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피지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리피지드는 이자의 랑게르한스섬 β 세포를 민감하게 하여 포도당에 반응하여 더 많은 인슐린을 방출하도록 하는 약물이다. 랑게르한스섬 β 세포 사이의 칼륨 통로를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세포를 탈분극시키고 전압 개폐 칼슘 통로를 열어 칼슘 유입을 촉진함으로써 인슐린 방출을 유도한다. 1969년에 특허를 받았고 1971년에 의료용으로 승인되었으며, 미국에서는 1984년에 승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벤젠설포닐)-3-사이클로헥실유레아 - 글리메피리드
글리메피리드는 제2형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설포닐우레아 계열의 경구용 혈당 강하제로, 췌장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혈당을 낮추며, 저혈당 등의 부작용과 약물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하고 임산부 및 수유부에게는 권장되지 않는다. - 피라진 - 파비피라비르
파비피라비르는 RNA 의존 RNA 중합효소 억제제로서 RNA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여 인플루엔자, 에볼라, 코로나19 등의 치료제로 연구되었고 일부 국가에서 긴급 사용 승인을 받았으나, 임상적 효능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며 임신 중 기형 발생 위험이 있고, 2024년에는 SFTS 치료제로 세계 최초 승인을 받았다. - 피라진 - 피라진아마이드
피라진아마이드는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항결핵제로서, 다른 약제와 함께 사용되며 결핵균 성장을 억제하는 프로드러그이지만, 임산부 사용에 논란이 있고 내성 문제가 제기된다. - 칼륨 통로 차단제 - 아토목세틴
아토목세틴은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가 개발한 ADHD 치료제로,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억제하여 ADHD 증상을 완화시키며, 메틸페니데이트와 유사한 효능을 보이지만 틱이나 뚜렛 장애 환자에게도 사용 가능하고, 복통, 식욕 부진, 자살 관련 행동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 칼륨 통로 차단제 - 글리메피리드
글리메피리드는 제2형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설포닐우레아 계열의 경구용 혈당 강하제로, 췌장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혈당을 낮추며, 저혈당 등의 부작용과 약물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하고 임산부 및 수유부에게는 권장되지 않는다. 
| 글리피지드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 약물 정보 | |
![]()  | |
![]()  | |
| 상품명 | 글루코트롤, 글루코트롤 XL, 기타 | 
| MedlinePlus | a684060 | 
| DailyMedID | Glipizide | 
| 임신 범주 (호주) | C | 
| 투여 경로 | 경구 투여 | 
| 약물 분류 | 설포닐유레아 | 
| ATC 코드 | A10BB07 | 
| 합법 여부 (영국) | POM | 
| 합법 여부 (미국) | 처방전 필요 | 
| 생체 이용률 | 100% (일반 제형), 90% (서방형 제형) | 
| 단백질 결합 | 98 ~ 99% | 
| 대사 | 간 하이드록실화 | 
| 소멸 반감기 | 2 ~ 5 시간 | 
| 배설 | 콩팥 및 대변 | 
| 식별자 | |
| IUPHAR 리간드 | 6821 | 
| CAS 등록번호 | 29094-61-9 | 
| PubChem | 3478 | 
| DrugBank | DB01067 | 
| ChemSpider | 3359 | 
| UNII | X7WDT95N5C | 
| KEGG | D00335 | 
| ChEBI | 5384 | 
| ChEMBL | 1073 | 
|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 |
| IUPAC 명칭 | N-(4-(N-(cyclohexylcarbamoyl)sulfamoyl)phenethyl)-5-methylpyrazine-2-carboxamide | 
| 분자식 | C21H27N5O4S | 
| 녹는점 | 208 ~ 209 °C | 
| 기타 정보 | |
| SMILES | O=C(c1ncc(nc1)C)NCCc2ccc(cc2)S(=O)(=O)NC(=O)NC3CCCCC3 | 
| StdInChI | 1S/C21H27N5O4S/c1-15-13-24-19(14-23-15)20(27)22-12-11-16-7-9-18(10-8-16)31(29,30)26-21(28)25-17-5-3-2-4-6-17/h7-10,13-14,17H,2-6,11-12H2,1H3,(H,22,27)(H2,25,26,28) | 
| StdInChIKey | ZJJXGWJIGJFDTL-UHFFFAOYSA-N | 
2. 작용 메커니즘
글리피지드는 이자의 랑게르한스섬 β 세포에 작용하여 인슐린 분비를 촉진한다. 글리피지드는 β 세포를 민감하게 만들어 포도당에 더 많은 인슐린을 방출하게 한다.[15]
2. 1. 칼륨 통로 차단
글리피지드는 이자의 랑게르한스섬 β 세포의 칼륨 통로를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작용한다.[16] 칼륨 통로가 차단되면 세포가 탈분극되어 전압 개폐 칼슘 통로가 열린다. 결과적으로 칼슘 유입은 β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한다.[16]2. 2. 세포 탈분극 및 칼슘 유입
글리피지드는 이자의 랑게르한스섬 β 세포 사이의 칼륨 통로를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탈분극을 유도한다. 이로 인해 전압 개폐 칼슘 통로가 열리고, 칼슘 이온이 유입되어 β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한다.[16]3. 역사
글리피지드는 1969년에 특허를 받았고 1971년에 의료용으로 승인되었다.[17][7]
3. 1. 미국에서의 승인
글리피지드는 1984년에 미국에서 의료용으로 승인되었다.[12][2]참조
[1] 
서적
 
British national formulary : BNF 76
 
Pharmaceutical Press
 
2018
 
[2] 
웹사이트
 
Glipizide Monograph for Professionals
 
https://www.drugs.co[...] 
AHFS
 
2018-12-24
 
[3] 
웹사이트
 
The Top 300 of 2022
 
https://clincalc.com[...] 
2024-08-30
 
[4] 
웹사이트
 
Glipizide Drug Usage Statistics, United States, 2013 - 2022
 
https://clincalc.com[...] 
2024-08-30
 
[5] 
웹사이트
 
Glucotrol XL- glipizide tablet, extended release
 
https://dailymed.nlm[...] 
2020-07-31
 
[6] 
논문
 
The mechanism of action of oral antidiabetic drugs: a review of recent literature.
 
2008-12
 
[7] 
서적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0-07-31
 
[8] 
웹사이트
 
Glipizide Monograph for Professionals
 
https://www.drugs.co[...] 
AHFS
 
2018-12-24
 
[9] 
웹사이트
 
NADAC as of 2018-12-19
 
https://data.medicai[...] 
2018-12-22
 
[10] 
서적
 
British national formulary : BNF 76
 
Pharmaceutical Press
 
2018
 
[11] 
서적
 
British national formulary : BNF 76
 
Pharmaceutical Press
 
2018
 
[12] 
웹인용
 
Glipizide Monograph for Professionals
 
https://www.drugs.co[...] 
AHFS
 
2018-12-24
 
[13] 
웹인용
 
The Top 300 of 2020
 
https://clincalc.com[...] 
2022-10-07
 
[14] 
웹인용
 
Glipizide - Drug Usage Statistics
 
https://clincalc.com[...] 
2022-10-07
 
[15] 
웹인용
 
Glucotrol XL- glipizide tablet, extended release
 
https://dailymed.nlm[...] 
2020-07-31
 
[16] 
논문
 
The mechanism of action of oral antidiabetic drugs: a review of recent literature.
 
2008-12
 
[17] 
서적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