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덕함 묘 및 신도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김덕함 묘 및 신도비(金德諴 墓 및 神道碑)는 조선 중기의 문신 김덕함(1562~1636)의 묘와 신도비로,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무건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1993년 10월 30일 경기도 기념물 제144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김덕함(金德諴)


  • 본관은 상산(商山), 자는 경화(景和), 호는 성옹(醒翁), 시호는 충정(忠貞)입니다.
  • 이조참판을 지낸 김홍(金洪)의 아들입니다.
  • 1588년(선조 21) 과거에 급제했습니다.
  •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고 군량을 조달하는 데 공을 세웠습니다.
  • 1617년(광해군 9) 인목대비 폐모론에 반대하다 남해에 유배되었습니다.
  • 1623년 인조반정으로 복귀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1636년 대사헌에 올랐습니다.
  • 1627년 정묘호란 때 호소사(號召使)로 활약했습니다.
  • 청백리에 선정되었으며,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습니다.
  • 문집으로 『성옹유고(醒翁遺稿)』가 전합니다.

묘역

  • 낮은 사성(沙城)으로 둘러져 있고, 부인 경주 이씨와의 합장묘입니다.
  • 봉분 우측에 옛 묘표와 최근에 건립한 묘표가 있습니다.
  • 봉분 앞에는 상석, 향로석, 망주석, 문인석 등이 있습니다.
  • 옛 묘표는 17세기 양식을 지니고 있으며, 박세채가 비문을 짓고 증손 김유(金濡)가 썼습니다.

신도비

  • 묘역 입구 비각 안에 위치해 있습니다.
  • 1686년(숙종 12) 건립되었습니다.
  • 비문은 송시열(宋時烈)이 짓고, 증손 김유(金濡)가 글씨를 썼으며, 김수항(金壽恒)이 전액(篆額)을 썼습니다.


김덕함 묘 및 신도비는 17세기 조선 사대부 묘제 형식과 석물의 예술성을 잘 보여주는 가치 높은 문화유산입니다.

김덕함 묘 및 신도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김덕함 묘 및 신도비
김덕함 묘
김덕함 묘
국가대한민국
위치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무건리 산1번지
지정 번호기념물 144호
지정일1993년 10월 30일
유형기념물
관리
관리 주체상산김씨충정공파종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