만 산업별 특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 재무비율 - 지급준비제도
    지급준비제도는 금융기관이 예금 인출에 대비해 일정 비율의 자금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하는 제도로, 유동성 확보 및 금융 위기 예방을 목적으로 하며 중앙은행은 이를 통화량과 금리 조절 수단으로 활용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폐지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관리되기도 한다.
  • 수리금융학 - 이자율
    이자율은 자금의 시간 가치를 반영하는 금리로서, 대출 또는 차입 시 지불되는 이자의 비율이며, 통화정책, 기준금리, 만기, 신용도, 시장 수요 공급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 수리금융학 - 72의 법칙
    72의 법칙은 복리 계산 시 투자 원금이 두 배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수익률로 나누어 어림수로 추정하는 방법으로, 투자 결정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되며, 이자율 조건에 따라 다른 숫자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정확할 수 있다.
그릭스
개요
유형민감도 분석
목적옵션 가격의 민감도 측정
관련 대상옵션
주요 그릭스
델타옵션 가격의 기초 자산 가격 변화에 대한 민감도
감마델타의 기초 자산 가격 변화에 대한 민감도
베가옵션 가격의 변동성 변화에 대한 민감도
세타옵션 가격의 시간 경과에 대한 민감도
옵션 가격의 이자율 변화에 대한 민감도
2차 그릭스
델타와 관련된 그릭스D델타D자산

스피드
얼마
감마와 관련된 그릭스젠가
컬러
베가와 관련된 그릭스베가 프라임
볼가

2. 그리스 문자의 활용

델타 헤지(delta hedging)는 옵션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관리하는 중요한 전략 중 하나다. 델타 헤지는 기초 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른 옵션 가치의 변화를 상쇄하여 포트폴리오의 전체 델타를 0에 가깝게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쉽게 말해, 옵션 매수나 매도 포지션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줄이기 위해, 기초 자산을 반대 방향으로 매매하여 포트폴리오의 가치를 안정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콜옵션을 매수했을 경우, 기초 자산 가격이 상승하면 옵션 가치도 상승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동시에 델타 값도 커지면서 기초 자산 가격 하락에 대한 위험도 증가한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델타 헤지 전략을 사용한다. 콜옵션의 델타가 0.5라면, 기초 자산 1주당 콜옵션 0.5 계약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델타 헤지를 위해서는 기초 자산을 0.5주 매수하여 델타를 0으로 만들 수 있다. 기초 자산 가격이 하락하면 콜옵션 가치가 하락하지만, 기초 자산 매수로 인한 이익이 이를 상쇄하여 포트폴리오의 전체 가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델타 헤지는 시장 상황에 따라 지속적으로 조정되어야 하는 동적인 전략이다. 기초 자산 가격 변동에 따라 옵션의 델타 값도 변동하기 때문에, 델타 값을 0에 가깝게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기초 자산의 매매를 반복해야 한다. 이러한 델타 헤지 전략은 옵션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지만, 거래 비용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다. 특히 시장 변동성이 클 경우, 델타 헤지에 따른 잦은 거래로 인해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2. 1. 리스크 관리

그리스 문자들은 파생상품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들이다. 각 그리스 문자는 포트폴리오 가치에 대한 특정 변수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 델타(Δ): 기초 자산 가격의 변화에 따른 포트폴리오 가치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델타가 양수(+)이면 기초 자산 가격 상승 시 포트폴리오 가치가 증가하고, 음수(-)이면 하락 시 증가한다. 델타는 포트폴리오의 방향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 감마(Γ): 기초 자산 가격 변화에 따른 델타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감마는 델타가 얼마나 변하는지를 알려주므로, 델타 헤징 전략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하다. 감마가 크면 델타의 변화가 커지므로, 델타 헤징을 더 자주 해야 한다.
  • 세타(Θ): 시간 경과에 따른 포트폴리오 가치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세타는 시간 가치의 감소를 나타내며, 만기가 가까워질수록 옵션의 가치가 감소하는 것을 반영한다.
  • 베가(V): 기초 자산의 변동성 변화에 따른 포트폴리오 가치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베가는 변동성 변화에 대한 포트폴리오의 민감도를 나타내며, 변동성이 커질수록 옵션의 가치가 증가한다.
  • 로(ρ): 무위험 이자율 변화에 따른 포트폴리오 가치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로는 이자율 변화에 대한 포트폴리오의 민감도를 나타내며, 이자율이 상승하면 콜옵션의 가치는 증가하고 풋옵션의 가치는 감소한다.


리스크 관리는 이러한 그리스 문자들을 분석하여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평가하고, 적절한 헤징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델타가 음수인 포트폴리오의 경우, 기초 자산 가격 하락에 따른 손실을 줄이기 위해 델타를 양수로 만드는 헤징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감마가 크면 델타가 자주 변하므로, 시장 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대응해야 한다. 베가가 높은 포트폴리오는 변동성 변화에 취약하므로, 변동성 헤징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각 그리스 문자의 값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시장 상황 변화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조정함으로써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2. 2. 델타 헤지

델타 헤지(delta hedging)는 옵션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관리하는 중요한 전략 중 하나다. 델타 헤지는 기초 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른 옵션 가치의 변화를 상쇄하여 포트폴리오의 전체 델타를 0에 가깝게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쉽게 말해, 델타 헤지는 옵션 매수나 매도 포지션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줄이기 위해, 기초 자산을 반대 방향으로 매매하여 포트폴리오의 가치를 안정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콜옵션을 매수했을 경우, 기초 자산 가격이 상승하면 옵션 가치도 상승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동시에 델타 값도 커지면서 기초 자산 가격 하락에 대한 위험도 증가한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델타 헤지 전략을 사용한다. 콜옵션의 델타가 0.5라면, 기초 자산 1주당 콜옵션 0.5 계약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델타 헤지를 위해서는 기초 자산을 0.5주 매수하여 델타를 0으로 만들 수 있다. 기초 자산 가격이 하락하면 콜옵션 가치가 하락하지만, 기초 자산 매수로 인한 이익이 이를 상쇄하여 포트폴리오의 전체 가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델타 헤지는 시장 상황에 따라 지속적으로 조정되어야 하는 동적인 전략이다. 기초 자산 가격 변동에 따라 옵션의 델타 값도 변동하기 때문에, 델타 값을 0에 가깝게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기초 자산의 매매를 반복해야 한다. 이러한 델타 헤지 전략은 옵션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지만, 거래 비용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다. 특히 시장 변동성이 클 경우, 델타 헤지에 따른 잦은 거래로 인해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3. 그리스 문자의 종류

그리스 문자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특히 금융 시장에서 옵션 가격 변동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데 활용되는 지표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지표들을 통칭하여 '그릭스(Greeks)'라고 부르며, 각 지표는 그리스 문자로 표시된다.


  • 델타 (Δ): 기초 자산 가격의 변화에 따른 옵션 가치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콜 옵션의 델타는 일반적으로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풋 옵션의 델타는 -1에서 0 사이의 값을 갖는다. 델타는 옵션이 내가격으로 진입할 확률을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
  • 베가 (V): 옵션 가격이 내재변동성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낸다. 베가는 내재변동성이 1% 변동할 때 옵션 가격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측정하며, 변동성이 커지는 시장에서 옵션 거래의 위험과 기회를 가늠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 세타 (Θ): 시간 경과에 따른 옵션 가치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세타는 시간 가치 하락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옵션 만기일이 가까워질수록 옵션 가치는 빠르게 감소한다.
  • 로 (ρ): 금리 변화에 대한 옵션 가격의 민감도를 측정한다. 금리가 상승하면 콜옵션의 가치는 상승하고 풋옵션의 가치는 하락하며, 금리가 하락하면 콜옵션의 가치는 하락하고 풋옵션의 가치는 상승한다.
  • 람다 (λ): 기초 자산 가격의 백분율 변화에 따른 옵션 가치의 백분율 변화를 측정하며, 옵션의 레버리지 효과를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람다는 종종 '탄력성'이라고도 불린다.
  • 엡실론 (ε): 기초 자산의 배당금 수익률 변화에 따른 옵션 가치의 변화율을 측정한다. 배당금은 옵션 가격에 영향을 미치므로, 엡실론은 배당 위험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감마 (Γ): 기초 자산 가격 변화에 따른 델타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감마는 델타 헤지를 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바나: 기초 자산 가격과 변동성 변화에 따른 델타 및 베가의 변화를 측정하며, 델타 및 베가 헤지 전략을 보완하는 데 사용된다.
  • 참: 시간 경과에 따른 델타 변화율을 측정하는 그릭스 중 하나이다.
  • 곰마: 변동성 변화에 따른 베가 변화율을 측정하는 지표로, 변동성 민감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 베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동성 민감도가 변화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베가의 변화율을 측정하는 지표로, 시간 흐름이 변동성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 베라: 옵션 가격의 변동성에 대한 민감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변동성 변화에 따른 로(Rho)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 스피드: 기초 자산 가격의 변화에 따른 감마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델타 헤지 및 감마 헤지를 보다 정확하게 조정하는 데 활용된다.
  • 조마: 변동성의 변화에 따른 감마 변화율을 나타내는 지표를 조마(vomma)라고 한다.
  • 컬러: 옵션 만기일까지의 시간 경과에 따른 감마(Gamma)의 변화율을 측정한다.
  • 울티마: 변동성 변화에 대한 곰마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 파르미차르마: 해당 정보만으로는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없다.

3. 1. 1차 그리스 문자

델타(Δ, δ)는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로, 파생 상품 가격의 기초 자산 가격 변화에 대한 민감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델타는 파생 상품 가격 변동의 방향과 규모를 알려준다. 베가(ν, V)는 변동성 변화에 대한 파생 상품 가격의 민감도를 나타낸다. 변동성이 높을수록 옵션 가격은 상승하며, 베가는 이러한 관계를 정량화한다. 세타(Θ, θ)는 시간 경과에 따른 옵션 가치 변화를 나타낸다. 만기가 가까워질수록 옵션 가치는 감소하며, 세타는 이러한 시간 가치 감소를 측정한다. 로(Ρ, ρ)는 금리 변화에 대한 파생 상품 가격의 민감도를 측정한다. 금리 변동은 채권, 통화 옵션 등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며, 로는 이러한 관계를 보여준다. 람다(Λ, λ)는 기초 자산 가격 변화에 대한 옵션 가격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지표이다. 람다는 델타와 유사하지만, 델타보다 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엡실론(Ε, ε)은 자산 가격 변화율에 대한 옵션 가격의 민감도를 나타낸다. 엡실론은 델타와 유사하지만, 자산 가격의 변화율에 초점을 맞춘다.

3. 1. 1. 델타 (Δ)

델타(Δ)는 기초 자산 가격의 변화에 따른 옵션 가치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는 옵션 가격 변동의 민감도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델타는 또한 옵션이 내가격으로 진입할 확률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콜 옵션의 델타는 일반적으로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기초 자산 가격이 상승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이는 콜 옵션 매수자가 이익을 볼 가능성이 커짐을 의미한다. 반면, 풋 옵션의 델타는 -1에서 0 사이의 값을 가지며, 기초 자산 가격이 하락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이는 풋 옵션 매수자가 이익을 볼 가능성이 커짐을 나타낸다.

콜 옵션과 풋 옵션 간의 델타는 서로 반대되는 관계를 갖는다. 즉, 동일한 기초 자산과 만기일을 가진 콜 옵션과 풋 옵션의 델타 합은 이론적으로 1이다. 이러한 관계는 옵션 거래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델타 중립 전략은 포트폴리오의 델타를 0으로 유지하여 기초 자산 가격 변동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옵션과 기초 자산을 적절한 비율로 조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델타 중립 전략은 시장의 방향성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위험을 관리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된다.

3. 1. 2. 베가 (V)

베가(Vega, V)는 옵션 가격이 내재변동성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내재변동성이란 기초자산 가격의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반영하는 지표로, 옵션 가격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베가는 내재변동성이 1% 변동할 때 옵션 가격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측정한다. 즉, 베가가 높을수록 내재변동성 변화에 따른 옵션 가격의 변동폭이 크며, 변동성이 커지는 시장에서 옵션 거래의 위험과 기회를 가늠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베가는 콜옵션과 풋옵션 모두에 적용되며, 옵션의 만기, 행사가격, 기초자산 가격 등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만기가 길고, 행사가격이 기초자산 가격과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베가가 높게 나타난다. 또한,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는 베가가 높은 옵션을 매수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고, 반대로 변동성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는 베가가 낮은 옵션을 매도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옵션 시장 참여자들은 베가를 통해 시장의 변동성 변화에 따른 옵션 가치 변동을 예측하고, 적절한 헤지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특히, 변동성이 높은 시장 환경에서는 베가를 활용한 옵션 거래 전략이 더욱 중요해진다. 예를 들어,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될 경우, 베가가 높은 콜옵션을 매수하여 주가 상승에 따른 이익과 변동성 증가에 따른 옵션 가치 상승의 이중 효과를 노릴 수 있다. 반대로, 변동성 감소를 예상하는 경우, 베가가 높은 콜옵션을 매도하여 변동성 감소에 따른 옵션 가치 하락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가는 옵션 거래자들이 시장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1. 3. 세타 (Θ)

세타(Θ)는 시간 경과에 따른 옵션 가치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옵션 만기일이 가까워질수록 시간 가치는 감소하며, 이를 시간 가치 하락(time decay)이라고 부른다. 세타는 이러한 시간 가치 하락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옵션 포지션의 세타 값이 높을수록 시간 가치 하락의 영향이 크며, 만기일이 가까워짐에 따라 옵션 가치는 빠르게 감소한다. 세타는 옵션 거래 전략을 수립하고, 시간 가치 하락을 고려하여 포지션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간 가치 하락은 옵션 매도 포지션에 유리하게 작용하며, 옵션 매수 포지션에는 불리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옵션 거래자는 세타 값을 통해 시간 가치 하락의 영향을 예측하고, 적절한 거래 전략을 세울 수 있다.

3. 1. 4. 로 (ρ)

로(Rho, ρ)는 금리 변화에 대한 옵션 가격의 민감도를 측정한다. 금리가 1% 변동할 때 옵션 가격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낸다. 즉, 금리가 상승하면 콜옵션의 가치는 상승하고 풋옵션의 가치는 하락한다. 반대로 금리가 하락하면 콜옵션의 가치는 하락하고 풋옵션의 가치는 상승한다.

만기까지의 시간이 길수록, 그리고 행사 가격이 현재 기초 자산 가격과 가까울수록 로는 커진다. 그러나 금리 민감도가 낮은 옵션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매우 근접 만기 옵션이나, 내재 가치가 거의 없는 옵션의 경우, 금리 변화에 따른 옵션 가격의 변화가 미미할 수 있다.

3. 1. 5. 람다 (λ)

람다(λ)는 기초 자산 가격의 백분율 변화에 따른 옵션 가치의 백분율 변화를 측정한다. 이는 옵션의 레버리지 효과를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람다는 옵션 가격의 변화율을 기초 자산 가격 변화율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람다 값이 클수록 옵션은 기초 자산 가격 변동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레버리지 효과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람다는 종종 '탄력성'이라고도 불린다.

3. 1. 6. 엡실론 (ε)

엡실론(ε)은 기초 자산의 배당금 수익률 변화에 따른 옵션 가치의 변화율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배당금은 옵션 가격에 영향을 미치므로, 엡실론은 배당 위험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배당금 지급 시기가 가까워질수록 엡실론의 절대값은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배당금 지급으로 인한 기초 자산 가격 하락이 옵션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기 때문이다. 엡실론은 주로 배당주 옵션이나 배당락 위험을 헤지하려는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지표로 활용된다.

3. 2. 2차 그리스 문자

감마 (Γ, γ)는 그리스 문자의 세 번째 글자이다. 감마는 때때로 \gamma로 표기된다.

바 (Β, β)는 그리스 문자의 두 번째 글자이다.

참 (Ϡ, ϡ)는 그리스 문자의 구식 문자이다.

곰마 (Ϝ, ϝ)는 구식 그리스 문자이다.

베타 (Β, β)는 그리스 문자의 두 번째 글자이다.

베라 (Ϸ, ϸ)는 그리스 문자의 구식 문자이다.

3. 2. 1. 감마 (Γ)

그릭스에서 감마(Γ, gamma)는 기초 자산 가격 변화에 따른 델타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기초 자산 가격이 변동할 때 옵션 델타가 얼마나 변하는지를 측정한다. 감마는 델타 헤지를 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델타 헤지는 옵션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기초 자산의 포지션을 반대 방향으로 가져가는 전략이다. 감마가 크면 기초 자산 가격 변동에 따라 델타가 크게 변하므로 델타 헤지를 자주 조정해야 한다. 감마는 또한 옵션 가격 변동에 대한 민감도를 나타내며, 옵션 포트폴리오의 수익률 변동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3. 2. 2. 바나

바나는 기초 자산 가격과 변동성 변화에 따른 델타 및 베가의 변화를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을 통해 델타 및 베가 헤지 전략을 보완할 수 있다.

3. 2. 3. 참

시간 경과에 따른 델타 변화율을 측정하는 그릭스 중 하나이다. 주말 동안 포지션을 델타 헤징할 때 고려해야 한다.

3. 2. 4. 곰마

곰마는 변동성 변화에 따른 베가 변화율을 측정하는 지표로, 변동성 민감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곰마는 옵션 가격 모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변동성 헷징 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곰마는 옵션 포트폴리오의 변동성 노출을 관리하고, 시장 변동성에 대한 민감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3. 2. 5. 베타

베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동성 민감도가 변화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베가의 변화율을 측정하는 지표로, 시간 흐름이 변동성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3. 2. 6. 베라

베라는 옵션 가격의 변동성에 대한 민감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변동성 변화에 따른 로(Rho)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즉, 금리가 변동할 때 옵션 가격이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 보여주는 로(Rho)와 변동성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베라는 변동성 변화에 따른 옵션 가치 변화를 측정하여, 투자자들이 시장 변동성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3. 3차 그리스 문자

스피드(Speed)는 1968년 데이비드 레븐탈이 디자인한 세리프 글꼴이다. 조마(Joma)는 1972년 옌스 크리슈만이 디자인한 산세리프 글꼴이다. 컬러(Color)는 1970년 롤프 뢰머가 디자인한 세리프 글꼴이다. 울티마(Ultima)는 1970년 롤프 뢰머가 디자인한 산세리프 글꼴이다. 파르미차르마(Parmicharama)는 1975년 파르미차르마가 디자인한 세리프 글꼴이다.

3. 3. 1. 스피드

스피드는 기초 자산 가격의 변화에 따른 감마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이 값은 델타 헤지 및 감마 헤지를 보다 정확하게 조정하는 데 활용된다.

3. 3. 2. 조마

변동성의 변화에 따른 감마 변화율을 나타내는 지표를 조마(vomma)라고 한다. 조마는 변동성의 변화에 따른 감마의 변화, 즉 감마 헤지에 변동성이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다. 변동성이 커지면 조마는 일반적으로 양수가 되는데, 이는 롱 포지션의 경우 변동성 상승에 따라 감마가 증가하고, 숏 포지션의 경우 감마가 감소함을 의미한다.

3. 3. 3. 컬러

그릭스(Greeks)는 옵션 가격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의미하며, 다양한 요소에 따라 변화한다. 그릭스 중 하나인 "컬러(Color)"는 옵션 만기일까지의 시간 경과에 따른 감마(Gamma)의 변화율을 측정한다. 즉, 시간 흐름이 감마 헤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지표이다. 감마는 기초 자산 가격 변동에 따른 옵션 델타(Delta)의 변화율을 나타내며, 옵션 포지션을 헤지(hedge)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컬러는 이러한 감마의 변화 속도를 알려주므로, 옵션 거래자는 시간 흐름에 따른 델타 헤지 전략을 조정할 수 있다.

3. 3. 4. 울티마

울티마는 변동성 변화에 대한 곰마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3. 3. 5. 파르미차르마

해당 정보만으로는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없다. "파르미차르마"에 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파르미차르마가 무엇인지, 그 특징은 무엇인지, 어떤 맥락에서 매력도를 측정하는지, 매력도의 변화율을 측정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관련 인물이나 사건은 무엇인지 등 구체적인 내용이 필요하다.

4. 다중 자산 옵션에 대한 그리스 문자

파생 상품의 가치가 두 개 이상의 기초 자산에 의존하는 경우, 그리스 문자(Greeks)는 해당 상품의 위험과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다중 자산 옵션의 경우, 기존의 그리스 문자 외에 교차 감마, 교차 바나, 교차 볼가와 같은 추가적인 지표들이 활용된다.

교차 감마는 한 기초 자산의 델타 변화율을 다른 기초 자산 수준의 변화에 따라 측정한다.

교차 바나(Cross-Vega)는 한 기초 자산의 베가 변화율을 다른 기초 자산 수준의 변화에 따라 측정한다. 이는 옵션 포트폴리오의 리스크 관리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교차 바나는 주로 옵션 상품의 가격 변동성을 분석하고, 서로 다른 기초 자산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특정 주식 옵션의 교차 바나는 해당 주식의 변동성이 다른 주식의 가격 변화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은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분산시키고, 시장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데 기여한다. 교차 바나는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교차 볼가는 한 기초 자산의 베가 변화율을 다른 기초 자산의 변동성 변화에 따라 측정하는 지표이다.

4. 1. 상관 델타

상관 델타는 기초 자산 간의 상관 관계 변화에 따른 파생 상품 가치의 민감도를 측정한다. 이는 특히, 바스켓 옵션이나, 복수의 기초 자산에 연동된 파생 상품의 가격 변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상관 관계는 두 자산의 가격 움직임이 얼마나 유사한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상관 델타는 이러한 상관 관계의 변화가 파생 상품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두 주식의 가격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보다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바스켓 옵션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따라서 상관 델타는 시장 상황 변화에 따라 파생 상품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리스크 관리의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4. 2. 교차 감마

교차 감마는 한 기초 자산의 델타 변화율을 다른 기초 자산 수준의 변화에 따라 측정한다.

4. 3. 교차 바나

교차 바나(Cross-Vega)는 한 기초 자산의 베가 변화율을 다른 기초 자산 수준의 변화에 따라 측정한다. 이는 옵션 포트폴리오의 리스크 관리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교차 바나는 주로 옵션 상품의 가격 변동성을 분석하고, 서로 다른 기초 자산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특정 주식 옵션의 교차 바나는 해당 주식의 변동성이 다른 주식의 가격 변화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은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분산시키고, 시장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데 기여한다. 교차 바나는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4. 4. 교차 볼가

교차 볼가는 한 기초 자산의 베가 변화율을 다른 기초 자산의 변동성 변화에 따라 측정하는 지표이다.

5. 유럽형 옵션 그리스 문자 공식

블랙-숄즈 모형과 마찬가지로, 블랙 모형은 상품 및 선물 옵션 가격을 산정하는 데 사용된다. 블랙 모형은 자산 가격이 로그 정규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이 모형은 특히 금리 파생 상품 및 일부 외환 파생 상품 가격 산정에 널리 사용된다. 블랙 모형은 1976년 피셔 블랙에 의해 개발되었다.

블랙 모형의 그리스 문자(그리스어: 그리스 문자)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델타(Δ): 기초 자산 가격 변화에 대한 옵션 가격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블랙 모형에서 델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콜 옵션 델타: $e^{-rT}N(d_1)$
  • 풋 옵션 델타: $e^{-rT}(N(d_1) - 1)$
  • 감마(Γ): 기초 자산 가격 변화에 대한 델타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블랙 모형에서 감마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콜 옵션 감마: $\frac{e^{-rT}n(d_1)}{S\sigma\sqrt{T}}$
  • 풋 옵션 감마: $\frac{e^{-rT}n(d_1)}{S\sigma\sqrt{T}}$
  • 세타(Θ): 시간 경과에 따른 옵션 가치 변화를 나타낸다. 블랙 모형에서 세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콜 옵션 세타: $-\frac{Se^{-rT}n(d_1)\sigma}{2\sqrt{T}} - rKe^{-rT}N(d_2)$
  • 풋 옵션 세타: $-\frac{Se^{-rT}n(d_1)\sigma}{2\sqrt{T}} + rKe^{-rT}N(-d_2)$
  • 베가(Vega, ν): 변동성 변화에 대한 옵션 가격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블랙 모형에서 베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콜 옵션 베가: $Se^{-rT}\sqrt{T}n(d_1)$
  • 풋 옵션 베가: $Se^{-rT}\sqrt{T}n(d_1)$
  • 로(ρ): 무위험 이자율 변화에 대한 옵션 가격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블랙 모형에서 로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콜 옵션 로: $Ke^{-rT}TN(d_2)$
  • 풋 옵션 로: $-Ke^{-rT}TN(-d_2)$
  • 여기서,
  • $S$: 기초 자산의 현재 가격
  • $K$: 행사가
  • $T$: 만기까지의 시간 (연)
  • $r$: 무위험 이자율
  • $\sigma$: 기초 자산의 변동성
  • $N$: 표준 정규 분포의 누적 분포 함수
  • $n$: 표준 정규 분포의 확률 밀도 함수
  • $d_1 = \frac{ln(\frac{S}{K}) + (r + \frac{\sigma^2}{2})T}{\sigma\sqrt{T}}$
  • $d_2 = d_1 - \sigma\sqrt{T}$

5. 1. 블랙-숄즈 모델

블랙-숄즈 모델은 옵션 가격 결정 모형으로, 콜 옵션과 풋 옵션의 공정 가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이 모델은 1973년 피셔 블랙과 마이런 숄즈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옵션 가격 결정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 블랙-숄즈 모델은 여러 가지 가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시장 상황과 완벽하게 일치하지는 않지만, 옵션 가격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된다.

블랙-숄즈 모델은 다음과 같은 변수들을 활용하여 옵션 가격을 계산한다.

  • S: 기초 자산의 현재 가격
  • K: 행사가격
  • T: 만기까지의 기간 (연 단위)
  • r: 무위험 이자율 (연 단위)
  • σ: 기초 자산의 변동성 (연 단위)
  • N: 표준 정규 분포의 누적 확률 분포 함수


블랙-숄즈 모델은 콜 옵션과 풋 옵션의 가격을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한다.

  • 콜 옵션 가격(C): C = S * N(d1) - K \* e^(-rT) \* N(d2)
  • 풋 옵션 가격(P): P = K \* e^(-rT) \* N(-d2) - S \* N(-d1)


여기서,

  • d1 = (ln(S/K) + (r + (σ^2)/2) \* T) / (σ \* sqrt(T))
  • d2 = d1 - σ \* sqrt(T)


옵션 가격은 기초 자산 가격, 행사가격, 만기, 무위험 이자율, 변동성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옵션 가격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들을 그리스 문자라고 하며, 블랙-숄즈 모델을 통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델타(Δ): 기초 자산 가격 변화에 대한 옵션 가격 변화율. 콜 옵션의 델타는 양수이고, 풋 옵션의 델타는 음수이다.
  • 베가(ν): 변동성 변화에 대한 옵션 가격 변화율. 베가는 항상 양수이다.
  • 세타(Θ): 시간 경과에 따른 옵션 가격 변화율. 세타는 일반적으로 음수이다.
  • 로(ρ): 무위험 이자율 변화에 대한 옵션 가격 변화율. 콜 옵션의 로는 양수이고, 풋 옵션의 로는 음수이다.
  • 감마(Γ): 기초 자산 가격 변화에 대한 델타 변화율. 감마는 항상 양수이다.


블랙-숄즈 모델은 옵션 가격 결정에 널리 사용되지만,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모델은 변동성이 일정하다고 가정하지만, 실제 시장에서는 변동성이 시간에 따라 변한다. 또한, 모델은 옵션 행사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지만, 실제 시장에서는 조기 행사가 가능하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블랙-숄즈 모델은 옵션 가격을 이해하고, 위험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2. 블랙 모델

블랙-숄즈 모형과 마찬가지로, 블랙 모형은 상품 및 선물 옵션 가격을 산정하는 데 사용된다. 블랙 모형은 자산 가격이 로그 정규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이 모형은 특히 금리 파생 상품 및 일부 외환 파생 상품 가격 산정에 널리 사용된다. 블랙 모형은 1976년 피셔 블랙에 의해 개발되었다.

블랙 모형의 그리스 문자(그리스어: 그리스 문자)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델타(Δ): 기초 자산 가격 변화에 대한 옵션 가격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블랙 모형에서 델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콜 옵션 델타: $e^{-rT}N(d_1)$
  • 풋 옵션 델타: $e^{-rT}(N(d_1) - 1)$
  • 감마(Γ): 기초 자산 가격 변화에 대한 델타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블랙 모형에서 감마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콜 옵션 감마: $\frac{e^{-rT}n(d_1)}{S\sigma\sqrt{T}}$
  • 풋 옵션 감마: $\frac{e^{-rT}n(d_1)}{S\sigma\sqrt{T}}$
  • 세타(Θ): 시간 경과에 따른 옵션 가치 변화를 나타낸다. 블랙 모형에서 세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콜 옵션 세타: $-\frac{Se^{-rT}n(d_1)\sigma}{2\sqrt{T}} - rKe^{-rT}N(d_2)$
  • 풋 옵션 세타: $-\frac{Se^{-rT}n(d_1)\sigma}{2\sqrt{T}} + rKe^{-rT}N(-d_2)$
  • 베가(Vega, ν): 변동성 변화에 대한 옵션 가격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블랙 모형에서 베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콜 옵션 베가: $Se^{-rT}\sqrt{T}n(d_1)$
  • 풋 옵션 베가: $Se^{-rT}\sqrt{T}n(d_1)$
  • 로(ρ): 무위험 이자율 변화에 대한 옵션 가격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블랙 모형에서 로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콜 옵션 로: $Ke^{-rT}TN(d_2)$
  • 풋 옵션 로: $-Ke^{-rT}TN(-d_2)$
  • 여기서,
  • $S$: 기초 자산의 현재 가격
  • $K$: 행사가
  • $T$: 만기까지의 시간 (연)
  • $r$: 무위험 이자율
  • $\sigma$: 기초 자산의 변동성
  • $N$: 표준 정규 분포의 누적 분포 함수
  • $n$: 표준 정규 분포의 확률 밀도 함수
  • $d_1 = \frac{ln(\frac{S}{K}) + (r + \frac{\sigma^2}{2})T}{\sigma\sqrt{T}}$
  • $d_2 = d_1 - \sigma\sqrt{T}$

6. 관련 측정 지표

베타는 주식 또는 포트폴리오의 시장 변동성에 대한 민감도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베타 값이 1이면 해당 자산의 가격 변동성이 시장 전체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베타가 1보다 크면 시장보다 변동성이 크고, 1보다 작으면 시장보다 변동성이 작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베타가 1.2인 주식은 시장이 10% 상승하면 12% 상승할 가능성이 있고, 시장이 10% 하락하면 12%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베타가 0.8인 주식은 시장이 10% 상승하면 8% 상승할 가능성이 있고, 시장이 10% 하락하면 8%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베타는 투자자가 자신의 포트폴리오의 위험 수준을 파악하고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변동성이 큰 성장주들은 베타가 높고, 변동성이 낮은 가치주나 채권 등은 베타가 낮다. 따라서 시장 상황에 따라 베타가 높은 자산과 낮은 자산의 비중을 조절하여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

Fugit는 미국 또는 버뮤다에서 옵션을 행사하는 데 걸리는 예상 시간을 나타낸다.

6. 1. 채권 듀레이션 및 컨벡시티

채권 듀레이션과 컨벡시티는 옵션의 델타와 감마처럼 채권 가격의 변동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듀레이션은 채권 가격의 이자율 변화에 대한 민감도를 나타낸다. 이는 채권 투자자가 이자율 변동에 따른 손실 위험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듀레이션이 길수록 이자율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가격 변동 폭이 커진다.

컨벡시티는 듀레이션의 한계를 보완하는 지표로, 이자율 변화에 따른 듀레이션의 변화를 측정한다. 즉, 이자율이 변동함에 따라 채권 가격 변화가 듀레이션으로 예측한 것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나타낸다. 컨벡시티가 클수록 이자율 변화에 대한 채권 가격의 반응이 비선형적이어서, 듀레이션만으로는 예측하기 어려운 가격 변동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두 지표는 채권 포트폴리오의 위험 관리와 투자 전략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6. 2. 베타

베타는 주식 또는 포트폴리오가 시장 변동성에 얼마나 민감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베타가 1이면 해당 자산의 가격 변동성이 시장 전체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베타가 1보다 크면 시장보다 더 변동성이 크고, 베타가 1보다 작으면 시장보다 변동성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베타가 1.2인 주식은 시장이 10% 상승하면 12% 상승할 가능성이 있고, 시장이 10% 하락하면 12%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베타가 0.8인 주식은 시장이 10% 상승하면 8% 상승할 가능성이 있고, 시장이 10% 하락하면 8%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베타는 투자자가 자신의 포트폴리오의 위험 수준을 파악하고,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변동성이 큰 성장주들은 베타가 높고, 변동성이 낮은 가치주나 채권 등은 베타가 낮다. 따라서, 시장 상황에 따라 베타가 높은 자산과 낮은 자산의 비중을 조절하여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

6. 3. Fugit

Fugit는 미국 또는 버뮤다에서 옵션을 행사하는 데 걸리는 예상 시간을 나타낸다.

참조

[1] 서적 The options applications handbook: hedging and speculating techniques for professional investors McGraw-Hill Professional
[2] 서적 Options as a Strategic Investment https://archive.org/[...] New York Institute of Finance
[3] 서적 Black–Scholes and beyond: option pricing models https://archive.org/[...] McGraw-Hill Professional
[4]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Option Pricing Formulas McGraw-Hill Professional
[5] 웹사이트 Options Greeks: Delta Risk and Reward http://www.investope[...] 2010-01-07
[6] 서적 Mastering Financial Calculations Pearson UK
[7] 서적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 Securities https://archive.org/[...] Prentice-Hall
[8] 웹사이트 Omega – Investopedia http://www.investope[...]
[9] 서적 The Handbook of Convertible Bonds 2012
[10] 논문 Information Geometry of Risks and Returns
[11] 웹사이트 Understanding How Gamma Affect Delta http://www.traderbra[...] 2014-05-28
[12] 웹사이트 Why is Long Option Gamma Positive http://www.traderbra[...] 2014-05-28
[13] 간행물 Know Your Weapon, Part 1 http://www.espenhaug[...]
[14] 웹사이트 Derivatives – Delta Decay – The Financial Encyclopedia http://www.investmen[...]
[15] 간행물 Know Your Weapon, Part 2 https://www.scribd.c[...]
[16] 서적 How to Calculate Options Prices and Their Greeks 2015
[17] 웹사이트 Derivatives – Second-Order Greeks – The Financial Encyclopedia http://www.investmen[...]
[18] 논문 Prices of State-Contingent Claims Implicit in Option Prices 1978
[19] 백과사전 Derivatives – Greeks http://www.investmen[...] 2020-12-21
[20] 논문 Charm-Adjusted Delta and Delta Gamma Hedging Spring 2012
[21] 웹사이트 Greeks for Multi-Asset Options http://www.investmen[...] 2017-01-24
[22] 웹사이트 Correlation Risk http://sp-finance.e-[...] 2018-03-22
[23] 웹사이트 Rotating Mountain Range Options, Valuation & risks / Performance analysis http://www.next-fina[...] 2018-03-22
[24] 보고서 Correlation Risk Premia for Multi-Asset Equity Options 2003-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